목차
1. 사전지식
2. 실험절차
3. 연습문제
2. 실험절차
3. 연습문제
본문내용
1. 사전 지식
1.1 RL회로
2. 실험 절차
2Vp-p, 100kHz의 구형파
Vi
VL
크기
1.91V
1.520V
주기
9.96μs
9.98μs
시정수
1.14μs
⇒출력그래프가 예상과 다른 모양으로 출력되었다. 시정수는 1μs이고 주기는 10μs이기 때문에 양에서 음, 음에서 양으로 입력이 변할 때에만 파형이 바뀌어 오른쪽과 같은 그래프가 나왔어야한다.
2Vp-p, 1kHz의 구형파
Vi
VL
크기
2V
1.280V
주기
1.01ms
1.00ms
시정수
0.98μs
⇒주기는 1ms이고 시정수는 1μs이므로 주기는 비교적 배우 크다. 구형파 주기의 1000분의 1이 시정수이기 때문에 출력그래프는 위와 같이 직선처럼 보이면서 상하로 반복된다. 입력이 증가할 경우에는 출력이 급증하고 입력이 감소할 경우에는 출력이 급하게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절차 1과 출력 VL이 얼마나 구체적으로 출력되는지 비교해보면 두 주파수에 따른 결과의 차이를 관찰할 수 있다.
2Vp-p, 1MHz의 구형파
Vi
VL
크기
1.90V
160mV
주기
1μs
0.99μs
시정수
1.02μs
⇒주기가 1μs이고, 시정수도 1μs이다. 입력신호의 주기가 매우 짧아 시정수와 같은 값을 가진다. 이러한 경우 출력 결과를 보면 출력이 정상으로 유지되지 못하고 계속 입력의 상승과 하강의 영향을 받아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것을 볼 수 있다.
2Vp-p, 1kHz의 구형파
Vi
VL
크기
1.93V
960mV
주기
10.3μs
10.2μs
⇒본래 생각에는 미분회로를 통과한 출력이기 때문에 구형파로 나타날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출력은 위상이 약간 바뀐 휜 정현파의 모습으로 출력되었다.
2Vp-p, 1kHz의 구형파
Vi
VL
크기
1.88V
1.08V
주기
10.05μs
10.1μs
⇒절차 4에서 보인 그림과 같이 입력파형의 미분형이므로 같은 정현파가 출력되지만, 그 위상에 있어서는 약간의 차이를 보이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2Vp-p, 1kHz의 구형파
Vi
VL
크기
1.97V
2.32V
주기
9.9μs
9.9μs
⇒시정수의 이론값을 구하면 L/R=47m/4.7k=10μs인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결과 출력을보면 구형파가 찌그러져서 나타나기 때문에 정확한 시정수의 측정은 어렵다고 할 수 있다.
3. 연습 문제
1) 실험절차 1,4,5의 결과로부터 각각 전압 VR을 도시하라.
2) 실험절차 6의 결과로부터 VR을 도시하라.
1.1 RL회로
2. 실험 절차
2Vp-p, 100kHz의 구형파
Vi
VL
크기
1.91V
1.520V
주기
9.96μs
9.98μs
시정수
1.14μs
⇒출력그래프가 예상과 다른 모양으로 출력되었다. 시정수는 1μs이고 주기는 10μs이기 때문에 양에서 음, 음에서 양으로 입력이 변할 때에만 파형이 바뀌어 오른쪽과 같은 그래프가 나왔어야한다.
2Vp-p, 1kHz의 구형파
Vi
VL
크기
2V
1.280V
주기
1.01ms
1.00ms
시정수
0.98μs
⇒주기는 1ms이고 시정수는 1μs이므로 주기는 비교적 배우 크다. 구형파 주기의 1000분의 1이 시정수이기 때문에 출력그래프는 위와 같이 직선처럼 보이면서 상하로 반복된다. 입력이 증가할 경우에는 출력이 급증하고 입력이 감소할 경우에는 출력이 급하게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절차 1과 출력 VL이 얼마나 구체적으로 출력되는지 비교해보면 두 주파수에 따른 결과의 차이를 관찰할 수 있다.
2Vp-p, 1MHz의 구형파
Vi
VL
크기
1.90V
160mV
주기
1μs
0.99μs
시정수
1.02μs
⇒주기가 1μs이고, 시정수도 1μs이다. 입력신호의 주기가 매우 짧아 시정수와 같은 값을 가진다. 이러한 경우 출력 결과를 보면 출력이 정상으로 유지되지 못하고 계속 입력의 상승과 하강의 영향을 받아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것을 볼 수 있다.
2Vp-p, 1kHz의 구형파
Vi
VL
크기
1.93V
960mV
주기
10.3μs
10.2μs
⇒본래 생각에는 미분회로를 통과한 출력이기 때문에 구형파로 나타날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출력은 위상이 약간 바뀐 휜 정현파의 모습으로 출력되었다.
2Vp-p, 1kHz의 구형파
Vi
VL
크기
1.88V
1.08V
주기
10.05μs
10.1μs
⇒절차 4에서 보인 그림과 같이 입력파형의 미분형이므로 같은 정현파가 출력되지만, 그 위상에 있어서는 약간의 차이를 보이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2Vp-p, 1kHz의 구형파
Vi
VL
크기
1.97V
2.32V
주기
9.9μs
9.9μs
⇒시정수의 이론값을 구하면 L/R=47m/4.7k=10μs인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결과 출력을보면 구형파가 찌그러져서 나타나기 때문에 정확한 시정수의 측정은 어렵다고 할 수 있다.
3. 연습 문제
1) 실험절차 1,4,5의 결과로부터 각각 전압 VR을 도시하라.
2) 실험절차 6의 결과로부터 VR을 도시하라.
추천자료
[기초회로실험] 저항의 측정
전자전기실험 - 실험 12 결과보고서 [저항, 커패시터,인덕터의 등가회로와 주파수응답]
전자전기실험 - 실험 12 예비보고서 [저항, 커패시터, 인덕터의 등가회로와 주파수응답]
렌츠의법칙 및 옴의 법칙, 저항읽기, Rc회로, 빛의 간섭과회절 조사자료
RC, RL, RLC회로의 과도특성, 주파수 특성, 라플라스 변환과의 관계 - 결과보고서
AC 회로 (RC 회로 + RLC 공진회로)예비보고서
[회로이론 예비1] 저항, 전압, 전류의 측정
옴의 법칙 실험 - 저항과 기전력으로 구성된 회로의 전압과 전류를 전압계와 전류계로 특정하...
[전자회로실험] (예비) 19장 능동부하를 가진 BJT 차동 증폭기 - 능동 부하를 가진 bjt 차동 ...
옴의 법칙 (Ohm`s Law) : 회로 상에서 전류(I), 전압(V), 저항(R)과의 이론 관계를 실험적으...
직병렬회로 - R, L, C는 각각 저항, 인덕턴스, 정전 용량(커페시턴스)를 나타낸다.
기초전기회로실험 - 저항값 측정
전자회로실험 - 전자회로 실험 기기의 사용법 및 저항, 콘덴서 읽는법
[기계공학 실험] 멀티테스터 작동법 : 회로에 걸리는 전악과 전류를 측정하고, 옴(ohm) 의 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