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st 석고붕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① 석고붕대의 목적

② 석고붕대의 재료

③ 석고붕대의 적용

④ 석고붕대를 한 환자의 간호

⑤ 석고붕대의 유형별 간호

⑥ 석고붕대의 제거

⑦ 석고붕대 제거 후의 간호

⑧ 석고붕대를 하고 퇴원하는 환자의 교육

⑨ 석고붕대의 합병증

본문내용

부드럽게 씻고 오일이나 lanolin 로션 발라줌
평상 시 체위로 부종이 올 수 있음 - 사지 계속 상승시키도록 함
- 활동과 운동
활동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환자에게 운동을 처방하고 다리에 점진적인 체중부하 허용
물리치료사는 재활계획 도움
⑧ 석고붕대를 하고 퇴원하는 환자의 교육
석고붕대 한 쪽의 손가락과 발가락의 감각, 움직임, 온도, 색깔 사정
- 하루에 적어도 2번 이상
사지 상승 - 발가락은 무릎보다 높고 손은 팔꿈치 보다 높게 유지
석고붕대는 어떠한 상황에서도 변형시키지 않음
석고붕대를 청결하고 건조하게 유지
석고붕대 가장자리를 따라 피부를 깨끗이 닦고 잘 건조
배액, 냄새 깨지거나 약해진 부위와 열감이 있는 부위 관찰
석고붕대 속에 철사 등을 집어넣어 긁지 않도록 함
허용 l 1일 4회 석고붕대 한 아래와 윗부분의 관절 운동 시행
다음과 같은 증상 있을 시 보고 하도록 함
- 열
- 석고붕대가 느슨해지고, 깨지거나 부드러워 짐
- 석고붕대에서 악취가 남
- 석고붕대를 따라 배액 있음
- 석고붕대 부위를 높여 주어도 부종이 경감되지 않음
- 정상부위에 비해 손가락, 발가락이 변화 됨 (냉감, 무감각, 저림, 창백, 움직일 수
없음)
- 석고붕대 안의 작열감과 통증
- 석고붕대 가장자리의 피부가 파괴되고 욕창 형성
⑨ 석고붕대의 합병증
석고붕대로 인한 사지의 압박으로 인해 연조직의 괴사를 일으키는 혈류의 손상
- 사지맥박 손실
- 손톱이나 발톱에 부적절한 혈액공급
- 피부의 청색증
- 여러 형태의 통증과 마비
- 피부의 냄새
- 운동마비
- 부종(말단부위 통증을 운반하는 통증)
- 감각이상
뼈 돌출부를 지나가는 신경의 압박으로 인한 신경손상
- 증가지속되거나 국소화되는 통증
- 지각감퇴
- 마비
- 감각이상
- 심부 압박감
- 운동기능 약화 및 마비
피부손상으로 인한 감염과 조직괴사
- 석고붕대 부위나 석고붕대 끝 부위의 곰팡이 냄새
- 배농 또는 배액
- 갑작스런 체온상승
- 석고붕대 부위의 작열감
석고붕대 증후군
- 지속적인 오심 / 반복되는 구토
- 복부 팽만 / 막연한 복통
- 위장계 운동 감소
- 급성 장 폐색 → 비위관을 삽입하여 감압시키고 정맥 내 수액 요법으로 위장계 운동이
회복될 때까지 주의 깊게 치료 함
- 정신적 반응: 폐쇄 공포증에서와 비슷,
- 자율신경계 반응: 호흡수↑, 발한, 동공산대, 심박동수↑, 혈압↑ → 급성불안 반응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9.03.30
  • 저작시기200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661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