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정보통신발전]정보통신의 개념, 정보통신의 특징, 정보통신의 시작, 정보통신의 발전단계, 정보통신의 구성, 정보통신의 부호와 부호체계, 정보통신의 전송과 속도, 정보통신의 제어방식에 관한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정보통신][정보통신발전]정보통신의 개념, 정보통신의 특징, 정보통신의 시작, 정보통신의 발전단계, 정보통신의 구성, 정보통신의 부호와 부호체계, 정보통신의 전송과 속도, 정보통신의 제어방식에 관한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정보통신의 개념

Ⅲ. 정보통신의 특징

Ⅳ. 정보통신의 시작

Ⅴ. 정보통신의 발전단계

Ⅵ. 정보통신의 구성
1. 단말장치(DTE : Data Terminal Equipment)
2. 데이터 회선 종단장치(DCE : Data Circuit Terminating Equipment)
3. 통신회선
4. 전송제어장치(TC : Transmission Control Unit)
5. 통신제어장치(CCU : Communication Control Unit)
6. 데이터 처리계

Ⅶ. 정보통신의 부호와 부호체계
1. 부호체계
2. 부호화[Encoding]

Ⅷ. 정보통신의 전송과 속도
1. 정보의 전송
2. 아날로그 전송과 디지털 전송
1) 전송형태
2) 전송속도

Ⅸ. 정보통신의 제어방식
1. 비트버퍼방식
2. 문자버퍼방식
3. 블록버퍼방식
4. 메시지버퍼방식

참고문헌

본문내용

로 읽음
- 양자화(Quantizing) : 읽은 표본값을 수량화
- 부호화(Encoding) : 양자화된 값을 디지털 부호로 변환
- 복호화(Decoding) : 디지털 시호를 수신측에서 원래의 신호로 복원
- 여과기(Filter) : 원래의 입력 신호로 복원
③ 디지털 정보 -> 아날로그 전송신호
◆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조
- 반송 신호의 세 가지 특성(진폭, 주파수, 위상) 중 하나를 모뎀을 이용해서 부호화
- 실제로 데이터 통신에서 사용되는 값은 0과 1뿐이기 때문에 편이(shift) 변조 방식을 사용
◆ 방법
- 진폭 편이 변조(ASK : Amplitude-Shift Keying)
- 주파수 편이 변조(FSK : Frequency-shift Keying)
- 위상 편이 변조(PSK : Phase-Shift Keying)
- 진폭 편이 변조(ASK)
- 두 가지 2진수 값을 서로 다른 진폭을 가진 신호로 표현
- 광섬유로 디지털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사용
단점 : 잡음이나 신호의 변동에 약함
장점 : 회로가 간단하고, 가격이 저렴
◆ 주파수 편이 변조(FSK)
- 두 가지 2진수 값을 두 가지 다른 주파수로 표현
- 진폭 편이 방식보다 에러에 강하고, 회로도 비교적 간단하기 때문에 데이터 전송에서 많이 사용됨
◆ 위상 편이 변조(PSK)
- 반송 신호의 위상을 변화시켜서 데이터를 표현
- 동기 방식을 사용
- 위상을 2, 4, 8등분하는 것에 따라 2위상, 4위상, 8위상 변조 방식으로 구분
- 위상을 달리함으로써 복잡도가 높은 데이터 전송률이 높아짐
- 모뎀에서 주로 사용되는 방식
④ 디지털 정보 -> 디지털 전송신호
◆ 디지털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 변조
- 두 가지 2진수 값을 나타내기 위해서 서로 다른 전압을 사용
◆ 종류
- NRZ(Non Return to Zero)
- RZ(Return to Zero)
- Biphase 방식
아날로그 전송은 아날로그 전송신호를 전송하는 경우를 말함 (①+③)
디지털 전송은 전송신호의 형태와는 무관하게 디지털 정보를 주고 받는 경우말함(③+④)
2) 전송속도
① bps(bits per second) : 매 초당 전송되는 비트의 수를 나타내는 것
② 보오(baud) : 매 초당 몇 개의 신호변화가 있었는가 혹은 매 초당 몇 개의 다른 상태변화가 있었는가를 나타내는 신호속도의 단위
한 비트가 하나의 신호를 표현하는 단위로 쓰이는 경우에는 bps나 보오속도는 동일하지만, 2비트나 3비트가 모여서 하나의 신호를 나타내는 경우에 있어서 보오속도는 bps의 1/2, 1/3이 된다.
Ⅸ. 정보통신의 제어방식
구성의 차이에 따라 비트, 문자, 블록, 메시지 버퍼방식의 4종류로 나누어진다.
1. 비트버퍼방식
샘플링한 1비트만이 들어가는 버퍼를 갖고 있으며 1비트씩 컴퓨터에 전송하므로 문자조립부터 시작하여 여러 기능을 컴퓨터에 맡겨버리는 통신제어장치이다. 컴퓨터는 1비트씩 처리를 해야하므로 통신부하가 증대된다. 1~2회선 정도의 소수회선이고, 또 데이터량이 적을때에만 이런종류의 통신제어장치를 쓸 수 있다. 독립된 장치로 되어 있지 않는 컴퓨터에 거의 내장되어 있는 수가 많다.
2. 문자버퍼방식
컴퓨터가 행하는 전송제어의 순서조작의 행하게 된다..
˙ 수신된 비트의 문자조립
˙ 송신된 문자의 비트로 분해
˙ 블록이나 프레임의 오류검출 부호를 추가, 오류제어(오류검출)
˙ 응답에 대한 타이머 감시
˙ 전송제어 문자의 판정과 블록의 경계의 식별(베이직순서)
3. 블록버퍼방식
조립된 문자를 다시모아 STX부터 ETB까지의 1블록을 만들 수 있는 만큼의 블록 버퍼를
가진 통신제어장치이다. 현재는 하드웨어 비용, 컴퓨터의 부하도 문자버퍼방식에 비해서 비용이 경감되지 않으므로 거의 사용되고 있지 않다.
4. 메시지버퍼방식
호스트 집중형의 네트워크에서는 한 대의 대형 컴퓨터에 다수의 단말을 접속하면 통신제어장치에 많은 부담이 걸린다. 그래서 문자 버퍼방식과 같이 문자만을 다루지 않고, 통신제어장치가 메시지의 조립과 분해도 행한다는 것이 이 방식이다.
참고문헌
김호영, 정보통신원론
강상현, 정보통신혁명과 한국사회, 한나래, 1996
박정순, 정보 통신 문화의 도덕의 정체성 문제, 춘계학술발표대회 발표 논문, 1997
설동훈, 정보통신기술과 기업조직 가치사슬의 해체와 재구성
이윤식·김판석·오철호, 21세기를 대비한 한국정보통신정책의 방향모색, 한국정책학회보, 1998
정보통신백서, 정보통신부, 2001
정찬호, 정보통신학개론
  • 가격5,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9.03.31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720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