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치아의 구조
1. 치관
2. 치근
Ⅱ. 치아의 역할
1. 유치와 역할
2. 전치의 역할
3. 견치의 역할
4. 소구치의 역할
5. 대구치의 역할
Ⅲ. 치아가 하는 일
Ⅳ. 치아의 관리
1. 영유아기(0~5세)
2. 학령기(10~13세)
3. 청년기(18~40세)
4. 장년기(41~60세)
5. 노년기(61세~ )
Ⅴ. 젖니 관리의 중요성
Ⅵ. 치아건강과 스포츠
1. X게임 마니아 급증… 얼굴 주변 손상 크게 늘어
2. 입에 보호 장구를… 충치 땐 병부터 고쳐야
3. 마우스가드 이렇게 사용하라
4. 운동하다 이가 빠졌을 때
5. 치아가 부러졌을 경우 대처법
참고문헌
1. 치관
2. 치근
Ⅱ. 치아의 역할
1. 유치와 역할
2. 전치의 역할
3. 견치의 역할
4. 소구치의 역할
5. 대구치의 역할
Ⅲ. 치아가 하는 일
Ⅳ. 치아의 관리
1. 영유아기(0~5세)
2. 학령기(10~13세)
3. 청년기(18~40세)
4. 장년기(41~60세)
5. 노년기(61세~ )
Ⅴ. 젖니 관리의 중요성
Ⅵ. 치아건강과 스포츠
1. X게임 마니아 급증… 얼굴 주변 손상 크게 늘어
2. 입에 보호 장구를… 충치 땐 병부터 고쳐야
3. 마우스가드 이렇게 사용하라
4. 운동하다 이가 빠졌을 때
5. 치아가 부러졌을 경우 대처법
참고문헌
본문내용
다. 일본에서 실시된 한 조사에 따르면 스포츠 관련 얼굴 부상 환자는 남성이 92%, 여성이 8%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10대가 40.6%, 20대가 35.1%로, 전체 환자의 75.7%가 젊은층인 것으로 집계됐다.
2. 입에 보호 장구를… 충치 땐 병부터 고쳐야
권투선수가 얼굴에 그토록 뭇매를 맞지만 부상이 적은 이유는 마우스피스 때문이다. 마우스피스가 외부 충격을 최소화하고 치아와 잇몸을 보호해주는 것이다. 이를 응용한 것이 바로 마우스가드다. 미국 등 일부 국가에서는 인라인스케이트, 산악자전거 등 경기를 할 때 마우스가드 착용을 의무화하고 있다. 또 레저스포츠를 즐길 때도 착용하도록 권할 정도로 대중화된 상태다. 그러나 누구나 마우스가드를 착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충치, 턱관절장애, 치주염 등이 있거나 치열이 고르지 못하면 먼저 병부터 고쳐야 한다.
3. 마우스가드 이렇게 사용하라
보통 부상이 많은 윗니에만 마우스가드를 착용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권투, 격투기 등 격렬한 운동을 한다면 위아래 모두 마우스가드를 착용해야 한다. 마우스가드를 착용해도 말을 하거나 숨을 쉬는 데는 전혀 지장이 없다. 최근에는 투명재질로 만들어져 얼핏 봐서는 착용 사실을 알 수 없는 제품도 나왔다. 운동 직전에 입에 끼워 넣고 운동이 끝나면 빼면 된다. 부드러운 칫솔에 물을 묻혀 닦고 밀폐된 용기에 넣어 그늘에서 보관하도록 한다. 마우스가드는 스포츠용품점에서 판매한다. 그러나 개인별로 구강 상태가 다르기 때문에 가능하면 치과에서 맞추는 게 좋다. 재질과 모양에 따라 가격은 10만30만 원이다.
입에 맞지 않는 마우스가드를 오래 착용하면 이를 악물게 돼 턱관절에 염증이나 변형이 생길 수 있다. 6개월마다 병원을 찾아 마우스가드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도록 한다.
4. 운동하다 이가 빠졌을 때
운동하다가 치아가 부러지거나 빠지는 경우가 있다. 이럴 땐 어떻게 할까. 보통 위쪽 앞니가 많이 나와 있기 때문에 가장 많이 다친다. 운동 중 치아 손상의 80% 정도는 위쪽 앞니에 해당한다. 먼저 다친 부위에서 피가 나는지를 확인한다. 피가 멈출 때까지 깨끗한 천을 입에 물고 있도록 한다. 이어 치아를 살리기 위한 응급처치가 필요하다. 치아가 빠졌을 때에는 치아의 뿌리가 부러지지 않도록 조심조심 다뤄야 한다. 먼저 흐르는 물이나 식염수에 치아를 씻는다.
치아의 뿌리는 치주인대란 얇은 막으로 덮여 있다. 이 인대가 상하면 나중에 치아를 다시 심기가 어렵다. 따라서 치아에 묻어 있는 먼지를 닦을 요량으로 세게 문질러 씻으면 안 된다. 살짝 헹구는 정도가 좋다. 또 인대가 마르지 않도록 씻은 뒤 바로 찬 우유에 넣어 보관하도록 한다. 우유가 없다면 식염수에 보관해도 좋다. 수돗물은 세포가 다칠 수 있어 좋지 않다. 이마저도 없다면 입안에 물고 있되 침을 묻히지 않도록 한다. 혀 밑에 치아를 두는 것도 방법이다. 빠진 치아를 억지로 끼워 넣으려고 해서도 안 된다. 이렇게 응급처치를 마치면 아무리 늦어도 1시간 이내에 병원을 찾도록 한다. 그래야 치아를 살릴 수가 있다.
5. 치아가 부러졌을 경우 대처법
끝 부분만 살짝 부서진 정도라면 땜질로 해결할 수 있다. 병원에 가면 보통 레진으로 땜질을 한다.
참고문헌
고석훈 역, 아름다운 미소만들기, 나래출판사
류호성(2002), 재미있고 유익한 치과상식, 나래출판사
야마시타 후미오·타우라 가즈히코, 굿바이 충치
이은숙·김인숙(1997), 치과영양학, 이우문화사
임창윤 외, 필수 구강병리학, 참윤
치위생과치과재료한역구회 역, 최신치과재료학, 고문사
L. P. Samaranayake, 대한구강생물학회 역(2004), 치의학을 위한 미생물학, 범문사
2. 입에 보호 장구를… 충치 땐 병부터 고쳐야
권투선수가 얼굴에 그토록 뭇매를 맞지만 부상이 적은 이유는 마우스피스 때문이다. 마우스피스가 외부 충격을 최소화하고 치아와 잇몸을 보호해주는 것이다. 이를 응용한 것이 바로 마우스가드다. 미국 등 일부 국가에서는 인라인스케이트, 산악자전거 등 경기를 할 때 마우스가드 착용을 의무화하고 있다. 또 레저스포츠를 즐길 때도 착용하도록 권할 정도로 대중화된 상태다. 그러나 누구나 마우스가드를 착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충치, 턱관절장애, 치주염 등이 있거나 치열이 고르지 못하면 먼저 병부터 고쳐야 한다.
3. 마우스가드 이렇게 사용하라
보통 부상이 많은 윗니에만 마우스가드를 착용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권투, 격투기 등 격렬한 운동을 한다면 위아래 모두 마우스가드를 착용해야 한다. 마우스가드를 착용해도 말을 하거나 숨을 쉬는 데는 전혀 지장이 없다. 최근에는 투명재질로 만들어져 얼핏 봐서는 착용 사실을 알 수 없는 제품도 나왔다. 운동 직전에 입에 끼워 넣고 운동이 끝나면 빼면 된다. 부드러운 칫솔에 물을 묻혀 닦고 밀폐된 용기에 넣어 그늘에서 보관하도록 한다. 마우스가드는 스포츠용품점에서 판매한다. 그러나 개인별로 구강 상태가 다르기 때문에 가능하면 치과에서 맞추는 게 좋다. 재질과 모양에 따라 가격은 10만30만 원이다.
입에 맞지 않는 마우스가드를 오래 착용하면 이를 악물게 돼 턱관절에 염증이나 변형이 생길 수 있다. 6개월마다 병원을 찾아 마우스가드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도록 한다.
4. 운동하다 이가 빠졌을 때
운동하다가 치아가 부러지거나 빠지는 경우가 있다. 이럴 땐 어떻게 할까. 보통 위쪽 앞니가 많이 나와 있기 때문에 가장 많이 다친다. 운동 중 치아 손상의 80% 정도는 위쪽 앞니에 해당한다. 먼저 다친 부위에서 피가 나는지를 확인한다. 피가 멈출 때까지 깨끗한 천을 입에 물고 있도록 한다. 이어 치아를 살리기 위한 응급처치가 필요하다. 치아가 빠졌을 때에는 치아의 뿌리가 부러지지 않도록 조심조심 다뤄야 한다. 먼저 흐르는 물이나 식염수에 치아를 씻는다.
치아의 뿌리는 치주인대란 얇은 막으로 덮여 있다. 이 인대가 상하면 나중에 치아를 다시 심기가 어렵다. 따라서 치아에 묻어 있는 먼지를 닦을 요량으로 세게 문질러 씻으면 안 된다. 살짝 헹구는 정도가 좋다. 또 인대가 마르지 않도록 씻은 뒤 바로 찬 우유에 넣어 보관하도록 한다. 우유가 없다면 식염수에 보관해도 좋다. 수돗물은 세포가 다칠 수 있어 좋지 않다. 이마저도 없다면 입안에 물고 있되 침을 묻히지 않도록 한다. 혀 밑에 치아를 두는 것도 방법이다. 빠진 치아를 억지로 끼워 넣으려고 해서도 안 된다. 이렇게 응급처치를 마치면 아무리 늦어도 1시간 이내에 병원을 찾도록 한다. 그래야 치아를 살릴 수가 있다.
5. 치아가 부러졌을 경우 대처법
끝 부분만 살짝 부서진 정도라면 땜질로 해결할 수 있다. 병원에 가면 보통 레진으로 땜질을 한다.
참고문헌
고석훈 역, 아름다운 미소만들기, 나래출판사
류호성(2002), 재미있고 유익한 치과상식, 나래출판사
야마시타 후미오·타우라 가즈히코, 굿바이 충치
이은숙·김인숙(1997), 치과영양학, 이우문화사
임창윤 외, 필수 구강병리학, 참윤
치위생과치과재료한역구회 역, 최신치과재료학, 고문사
L. P. Samaranayake, 대한구강생물학회 역(2004), 치의학을 위한 미생물학, 범문사
추천자료
2002 학교보건 기본방향
국내 사회 봉사 활동의 실제와 이해-아동 및 의료봉사 중심으로
의료봉사-무의탁 노인 의료지원사업에 대한 실제 사례의 이해와 분석
아동기 신체발달
[아동발달][아동신체발달][아동성격발달][아동발달이론][청소년발달][청년기 자아정체감 확립...
이닦기를 싫어하는 아동 행동수정
학교실습 아동 비만 케이스
보건소 케이스
보건소의 부서별 업무와 기능
[신경외과]Cerebral infarction case (뇌경색 케이스)
지역사회복지 관련 실천 프로그램 5개 조사하여 프로그램의 장단점, 프로그램을 통해 지역사...
올바른 잇솔질 교육 (TBI) 대하여
보건소8
[성인기 신체변화] 중년기 외적변화 및 내적변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