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적응증
2. 기관절개 간호
2. 기관절개 간호
본문내용
고 소독장갑을 낌
③ 관 주위 피부를 깨끗이 함
④ 적절한 굵기의 카테터를 골라 생리식염수로 카테터 끝을 부드럽게 하여 보통을 12cm 정도 부드럽게 삽입
⑤ 흡인 후 1회용 카테터, 장갑, 생리식염수 등을 버림
⑥ 손을 씻음
※ 참고문헌
1. 서문자 외(2004), 성인간호학 下 Ⅲ, 수문사
2. 최정신(2003), 내,외과 간호학 Ⅳ, 형설출판사
③ 관 주위 피부를 깨끗이 함
④ 적절한 굵기의 카테터를 골라 생리식염수로 카테터 끝을 부드럽게 하여 보통을 12cm 정도 부드럽게 삽입
⑤ 흡인 후 1회용 카테터, 장갑, 생리식염수 등을 버림
⑥ 손을 씻음
※ 참고문헌
1. 서문자 외(2004), 성인간호학 下 Ⅲ, 수문사
2. 최정신(2003), 내,외과 간호학 Ⅳ, 형설출판사
추천자료
산소화 요구
무의식 환자 간호
응급간호 분석
Tracheostomy와 Endotracheal Tube의 차이점
부동(immobilization) 환자간호
뇌졸중&흡입성폐렴 케이스스터디(간호학과)
인공기도 환자간호
CASE STUDY(COPD) - 자료 및 방법, 문헌고찰, 간호과정, 결론 및 제언
적응증, 금기증, 검사방법, 검사 전/후 간호 등(Bronchoscopy)
성인간호학 중환자실 실습일지
입원 아동 간호 (위생, 안전, 검사물 수집) A+
입원 아동 간호- 1. 위생 2. 안전 3. 검사물 수집
신경외과 병동 실습일지 (NS, GCS, 무의식, 두개 내 수술 종류, 수술전 수술후 간호, ICP 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