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기억에 남는 장면 소개 및 이유
4.명대사 소개 및 이유
5.주제와 목적
6.시각적인 요소
7.음향효과와 음악
8.감독의 연출 스타일
9.기독교적 관점에서의 고찰
10.나름대로의 감상
4.명대사 소개 및 이유
5.주제와 목적
6.시각적인 요소
7.음향효과와 음악
8.감독의 연출 스타일
9.기독교적 관점에서의 고찰
10.나름대로의 감상
본문내용
면에서도 정말 많이 울었었다. 귀도가 너무 불쌍했고, 홀로 남겨진 조슈아도 너무나 불쌍했다.
슬픈 장면도 있었지만 재미있었던 장면도 많은 영화였다. 다른 사람의 모자를 바꿔 쓰는 귀도의 모습, 도라를 보기위해 장학사인척 학교로 가서 자신의 귀와 배꼽을 보여주던 모습, 수용소에 끌려간 첫날 독일어를 할 줄 아냐는 말에 선뜻 나가서 알지도 못하는 독일어를 엉터리로 해석해 조슈아를 안심시키던 모습 등등. 재미와 감동을 함께 선사한 영화였다.
감상문을 쓰기 위해서 내용을 검색하던 중 영화의 주인공인 로베르토 베니니가 이 영화의 감독이며 각본을 썼다는 것에 놀랐다. 거기다가 도라가 실제 부인이라는 점에서도 또 한 번 놀랐다. 이 사실을 알게 되면서 ‘영화 속에서 도라와 귀도의 연애시절이 실제 이들의 연애 시절 모습과 비슷하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도 해보았다.
영화의 끝부분에서 혼자 살아남은 조슈아는 이제 어떻게 하나 하고 걱정하고 있었는데, 다행히 마음씨 좋은 탱크 아저씨를 만나고 엄마를 다시 만나 조슈아가 했던 말이 생각난다. “엄마 우리가 이겼어!” 비록 귀도는 함께하지 못했지만 도라와 조슈아가 다시 만나는 해피엔딩이라서 마음이 조금이나마 가벼웠다.
슬픈 장면도 있었지만 재미있었던 장면도 많은 영화였다. 다른 사람의 모자를 바꿔 쓰는 귀도의 모습, 도라를 보기위해 장학사인척 학교로 가서 자신의 귀와 배꼽을 보여주던 모습, 수용소에 끌려간 첫날 독일어를 할 줄 아냐는 말에 선뜻 나가서 알지도 못하는 독일어를 엉터리로 해석해 조슈아를 안심시키던 모습 등등. 재미와 감동을 함께 선사한 영화였다.
감상문을 쓰기 위해서 내용을 검색하던 중 영화의 주인공인 로베르토 베니니가 이 영화의 감독이며 각본을 썼다는 것에 놀랐다. 거기다가 도라가 실제 부인이라는 점에서도 또 한 번 놀랐다. 이 사실을 알게 되면서 ‘영화 속에서 도라와 귀도의 연애시절이 실제 이들의 연애 시절 모습과 비슷하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도 해보았다.
영화의 끝부분에서 혼자 살아남은 조슈아는 이제 어떻게 하나 하고 걱정하고 있었는데, 다행히 마음씨 좋은 탱크 아저씨를 만나고 엄마를 다시 만나 조슈아가 했던 말이 생각난다. “엄마 우리가 이겼어!” 비록 귀도는 함께하지 못했지만 도라와 조슈아가 다시 만나는 해피엔딩이라서 마음이 조금이나마 가벼웠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