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매너리즘의 사회적 배경
Ⅱ. 매너리즘의 개념
Ⅲ. 매너리즘과 고딕
Ⅳ. 매너리즘과 바로크
Ⅴ. 매너리즘의 대표적 예술가
1. 작가
1) 로소 피오렌티노(1495~1540)
2) 파르미자니노1503~1540년)
3) 브론치노(Bronzino, 1503˜72)
4) 틴토레토(Tintoretto, 1518˜94)
5) 엘 그레코(El Greco, 1541˜1614)
6) 코레지오(1489-1534)
2. 건축가, 조각가
1) 페데리코 추카리(1543~1609)
2) 안드레아 팔라디오(1508~80)
3) 장드 불로뉴(1529~1608)
4) 벤베누토 첼리니(1500~1571)
5) 장 구종(1566~?)
6) 자크칼로(1592~1635)
7) 세르반데스(1547~1616)
8) 세익스피어(1564~1616)
참고문헌
Ⅱ. 매너리즘의 개념
Ⅲ. 매너리즘과 고딕
Ⅳ. 매너리즘과 바로크
Ⅴ. 매너리즘의 대표적 예술가
1. 작가
1) 로소 피오렌티노(1495~1540)
2) 파르미자니노1503~1540년)
3) 브론치노(Bronzino, 1503˜72)
4) 틴토레토(Tintoretto, 1518˜94)
5) 엘 그레코(El Greco, 1541˜1614)
6) 코레지오(1489-1534)
2. 건축가, 조각가
1) 페데리코 추카리(1543~1609)
2) 안드레아 팔라디오(1508~80)
3) 장드 불로뉴(1529~1608)
4) 벤베누토 첼리니(1500~1571)
5) 장 구종(1566~?)
6) 자크칼로(1592~1635)
7) 세르반데스(1547~1616)
8) 세익스피어(1564~1616)
참고문헌
본문내용
6경 목판에 유화 145*114> 공간의 깊이는 전혀 느낄 수 없다. 공간의 빽빽한 묘사 성장한 아들 큐피트가 비너스를 애무하는 듯 야릇한 장면을 세월이라는 머리벗겨진 노인이 활짝 열어 폭로한다. 한 어리석은 녀석이 뒤에서 장미꽃잎을 양손에 가득 들고 신나게 뿌리려고 한다. 사랑이란 증오와사기 변덕스러움이 동반할때는 어리석고 어리석음은 시간이 지나면 드러난다는 은유를 전달하는것이다.
4) 틴토레토(Tintoretto, 151894)
<최후의 만찬1592~1594 캔버스유채 569*366><용과싸우는 성게오르기우스1555!8><성마르코의 유해발견1562년경>베네치아파 화가 대각선이나 중심점이 존재하지 않는 불안정한 구도를 통해 극적인 효과를 표현하였다.
5) 엘 그레코(El Greco, 15411614)
1541년에 그리스 크레타 섬에서 태어났으며, 1577년 톨레도로 온 이후 40여 년 동안 종교화의 대가로 작품 활동을 했다. 그의 작품은 18C까지 주목을 받지 못했으나 19C세에 그에 대한 재평가가 이루어져 스페인 최고의 화가로 인정을 받았다.
<십자가의 그리스도를 경배,1608 캔버스에유채 260*171><십자가에 못박힌 그리스도1590~95년경 캔버스에유채 312*169> 화면을 신비화시키고 있다는 점이 중세미술의 표현을 답습하고 있는듯하고 있다.<성안드레아와 성 프란체스코 1603년경 167*113 캔버스에 유채>엘 그레코의 만년작품으로 알려져 있다. 우측하부 끝에 고문서가 바닥에 떨어져 있듯이 놓여 있는데 이것이 서명 서명까지도 그림의 한 구성요소로 취급한 작가의 작품관을 볼 수 있다. <오르가스백작의 매장1586캔버스에유채,361*488>자연적 색채를 무시하고 모호한 윤곽과 평면적 구도로 감성적이고 환상적 분위기의 종교화와 초상화를 남겼다
6) 코레지오(1489-1534)
스퓨마토 기법을 적극 활용하여 부드럽고 섬세하게 인체를 표현함으로써 환상적인 분위기를 연출하였다<거룩한밤>.
2. 건축가, 조각가
1) 페데리코 추카리(1543~1609)
<로마의 추카리 궁의 창문 529년경>
2) 안드레아 팔라디오(1508~80)
<빌라 로톤다 1550년>
3) 장드 불로뉴(1529~1608)
<머큐리상><사비네 여인의 겁탈 1583 높이411 대리석>
조반니 다 볼로냐혹은 잠볼로냐라고 알려진 플랑드르의 조각가이다.
4) 벤베누토 첼리니(1500~1571)
<프랑수아1세의 양념단지1539~1543년 에나멜을 입힌금 33.3*26>
5) 장 구종(1566~?)
<님프>,<순진무구한 자들의 샘>의 부분 1547~9 대리석 240*63 절묘한 기교
6) 자크칼로(1592~1635)
<두 이탈리아 공대1622년 동판화 연작<스페사니아의 춤>의 부분 키가 크고 비쩍 마른 인물들과 넓고 예기치 않은 광경을 놀라운 방식으로 결합시키기를 좋아한다.
7) 세르반데스(1547~1616)
<돈키호테>기사도적 낭만주의에서 현실주의로 넘어가는 과도기인간의 한정형적인 운명을 보여준다.
8) 세익스피어(1564~1616)
기사도는 시대착오적이며 퇴폐적이라고 생각하였다. 이것 또한 매너리즘적 이라할 수 있다.<로미오와줄리엣>
참고문헌
김홍섭, 새롭게 읽는 유럽 미술사, 서울: 이유, 2003
로버트 램 저, 이희재 역, 서양 문화의 역사 2, 사군자
수잔 랭거 저, 박용숙 역, 예술이란 무엇인가, 문예출판사, 1984
이민재, 매너리즘을 보는 세가지 시각, 미술학
최승규, 서양미술 100장면, 한명, 2001
헤르만바우어 저, 홍진경 역, 미술사학의 이해
Gombich, E.H 저, 백승길·이종숭 역, The Story of Art, 서양미술사, 서울: 예경, 1994
4) 틴토레토(Tintoretto, 151894)
<최후의 만찬1592~1594 캔버스유채 569*366><용과싸우는 성게오르기우스1555!8><성마르코의 유해발견1562년경>베네치아파 화가 대각선이나 중심점이 존재하지 않는 불안정한 구도를 통해 극적인 효과를 표현하였다.
5) 엘 그레코(El Greco, 15411614)
1541년에 그리스 크레타 섬에서 태어났으며, 1577년 톨레도로 온 이후 40여 년 동안 종교화의 대가로 작품 활동을 했다. 그의 작품은 18C까지 주목을 받지 못했으나 19C세에 그에 대한 재평가가 이루어져 스페인 최고의 화가로 인정을 받았다.
<십자가의 그리스도를 경배,1608 캔버스에유채 260*171><십자가에 못박힌 그리스도1590~95년경 캔버스에유채 312*169> 화면을 신비화시키고 있다는 점이 중세미술의 표현을 답습하고 있는듯하고 있다.<성안드레아와 성 프란체스코 1603년경 167*113 캔버스에 유채>엘 그레코의 만년작품으로 알려져 있다. 우측하부 끝에 고문서가 바닥에 떨어져 있듯이 놓여 있는데 이것이 서명 서명까지도 그림의 한 구성요소로 취급한 작가의 작품관을 볼 수 있다. <오르가스백작의 매장1586캔버스에유채,361*488>자연적 색채를 무시하고 모호한 윤곽과 평면적 구도로 감성적이고 환상적 분위기의 종교화와 초상화를 남겼다
6) 코레지오(1489-1534)
스퓨마토 기법을 적극 활용하여 부드럽고 섬세하게 인체를 표현함으로써 환상적인 분위기를 연출하였다<거룩한밤>.
2. 건축가, 조각가
1) 페데리코 추카리(1543~1609)
<로마의 추카리 궁의 창문 529년경>
2) 안드레아 팔라디오(1508~80)
<빌라 로톤다 1550년>
3) 장드 불로뉴(1529~1608)
<머큐리상><사비네 여인의 겁탈 1583 높이411 대리석>
조반니 다 볼로냐혹은 잠볼로냐라고 알려진 플랑드르의 조각가이다.
4) 벤베누토 첼리니(1500~1571)
<프랑수아1세의 양념단지1539~1543년 에나멜을 입힌금 33.3*26>
5) 장 구종(1566~?)
<님프>,<순진무구한 자들의 샘>의 부분 1547~9 대리석 240*63 절묘한 기교
6) 자크칼로(1592~1635)
<두 이탈리아 공대1622년 동판화 연작<스페사니아의 춤>의 부분 키가 크고 비쩍 마른 인물들과 넓고 예기치 않은 광경을 놀라운 방식으로 결합시키기를 좋아한다.
7) 세르반데스(1547~1616)
<돈키호테>기사도적 낭만주의에서 현실주의로 넘어가는 과도기인간의 한정형적인 운명을 보여준다.
8) 세익스피어(1564~1616)
기사도는 시대착오적이며 퇴폐적이라고 생각하였다. 이것 또한 매너리즘적 이라할 수 있다.<로미오와줄리엣>
참고문헌
김홍섭, 새롭게 읽는 유럽 미술사, 서울: 이유, 2003
로버트 램 저, 이희재 역, 서양 문화의 역사 2, 사군자
수잔 랭거 저, 박용숙 역, 예술이란 무엇인가, 문예출판사, 1984
이민재, 매너리즘을 보는 세가지 시각, 미술학
최승규, 서양미술 100장면, 한명, 2001
헤르만바우어 저, 홍진경 역, 미술사학의 이해
Gombich, E.H 저, 백승길·이종숭 역, The Story of Art, 서양미술사, 서울: 예경, 1994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