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혈중지질의 구성요소
1. 콜레스테롤(Cholesterol)
2. 고밀도지단백(High Density Lipoprotein)
3. 저밀도지단백(Low Density Lipoprotein)
4. 중성지방(Triglyceride)
Ⅲ. 혈중지질의 대사
1. 지질의 소화와 수송
2. 지질의 소화와 흡수
3. 지질의 수송과 지단백질의 대사
Ⅳ. 혈중지질과 건강
Ⅴ. 혈중지질과 저강도 운동
1. TC 농도의 변화
2. LDL-C 농도의 변화
3. HDL-C 농도의 변화
4. TG 농도의 변화
5. TC/HDL-C (C-Ratio) 비율의 변화
Ⅵ. 혈중지질과 경락마사지
Ⅶ. 혈중지질과 유산소운동, 식이요법
Ⅷ. 혈중지질과 태극권
Ⅸ. 결론
참고문헌
Ⅱ. 혈중지질의 구성요소
1. 콜레스테롤(Cholesterol)
2. 고밀도지단백(High Density Lipoprotein)
3. 저밀도지단백(Low Density Lipoprotein)
4. 중성지방(Triglyceride)
Ⅲ. 혈중지질의 대사
1. 지질의 소화와 수송
2. 지질의 소화와 흡수
3. 지질의 수송과 지단백질의 대사
Ⅳ. 혈중지질과 건강
Ⅴ. 혈중지질과 저강도 운동
1. TC 농도의 변화
2. LDL-C 농도의 변화
3. HDL-C 농도의 변화
4. TG 농도의 변화
5. TC/HDL-C (C-Ratio) 비율의 변화
Ⅵ. 혈중지질과 경락마사지
Ⅶ. 혈중지질과 유산소운동, 식이요법
Ⅷ. 혈중지질과 태극권
Ⅸ.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3명을 12주 동안 주 4회 유산소운동 50% 강도로 45분, 근력운동 50% 강도로 20분 연구에서 TC은 211.4±29.3㎎/㎗에서 208.5±27.2㎎/㎗ 감소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LDL-C은 159.1±43.8㎎/㎗에서 154.0±49.4㎎/㎗로 다소 감소했다. HDL-C은 47.2±8.2㎎/㎗에서 48.7±10.2㎎/㎗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TG은 131.7±34.3㎎/㎗에서 125.3±15.8㎎/㎗ 감소하였으나 유의하지 않았다.
저탄수화물과 운동요법으로 남중학생이 걷기와 조깅으로 40분간 주 5회 4주간의 고단백, 고지방, 저탄수화물로 식이를 했을 경우의 연구에서 TC은 189±25.93㎎/㎗에서 172.57±29.49㎎/㎗로 17.00㎎/㎗ 감소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HDL-C은 51.71±5.94㎎/㎗에서 53.86±8.23㎎/㎗로 2.15㎎/㎗ 증가했다. LDL-C은 162.00±21.35㎎/㎗에서 131.00±24.17㎎/㎗로 31.00㎎/㎗ 감소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TG는 120.43±66.12㎎/㎗에서 61.57±10.97㎎/㎗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했다(p<.05).(이동식, 1999).
Ⅷ. 혈중지질과 태극권
신체조성의 변화를 보면 태극권집단은 사전 30.01±7.28, 사후 26.29±6.17로 감소되었으며, 생활체조집단은 사전 32.39±7.31, 사후 26.96±7.99로 감소하였으며, 비운동집단은 사전 32.03±6.12, 사후 32.91±7.99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지 못했다. 따라서 태극권은 체지방 축적을 억제하는 운동으로 충분하다고 할 수 있다.
콜레스테롤(TC)의 변화를 보면 태극권집단은 사전 162.38±26.58, 사후 127.50±9.53으로 감소하였으며, 생활체조집단은 사전 145.88±27.02, 사후 130.63±9.53으로 감소하였으며, 비운동집단은 사전 155.13±24.88, 사후 161.50±19.73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유산소 운동이 혈중 지단백 콜레스테롤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김교성의 연구에서도 12주 동안의 에어로빅 체조가 TC의 농도를 유의하게 감소시킨 것으로 나타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로 미루어 태극권 수련이 노인여성의 혈중 콜레스테롤(TC) 농도를 유의하게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중성지방(TG)의 변화를 보면 태극권집단 사전 139.38±23.76, 사후 117.50±19.52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생활체조집단 사전 126.25±32.93, 사후 105.50±26.49로 감소하였으며, 비운동집단은 사전 130.38±23.22, 사후 137.63±19.18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현송자에 의하면 70% 운동강도로 8주간 조깅 프로그램에 의해 운동시킨 결과 TG의 수치가 41.6% 감소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가져왔다고 하여 본 연구와 일치하는 경향을 보여주어 태극권이 TG의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LDL)은 태극권집단 사전 80.75±13.02, 사후 74.75±12.26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생활체조집단은 사전 68.75±14.12, 사후 64.25±14.17로 감소하였으며, 비운동집단 사전 76.50±9.75, 사후 80.38±7.67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저밀도 콜레스테롤은 지단백질 가운데 콜레스테롤을 동맥의 혈관 내막에 작용시켜 동맥경화를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박익렬에 의하면 장기간 함정 생활중 규칙적인 운동이 혈중지질 및 지단백 농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서 LDL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본 연구 결과와 일치함을 보여 태극권이 LDL의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밀도지단백(HDL)은 태극권집단 사전 59.13±9.43, 사후 74.38±6.89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생활체조집단은 사전 53.75±10.90, 사후 72.63±10.97로 증가하였으며, 비운동집단은 사전 51.38±8.03, 사후 48.25±7.52로 감소하였다. 김형묵에 의하면 웨이트 트레이닝이 노인의 근력, 신체조성과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HDL이 유의하게 감소하여 본 연구와 일치함을 보여 태극권이 HDL의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Ⅸ. 결론
건강은 개인이 자연의 성장 발달수준에서 적절한 기능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신체적·생리적·정신적·사회적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역량을 갖춘 상태이다. 현대의 고도화된 과학에서 신체적 정신적 불균형 인간상을 초래하여 삶에 질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오늘날 정보통신산업과 교통 등 자동화 수단이 발달되며 신체활동 및 운동부족 현상이 나타나며, 또한 식생활이 서구화로 변화함에 따라 성인병을 비롯한 현대병이 만연되고 있다.
운동부족이 일상화되면, 폐의 기능이 저하되어 환기율이 나빠지고 심장의 펌프작용이 약해지며, 혈관은 탄력성을 잃어, 산소 및 영양소의 운반통로로서의 역할을 다하지 못한다. 그러면 결국 몸 천체의 기관에 이상을 일으키고 중년기 이후에는 성인병에 걸리게 된다. 운동을 통하여 신체 각 기관의 기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특히 신체활동의 능력을 좌우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인 산소섭취능력 및 공급능력을 유지시킴으로써 성인병을 예방할 수 있다.
성인병은 생활습관과 환경요인에 의해 주로 좌우되므로 건전한 생활습관과 적절한 운동을 통해서 예방할 수 있으며 65세 이전에 이들 질환에 대한 사망률은 85%는 예방될 수 있다
참고문헌
김교성(1992), 유산소성 운동이 혈중 지단백 콜레스테롤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김재호(1996), 체력과 건강, 단국대출판사
김형묵(1997), 웨이트 트레이닝이 노인의 근력, 신체조성과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박익렬(1996), 장기간 함정 생활 중 규칙적인 운동이 혈중지질 및 지단백농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백영수(1992), 운동시 지질대사와 호르몬의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학회
성기홍·이동수·장지훈·이택상(2001), 걷기는 과학이다, 도서출판 한미의학
저탄수화물과 운동요법으로 남중학생이 걷기와 조깅으로 40분간 주 5회 4주간의 고단백, 고지방, 저탄수화물로 식이를 했을 경우의 연구에서 TC은 189±25.93㎎/㎗에서 172.57±29.49㎎/㎗로 17.00㎎/㎗ 감소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HDL-C은 51.71±5.94㎎/㎗에서 53.86±8.23㎎/㎗로 2.15㎎/㎗ 증가했다. LDL-C은 162.00±21.35㎎/㎗에서 131.00±24.17㎎/㎗로 31.00㎎/㎗ 감소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TG는 120.43±66.12㎎/㎗에서 61.57±10.97㎎/㎗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했다(p<.05).(이동식, 1999).
Ⅷ. 혈중지질과 태극권
신체조성의 변화를 보면 태극권집단은 사전 30.01±7.28, 사후 26.29±6.17로 감소되었으며, 생활체조집단은 사전 32.39±7.31, 사후 26.96±7.99로 감소하였으며, 비운동집단은 사전 32.03±6.12, 사후 32.91±7.99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지 못했다. 따라서 태극권은 체지방 축적을 억제하는 운동으로 충분하다고 할 수 있다.
콜레스테롤(TC)의 변화를 보면 태극권집단은 사전 162.38±26.58, 사후 127.50±9.53으로 감소하였으며, 생활체조집단은 사전 145.88±27.02, 사후 130.63±9.53으로 감소하였으며, 비운동집단은 사전 155.13±24.88, 사후 161.50±19.73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유산소 운동이 혈중 지단백 콜레스테롤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김교성의 연구에서도 12주 동안의 에어로빅 체조가 TC의 농도를 유의하게 감소시킨 것으로 나타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로 미루어 태극권 수련이 노인여성의 혈중 콜레스테롤(TC) 농도를 유의하게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중성지방(TG)의 변화를 보면 태극권집단 사전 139.38±23.76, 사후 117.50±19.52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생활체조집단 사전 126.25±32.93, 사후 105.50±26.49로 감소하였으며, 비운동집단은 사전 130.38±23.22, 사후 137.63±19.18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현송자에 의하면 70% 운동강도로 8주간 조깅 프로그램에 의해 운동시킨 결과 TG의 수치가 41.6% 감소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가져왔다고 하여 본 연구와 일치하는 경향을 보여주어 태극권이 TG의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LDL)은 태극권집단 사전 80.75±13.02, 사후 74.75±12.26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생활체조집단은 사전 68.75±14.12, 사후 64.25±14.17로 감소하였으며, 비운동집단 사전 76.50±9.75, 사후 80.38±7.67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저밀도 콜레스테롤은 지단백질 가운데 콜레스테롤을 동맥의 혈관 내막에 작용시켜 동맥경화를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박익렬에 의하면 장기간 함정 생활중 규칙적인 운동이 혈중지질 및 지단백 농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서 LDL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본 연구 결과와 일치함을 보여 태극권이 LDL의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밀도지단백(HDL)은 태극권집단 사전 59.13±9.43, 사후 74.38±6.89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생활체조집단은 사전 53.75±10.90, 사후 72.63±10.97로 증가하였으며, 비운동집단은 사전 51.38±8.03, 사후 48.25±7.52로 감소하였다. 김형묵에 의하면 웨이트 트레이닝이 노인의 근력, 신체조성과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HDL이 유의하게 감소하여 본 연구와 일치함을 보여 태극권이 HDL의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Ⅸ. 결론
건강은 개인이 자연의 성장 발달수준에서 적절한 기능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신체적·생리적·정신적·사회적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역량을 갖춘 상태이다. 현대의 고도화된 과학에서 신체적 정신적 불균형 인간상을 초래하여 삶에 질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오늘날 정보통신산업과 교통 등 자동화 수단이 발달되며 신체활동 및 운동부족 현상이 나타나며, 또한 식생활이 서구화로 변화함에 따라 성인병을 비롯한 현대병이 만연되고 있다.
운동부족이 일상화되면, 폐의 기능이 저하되어 환기율이 나빠지고 심장의 펌프작용이 약해지며, 혈관은 탄력성을 잃어, 산소 및 영양소의 운반통로로서의 역할을 다하지 못한다. 그러면 결국 몸 천체의 기관에 이상을 일으키고 중년기 이후에는 성인병에 걸리게 된다. 운동을 통하여 신체 각 기관의 기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특히 신체활동의 능력을 좌우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인 산소섭취능력 및 공급능력을 유지시킴으로써 성인병을 예방할 수 있다.
성인병은 생활습관과 환경요인에 의해 주로 좌우되므로 건전한 생활습관과 적절한 운동을 통해서 예방할 수 있으며 65세 이전에 이들 질환에 대한 사망률은 85%는 예방될 수 있다
참고문헌
김교성(1992), 유산소성 운동이 혈중 지단백 콜레스테롤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김재호(1996), 체력과 건강, 단국대출판사
김형묵(1997), 웨이트 트레이닝이 노인의 근력, 신체조성과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박익렬(1996), 장기간 함정 생활 중 규칙적인 운동이 혈중지질 및 지단백농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백영수(1992), 운동시 지질대사와 호르몬의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학회
성기홍·이동수·장지훈·이택상(2001), 걷기는 과학이다, 도서출판 한미의학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