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CP/IP프로토콜][TCP/IP][프로토콜]TCP/IP프로토콜의 등장배경, TCP/IP프로토콜의 구성요소, TCP/IP프로토콜의 계층, TCP/IP프로토콜의 전송방법, TCP/IP프로토콜의 기본적 서비스, TCP/IP프로토콜의 인터넷서비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TCP/IP프로토콜][TCP/IP][프로토콜]TCP/IP프로토콜의 등장배경, TCP/IP프로토콜의 구성요소, TCP/IP프로토콜의 계층, TCP/IP프로토콜의 전송방법, TCP/IP프로토콜의 기본적 서비스, TCP/IP프로토콜의 인터넷서비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TCP/IP프로토콜의 등장배경

Ⅲ. TCP/IP프로토콜의 구성요소
1. 호스트[host]
2. 네트워크[network]
3. 리피터[repeater]
4. 라우터[router]
5. 브리지[bridge]
6. 게이트웨이[Gateway]

Ⅳ. TCP/IP프로토콜의 계층
1. 네트워크 계층
1) LAN 관련 기반 기술
2) WAN 관련 기반 기술
2. 인터넷 계층
1) ICMP(Internet Control Manage Protocol)
2) IP(Internet Protocol)
3) ARP(Address Resolusion Protocol) : 주소찾기 프로토콜
3. 트랜스포트 계층
1)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2) UDP(User Datagram Protocol)
4. 응용 프로그램 계층
1) winsock
2) NetBIOS

Ⅴ. TCP/IP프로토콜의 전송방법

Ⅵ. TCP/IP프로토콜의 기본적 서비스
1. 파일 전송(File Transfer)
2. 원격 접속(Remote Login)
3. 전자 메일(E-Mail)

Ⅶ. TCP/IP프로토콜의 인터넷서비스
1. HTTP : 웹 서비스
2. TELNET : 원격 컴퓨터 접속
3. FTP(FILE TRANSFER PROTOCOL) : 파일전송
4.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 E-mail 전송
5. DNS(DOMAIN NAME SERVICE)
6. IP ADDRESS

Ⅷ.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PC로 바로 메시지가 날아오게 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 그 이유는 PC가 항상 켜져 있어서 Mail을 받는 프로그램을 기동하기란 어렵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Unix-Machine이나 대형 컴퓨터에 Mail-Server를 운영하는 것이 보통이다. 세 가지 서비스 중 E-Mail을 제외하고는, 어떠한 TCP/IP의 운영에서도 있어야 한다. 위의 세 가지 서비스 이외에도 NFS(Network File System), Remote-Printing, Remote-Execution, Name-Servers, Terminal-Servers, Network-oriented Window Systems이 있다.
Ⅶ. TCP/IP프로토콜의 인터넷서비스
1. HTTP : 웹 서비스
가장 대중적인 인터넷 서비스로 WWW라고 불리기도 한다. 현재 사용중인 인터넷의 대부분을 사용한다.
2. TELNET : 원격 컴퓨터 접속
원격으로 네트워크의 호스트에 접속해 상용할 수 있는 원격 터미널 에뮬레이션 프로토콜이다. 현재 사용되는 통신 에뮬레이터는 텔넷을 통한 접속과 전화접속을 통한 접속을 지원한다.
3. FTP(FILE TRANSFER PROTOCOL) : 파일전송
파일 전송을 위해 만든 프로토콜로 현재 월드와이드웹과 함께 가장 많이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다. FTP는 원격 호스트에서 파일의 기본적인 운영과 호스트간의 파일전송을 위한 프로토콜이며 프로그램이다.
4.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 E-mail 전송
전자우편 시스템에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다. 실제로 E메일은 인터넷에서 가장 중요한 응용프로그램이다. 인터넷 E메일을 지원하는 프로토콜은 다른 TCP/IP 호스트들간의 E-mail 메시지를 전송하기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 SMTP이다.
5. DNS(DOMAIN NAME SERVICE)
특정 컴퓨터에서 이름을 붙여 좀더 기억하기 쉽게 만들기 위한 서비스이다.
6. IP ADDRESS
인터넷상에서 하나의 컴퓨터를 구분하기 위해 사용하는 고유번호이다. 모든 컴퓨터는 고유의 IP 주소를 가지며 이러한 주소는 인터넷 관련기관에서 전 세계의 주소를 관리하고 있다. 각 숫자단위 사이를 DOT(.)으로 구분하며, 4단위의 숫자를 사용해 IP주소를 표시한다. INTERNET 상의 SUBNET을 지칭하는 부분(SUBNET-ID)와 SUBNET상의 HOST를 지칭하는 부분(HOST-ID)으로 나누어진다
Ⅷ. 결론
TCP/IP는 인터넷 같은 커다란 네트워크의 집합들에 사용되기 위해 만들어져왔고 또 그동안 실제 로 다른 프로토콜보다 뛰어난 효율성과 안정성을 보이며 사용되어져왔다. 최근들어 인터넷 호스트 수가 증가함에 따라 기존의 TCP/IP 프로토콜로서는 이를 수용할 수 없게 되자 IPNG(Internet Protocol Next Generation)같은 계획을 통해 이를 보완하고 있다.
인터넷이나 TCP/IP 프로토콜 모두 고정적이지는 않다. 세계의 여러 가지 연구기관들에서 이 기 술들을 확장하고 발전시켜나가려는 노력을 계속하고 있다. 앞으로도 TCP/IP기술은 인터넷의 확장과 더불어 계속 발전해 나갈 것이다.
참고문헌
1. 조경민, TCP/IP 소켓 프로그래밍, 한빛미디어2
2. 차세대 무선 인터넷 기술, 진한도서
3. Nobukazu Iguchi, 기초부터 배우는 TCP/IP 네트워크 툴 활용, 성안당
4. JAMES MARTIN·JOE LEBEN저, 오창식 외 2명 역, TCP/IP 네트워킹 제3장 TCP/IP 구조, 서울 : 이한 출판사, 1998
5. W. Richard Stevens 저, 정진욱·변옥환 역, TCP/IP 네트워크, 진영사, 1999
  • 가격5,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9.04.15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3016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