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반한감정 - 2008 베이징 올림픽으로 본 반한감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발단과 전개과정
(1) 역사적
(2) 언론매체
(3) 올림픽
(4) 문화적
2. 한국의 중국에 대한 태도
3. 경제에 끼치는 영향
4. 반한감정 증폭 요인
5. 해결방안


Ⅲ. 결론

본문내용

을 가지고 있으며 점차 사회전체로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한국 일간지의 기사의 내용은 곧바로 중국 인터넷에 유포되었고, 반한 감정을 모르던 중국인들까지 한국인들의 반중(反中)정서를 이야기하게 만들었다. 그러나 다행인 것은 아직 혐한증의 내용이 사이버공간의 논쟁거리로 한정되고 있다는 점이다. 만나는 중국인에게 혐한증이나 반한감정에 대해 물어보면 오히려 그런 게 있냐고 반문한다. 그 중 몇 사람은 QQ 중국 검색 포털사이트
에서 혐한증에 관한 글을 본 적이 있지만 그것 때문에 혐한증이나 반한감정을 가지게 되지는 않는다고 말한다. 여전히 중국인은 반한(反韓)보다 한국을 좋아하는(喜韓) 쪽이 주류이고, 한국드라마, 한국제품, 한국 미용실을 선호하고 있으며, 지금까지 중국인들은 일본상품 불매운동을 한 사실은 있어도 한국 상품 불매운동을 한 적이 없다고 한다. 중국에 진출한 한국기업 역시 반한감정으로 인해 영향을 받았다는 보도를 본 적이 없다는 것이다. 변명하기를, 인터넷상에 유포된 반한정서를 자극하는 문장 대부분은 중고등학교도 졸업하지 않은 아이들이 쓴 미숙한 글에 소위 ‘애국인사’들의 첨언이 덧붙여진 것이라고 일축한다.
5. 해결방안
혐한증, 반한감정을 이대로 방치해서는 안 되는 이유는 이미 한중간에는 공유하고 있는 이익이 너무나 방대하며, 앞으로 더욱 확대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먼저는 회자되고 있는 내용의 진위를 구분하여 오해와 사실을 정리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동북공정, 역사문제 등은 감정싸움의 차원이 아니라 학문적·외교적 차원에서 연구되어야 한다. 단오절과 같은 문화주권문제의 경우는 양국이 서로의 입장을 존중해야 한다. 음력 5월 5일을 단오라고 하는 것은 한국과 중국이 동일하지만 굴원을 기념하는 중국의 단오절과 한국의 강릉단오제는 다르다. 각각 특색 있는 세시풍속을 세계문화유산에 등재신청 할 수 있다. 중국도 중국 나름의 관습과 풍속이 있다. 공유할 수 있는 이익, 분할할 수 있는 이익, 구분해야 되는 이익을 구별하여 접근해야 한다. 또한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혐한증을 부풀리는데 책임이 큰 일간지와 인터넷 유저들의 성숙하고 책임감 있는 자세가 요구된다. http://blog.naver.com/freep815/60057095472
http://blog.naver.com/ldj0896?Redirect=Log&logNo=70034610462
Ⅲ. 결론
전문가들은 이번에 부각된 반한 감정은 한류에 대한 반작용의 의미가 있다면서 서로 노력해서 양국 간 발전을 위해 상생하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령 전 문화부장관은 "민족주의 경쟁을 하기보다 서로의 특성을 존중하면서 경쟁과 협력을 동시에 해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한국과 중국 정상이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맺은 것 못지않게 중요한 것은 국민 간 상호 신뢰와 이해를 가져야 한다는 점. 이번 올림픽을 통해 드러난 중국 내 반한기류의 원인을 철저히 분석해 신뢰와 이해를 더욱 깊게 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는 과제가 이제 우리 앞에 남겨진 셈이다.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9.04.17
  • 저작시기2009.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305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