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지진이란?
2. 지진의 원인
3. 지진의 분류
4. 지진의 요소
5. 지진 발생 시 대피요령
6. 잘못 사용되는 용어
[참고자료]
2. 지진의 원인
3. 지진의 분류
4. 지진의 요소
5. 지진 발생 시 대피요령
6. 잘못 사용되는 용어
[참고자료]
본문내용
l이라고도 쓴다. 진도는 어떤 장소에 나타난 지진동의 세기를 사람의 느낌이나 주변의 물체 또는 구조물의 흔들림 정도를 수치로 표현한 것으로 정해진 설문을 기준으로 계급화한 척도이다.
따라서 진도계급은 세계적으로 통일되어 있지 않으며 나라마다 실정에 맞는 척도를 채택하고 있다. 기상청은 과거 일본 기상청계급(JMA Scale : 1949)을 사용하여 왔으나 2001년 1월 1일부터는 미국에서 시작되어 여러 나라가 사용하는 MM scale (Modified Mercalli scale : 1931, 1956)을 사용한다.
5. 지진 발생 시 대피요령
즉시 가리고, 엎드리고, 붙잡아 몸을 안전하게 보호한다.
절대 당황하지 말고 사용하던 전열기구, 가스렌지 등을 확실하게 끈다.
문이 뒤틀려 열리지 않을 수 있으므로 재빨리 문을 열어 탈출구를 확보한다.
"불이야"하고 크게 소리 질러 주위의 도움을 청하고 소화기 등으로 즉시 소화한다.
당황하여 밖으로 뛰어 나가지 말고 가능한 한 지진이 끝날 때까지 안에 머무르고, 밖으로 피할 때는 유리창, 간판 등 낙하물에 주의한다.
좁은 길, 담 근처로 피신하지 말고, 벽, 문기둥, 자판기 등은 넘어지기 쉬우므로 주의한다.
산악지역이나 해안에서 지진을 만나면 산사태의 위험이 없는 평지나 해안에서 떨어져 있는 언덕이나 산으로 신속히 대피
지정된 장소에 걸어서 대피하고 짐은 최소로 짊어져 양팔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먼저 가족과 이웃의 안전을 확인한 후 많은 사상자가 발생하므로 노인, 장애인, 어린이 등을 먼저 구조, 구급, 구호한다.
라디오, TV, 행정기관 등을 통해 정보를 입수하여 적절한 행동을 취하고 유언비어에 휩쓸리지 않도록한다.
6. 잘못 사용되는 용어
o 국제적으로 ’규모’는 소수 1위의 아라비아 숫자로 표기하고 ’진도’는 정수단위의 로마 숫자 로 표기하는 것이 관례이다. (ex. 규모 5.6, 진도 Ⅳ)
o ’리히터지진계로 진도 5.6의 지진’은 틀린 표현이며 ’리히터스케일 혹은 리히터 규모 5.6의 지진’ 또는 단순히 ’규모 5.6의 지진’라 표현해야 한다.
(※ ’리히터지진계’라는 기계는 존재하지 않는다.)
o ’진도 5.6’은 틀린 표현이며 ’규모 5.6’이라 표현하는 것이 옳은 표기법이다.
o ’강도’라는 표현은 지진학에서 사용하지 않는 용어이다.
[참고자료]
1. 기상청 지진쎈터 자료실.
2. 소방방재청 안전교육광장.
따라서 진도계급은 세계적으로 통일되어 있지 않으며 나라마다 실정에 맞는 척도를 채택하고 있다. 기상청은 과거 일본 기상청계급(JMA Scale : 1949)을 사용하여 왔으나 2001년 1월 1일부터는 미국에서 시작되어 여러 나라가 사용하는 MM scale (Modified Mercalli scale : 1931, 1956)을 사용한다.
5. 지진 발생 시 대피요령
즉시 가리고, 엎드리고, 붙잡아 몸을 안전하게 보호한다.
절대 당황하지 말고 사용하던 전열기구, 가스렌지 등을 확실하게 끈다.
문이 뒤틀려 열리지 않을 수 있으므로 재빨리 문을 열어 탈출구를 확보한다.
"불이야"하고 크게 소리 질러 주위의 도움을 청하고 소화기 등으로 즉시 소화한다.
당황하여 밖으로 뛰어 나가지 말고 가능한 한 지진이 끝날 때까지 안에 머무르고, 밖으로 피할 때는 유리창, 간판 등 낙하물에 주의한다.
좁은 길, 담 근처로 피신하지 말고, 벽, 문기둥, 자판기 등은 넘어지기 쉬우므로 주의한다.
산악지역이나 해안에서 지진을 만나면 산사태의 위험이 없는 평지나 해안에서 떨어져 있는 언덕이나 산으로 신속히 대피
지정된 장소에 걸어서 대피하고 짐은 최소로 짊어져 양팔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먼저 가족과 이웃의 안전을 확인한 후 많은 사상자가 발생하므로 노인, 장애인, 어린이 등을 먼저 구조, 구급, 구호한다.
라디오, TV, 행정기관 등을 통해 정보를 입수하여 적절한 행동을 취하고 유언비어에 휩쓸리지 않도록한다.
6. 잘못 사용되는 용어
o 국제적으로 ’규모’는 소수 1위의 아라비아 숫자로 표기하고 ’진도’는 정수단위의 로마 숫자 로 표기하는 것이 관례이다. (ex. 규모 5.6, 진도 Ⅳ)
o ’리히터지진계로 진도 5.6의 지진’은 틀린 표현이며 ’리히터스케일 혹은 리히터 규모 5.6의 지진’ 또는 단순히 ’규모 5.6의 지진’라 표현해야 한다.
(※ ’리히터지진계’라는 기계는 존재하지 않는다.)
o ’진도 5.6’은 틀린 표현이며 ’규모 5.6’이라 표현하는 것이 옳은 표기법이다.
o ’강도’라는 표현은 지진학에서 사용하지 않는 용어이다.
[참고자료]
1. 기상청 지진쎈터 자료실.
2. 소방방재청 안전교육광장.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