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목차
삼성이란
삼성 SDI
헝가리란
삼성 SDI에 앞서 삼성전자 헝가리에 진출하다
삼성SDI 헝가리 진출
결론 및 참고문헌과 참고자료
삼성 SDI
헝가리란
삼성 SDI에 앞서 삼성전자 헝가리에 진출하다
삼성SDI 헝가리 진출
결론 및 참고문헌과 참고자료
본문내용
1.1. 진출배경
-동구권의 핵심 상권인 헝가리에 투자함으로써 동구권 시장에 대한 경험을 쌓고 헝가리 시장을 동구권 진출의 전진기지로 확보하고자 하였다.
-헝가리 내수시장에서의 이익실현이 가능하다고 판단하였다.
-한국과 헝가리 정부 차원의 정치, 경제협력체제가 가속화 되면서 해외 직접투자 여건이 조성되기 시작하였다. 상호 투자 보호 협정과 이중과세방지 협정 체결 등의 급속한 관계개선이 계속 이루어젔다.
1.2. 진출시기 및 시장 환경
-1987년부터 헝가리 투자를 검토하여 1989년 2월 법인을 설립하고 1990년 4월에 공장을 가동하였다.
-정치환경은 급격한 변화를 맞고 있었다. 고르바초프가 주도하는 페레스트로이카 개혁정책을 표방하면서도 여전히 사회주의 국가의 잔재가 많이 남아 있었다.
1.3. 진출 규모 및 형태
삼성과 현지 국영전자회사 파트너인 오리온사와 50:50의 지분 비율을 가지는 전형적인 상호합작형 진출을 하였다. 초기에는 330만불 규모로 투자하였고 대부분 초기 설비투자 및 운전자금으로 사용되었다.
1.4. 입지여건
-농촌에 위치하고 있어 많은 물류비용이 발생하고 있었다. 부다페스트에서 약 70km떨어져 있는 야스페니사루라는 작은 농촌에 합작사인 오리온사의 기존 공장을 사용하는 관계로 적지 않은 물류비용이 발생하였다.
1.5. 경쟁사
-삼성을 둘러싼 경쟁사들의 현황을 보면, 해외진출의 역사가 길고 뛰어난 자금력을 바탕으로 해외에서 종횡무진하게 뛰고 있는 일본기업조차도 당시 직접투자를 하지 않은 상태에서 헝가리 시장에 진출하였다. 한국의 대우가 1988년 부다페스트 지점을 개설하고, LG의 경우 현지 대리점마를 통한 약간의 교역이 있었다. 이러한 국내 경쟁사들의 교역이 현지 시장에서 소규모로 시작되고 있는 상태에서 헝가리 시장에 투자하게 되었다. 즉 단기적으로 보면 헝가리는 안정적인 삼성 주도 시장이라 할 수 있으나, 장래는 불투명 하였다.
-동구권의 핵심 상권인 헝가리에 투자함으로써 동구권 시장에 대한 경험을 쌓고 헝가리 시장을 동구권 진출의 전진기지로 확보하고자 하였다.
-헝가리 내수시장에서의 이익실현이 가능하다고 판단하였다.
-한국과 헝가리 정부 차원의 정치, 경제협력체제가 가속화 되면서 해외 직접투자 여건이 조성되기 시작하였다. 상호 투자 보호 협정과 이중과세방지 협정 체결 등의 급속한 관계개선이 계속 이루어젔다.
1.2. 진출시기 및 시장 환경
-1987년부터 헝가리 투자를 검토하여 1989년 2월 법인을 설립하고 1990년 4월에 공장을 가동하였다.
-정치환경은 급격한 변화를 맞고 있었다. 고르바초프가 주도하는 페레스트로이카 개혁정책을 표방하면서도 여전히 사회주의 국가의 잔재가 많이 남아 있었다.
1.3. 진출 규모 및 형태
삼성과 현지 국영전자회사 파트너인 오리온사와 50:50의 지분 비율을 가지는 전형적인 상호합작형 진출을 하였다. 초기에는 330만불 규모로 투자하였고 대부분 초기 설비투자 및 운전자금으로 사용되었다.
1.4. 입지여건
-농촌에 위치하고 있어 많은 물류비용이 발생하고 있었다. 부다페스트에서 약 70km떨어져 있는 야스페니사루라는 작은 농촌에 합작사인 오리온사의 기존 공장을 사용하는 관계로 적지 않은 물류비용이 발생하였다.
1.5. 경쟁사
-삼성을 둘러싼 경쟁사들의 현황을 보면, 해외진출의 역사가 길고 뛰어난 자금력을 바탕으로 해외에서 종횡무진하게 뛰고 있는 일본기업조차도 당시 직접투자를 하지 않은 상태에서 헝가리 시장에 진출하였다. 한국의 대우가 1988년 부다페스트 지점을 개설하고, LG의 경우 현지 대리점마를 통한 약간의 교역이 있었다. 이러한 국내 경쟁사들의 교역이 현지 시장에서 소규모로 시작되고 있는 상태에서 헝가리 시장에 투자하게 되었다. 즉 단기적으로 보면 헝가리는 안정적인 삼성 주도 시장이라 할 수 있으나, 장래는 불투명 하였다.
추천자료
BBQ치킨 기업조사 및 성공사례 및 해외진출사례 조사
[한국기업 사례조사]이마트의 해외진출 성공요인
로만손의 해외진출전략, 기업분석, 해외시장진출, 글로벌전략사례, 해외시장진출사례
삼다수의 유럽진출 방안,삼다수,삼다수마케팅,삼다수마케팅전략,삼다수분석,삼다수기업분석,...
P&G 의 시장 진출과 Gillette M&A,P&G해외시장진출,P&G의엠엔에이,P&G...
외국자본기업(외국투자기업, 해외투자기업)의 동기, 외국자본기업(외국투자기업, 해외투자기...
한국 기업 LG전자 휘센의 해외진출 성공사례 및 시사점
국순당 기업분석 및 국순당 막걸리 해외진출 마케팅전략분석
풀무원(Pulmuone) 기업분석과 풀무원 해외진출전략분석 및 풀무원 경영전략분석과 풀무원 SWO...
이랜드 그룹 (The E-land Group) 해외진출 사례 - ELAND 이랜드그룹 해외진출전략 사례분석과...
넥슨(Nexon) 기업분석 & 중국시장 진출 분석, 해외진출 성공분석.pptx
무역학개론 - 우리기업의 성공적 해외진출 사례
MCM 기업분석과 SWOT분석및 MCM 해외진출 마케팅 4P,STP전략 기획과 MCM 향후 글로벌전략 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