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 대장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소장
(1) 소장의 구조
▷십이지장
▷공장
▷회장
▷소장벽
(2) 소장의 기능
▷소장의 운동
▷소장에서의 소화
▷소장에서의 흡수

2. 대장
(1) 대장의 구조
▷회맹판
▷상행결장
▷횡행결장
▷하행결장
▷S상결장
▷직장
▷주혈관
(2) 대장의 기능
▷수분과 전해질 흡수, 변을 만들어 배출

본문내용

장의 주요 활동은 입으로 들어온 음식이 소장을 통과하는 동안에 소화 흡수되고 남은 찌꺼기를 대변을 만들어 몸 밖으로 배출하는 것이다.
대장에서는 긴 시간에 걸쳐 수분이 흡수되며 S자결장 부근에서 변이되어 저장된다. 장은 꿈틀거리는 곤충과 같은 연동운동으로 내용물을 조금씩 앞으로 보내지만 막상 변이 나오는 단계에서는 괴상운동이라고 하여 한번에 수축하여 배출하게 된다.
장은 자율신경이라는 신경에 의해 자동적으로 움직이도록 되어 있고 우리들의 의지대로 정지한다든지 움직이게 한다든지 하는 것은 안되지만 전적으로 무관한 것은 아니며, 중추신경과 일부 연결되어 있어 아침에 일어나서 찬물을 마시거나 식사를 하게 되면 그 신호가 위에서 중추신경으로 전달되고 그것이 대장에 가서 대장을 수축시켜 배변을 일으킨다. 이것을 위 ·대장반사라고 한다.
이 자율신경은 초조함과 걱정 등 우리들의 감정의 변화에 많은 영향을 끼친다. 대장의 운동기능은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 호르몬, 대사관계 등 국소 및 전신적인 요소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그러나 대장의 운동기능조절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바로 음식물이다. 적절한 양의 식이섬유 및 수분섭취는 원활한 배변에 매우 중요하다.
적절한 양의 탄수화물 섭취 및 과다한 단백질의 섭취를 피하는 것은 대장내에 유산균의 증식, 유기음이온의 생성 및 산성 pH를 유지하게 해 줌으로써 대장운동을 자극해주는 효과가 있다. 대장 내에서는 정상의 상태에서도 대장균, 유산균 등의 무수한 세균이 있다. 이러한 세균이 소장에서 소화되고 난 음식물의 남는 것을 발효시켜서 대변을 만드는 것이다.

키워드

  • 가격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9.04.18
  • 저작시기2009.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3098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