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일본고전문학 군기물어의 정의
Ⅱ. 일본고전문학 군기물어의 성립
Ⅲ. 일본고전문학 군기물어의 특징
Ⅳ. 일본고전문학 군기물어중 평가물어
1. 기원정사중에서
2. 여원사거중에서
3. 평가물어의 성격
참고문헌
Ⅱ. 일본고전문학 군기물어의 성립
Ⅲ. 일본고전문학 군기물어의 특징
Ⅳ. 일본고전문학 군기물어중 평가물어
1. 기원정사중에서
2. 여원사거중에서
3. 평가물어의 성격
참고문헌
본문내용
ももできず言いせないほどである。
이 장에서 특히 눈에 띄는 단어라면 성자필쇠라고 할 수 있다. 이 단어야말로 평가물어에 담겨있는 무상감을 잘 나타내 준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중국과 일본의 한때는 영화의 극치를 맛보았다가 몰락해버린 사람들을 이야기하며 그들과 평청성를 나란히 놓는데서 -전술한 바와 같이 청성의 반역적인 이미지를 주기도 하지만 - 결국 평가 또한 그러한 운명일 수밖에 없다는 사실을 나타내고 있다. 평가물어는 어떻게 생각해보면 제목 그대로 평씨들의 이야기다. 천황가에서 그 핏줄이 이어진다는 부분을 제하면 평충성가 처음으로 승전을 허락 받은 이야기에서 시작해서 청성의 증손 육대가 처형되어 평가의 자손이 전멸하는 이야기로 끝난다. 이 평가의 몰락이 물어 시작 부분의 평가의 영화로운 모습과 비교되어 더더욱 무상감을 자아내는 것이다. 이러한 평가의 몰락을 주된 이야기로 하면서 목증의중나, 원의경의 몰락이 더해지면서 그러한 감상을 더해주는 것이다.
그러한 무상감을 잘 느낄 수 있는 부분이 여러 곳 있는데 우선 무엇보다도 壇の浦에서 패배한 평씨의 사람들이 차례로 물에 뛰어들어 죽는 장면을 들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성와 같이 죽음 앞에서 삶에 집착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하지만, “わが身は女なりとも、かたきの手にはかかるまじ。君の御供に參るなり。御心ざし思ひ參らせ給はん人はいそぎつづき給へ”라고 말하며 平氏의 자부심을 지키기 위해 스스로 안덕천황을 안고 물로 뛰어든 평청성의 아내이자 천황의 외할머니인 이위전의 모습에서 그러함 무상감은 여실히 드러나고 있다. 특히 평충도의 경우, 훌륭한 가인이기도 했던 그가 의중의 경도 공격을 막기 위해 전쟁에 나가면서, 그의 화가 스승이었던 등원준성를 찾아가 그가 지은 화가집을 건네며 준성이 편집하고 있는 칙선화가집에 실리기를 기대하지만, 훗날 천재화가집에 故の花라는 그의 작품이 단 한 수 실리면서 그것 또한 ‘よみ人知らず’라고 밖에 소개될 수 없었던 것에서 읽는 이가 느끼는 무상감은 더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참고문헌
군기물어토민간전승, 암기미술사
길전정일 편, 유정 역, 현대일본문학사, 정음사, 1984
김문길 외 3명, 일본문학 이해, 형설출판사, 1998
이원희, 일본 문학의 길라잡이, 영남대학교 출판부, 2001
이일숙 저, 시대별일본문학사, 도서출판계명, 2000
일본문학연구자료간행위원회 편, 평가물어, 유정당, 1986
중촌수진 외, 일본문학사, 동원서점, 1986
이 장에서 특히 눈에 띄는 단어라면 성자필쇠라고 할 수 있다. 이 단어야말로 평가물어에 담겨있는 무상감을 잘 나타내 준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중국과 일본의 한때는 영화의 극치를 맛보았다가 몰락해버린 사람들을 이야기하며 그들과 평청성를 나란히 놓는데서 -전술한 바와 같이 청성의 반역적인 이미지를 주기도 하지만 - 결국 평가 또한 그러한 운명일 수밖에 없다는 사실을 나타내고 있다. 평가물어는 어떻게 생각해보면 제목 그대로 평씨들의 이야기다. 천황가에서 그 핏줄이 이어진다는 부분을 제하면 평충성가 처음으로 승전을 허락 받은 이야기에서 시작해서 청성의 증손 육대가 처형되어 평가의 자손이 전멸하는 이야기로 끝난다. 이 평가의 몰락이 물어 시작 부분의 평가의 영화로운 모습과 비교되어 더더욱 무상감을 자아내는 것이다. 이러한 평가의 몰락을 주된 이야기로 하면서 목증의중나, 원의경의 몰락이 더해지면서 그러한 감상을 더해주는 것이다.
그러한 무상감을 잘 느낄 수 있는 부분이 여러 곳 있는데 우선 무엇보다도 壇の浦에서 패배한 평씨의 사람들이 차례로 물에 뛰어들어 죽는 장면을 들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성와 같이 죽음 앞에서 삶에 집착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하지만, “わが身は女なりとも、かたきの手にはかかるまじ。君の御供に參るなり。御心ざし思ひ參らせ給はん人はいそぎつづき給へ”라고 말하며 平氏의 자부심을 지키기 위해 스스로 안덕천황을 안고 물로 뛰어든 평청성의 아내이자 천황의 외할머니인 이위전의 모습에서 그러함 무상감은 여실히 드러나고 있다. 특히 평충도의 경우, 훌륭한 가인이기도 했던 그가 의중의 경도 공격을 막기 위해 전쟁에 나가면서, 그의 화가 스승이었던 등원준성를 찾아가 그가 지은 화가집을 건네며 준성이 편집하고 있는 칙선화가집에 실리기를 기대하지만, 훗날 천재화가집에 故の花라는 그의 작품이 단 한 수 실리면서 그것 또한 ‘よみ人知らず’라고 밖에 소개될 수 없었던 것에서 읽는 이가 느끼는 무상감은 더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참고문헌
군기물어토민간전승, 암기미술사
길전정일 편, 유정 역, 현대일본문학사, 정음사, 1984
김문길 외 3명, 일본문학 이해, 형설출판사, 1998
이원희, 일본 문학의 길라잡이, 영남대학교 출판부, 2001
이일숙 저, 시대별일본문학사, 도서출판계명, 2000
일본문학연구자료간행위원회 편, 평가물어, 유정당, 1986
중촌수진 외, 일본문학사, 동원서점, 1986
추천자료
중국의 현대문학
[과외]중학 국어 3-1학기 기말 6단원 한국 현대문학의 흐름 기출문제(교사용)
[과외]중학 국어 3-1학기 기말 6단원 한국 현대문학의 이해 기출문제
[채만식][풍자소설]채만식과 풍자소설(채만식의 소설관과 풍자소설, 채만식의 시대비판과 풍...
<겐지모노가타리> 감상문
요시쯔네&헤이케모노가타리
<'일기회상적 장단'을 중심으로 살펴본 '마쿠라노소시'>
[영어시][영문시]영어시(영문시)의 어휘, 영어시(영문시)와 신고전주의, 영어시(영문시) THE ...
2013년 2학기 한문고전강독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오언시와칠언시)
[한국문학개론] 신소설(新小說) _ 신소설의 개념과 형성과정, 신소설의 특징과 문학사적 의의...
[서평] 겐지모노가타리 (源氏物語) - 헤이안 시대의 이상적인 남성상 히카루 겐지 _ 무라사키...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경험과 교육듀이의 경험중심 교육과정을 중심으로,듀이의 교과발달 3...
2015년 2학기 한문고전강독 중간시험과제물 공통(한시를 종류별로 구분, 성격, 감상문)
하이카이, 마츠오바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