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아크 용접, 가스 용접, 저항 용접의 비교 설명
2. 용접 아크의 현상 및 용접부의 조직을 각각 도시하고 설명
3. 용접 이음의 종류 및 자세 설명, 11. 용접자세별 비딩 방식설명
5. 용접기호의 기입방법 설명
6. 아세틸렌가스 발생기의 형식에 대한 설명
7. 산소-아세틸렌 가스화염 설명
8. 직류 용접기와 교류 용접기의 비교설명
9. 아크 용접봉 설명 (용접봉의 심선, 피복제)
10. 용착금속의 용착상태 설명(언더컷), 13. 용접 결함의 종류별 설명
12. 특수 아크용접의 종류별 설명
14. 용접부 검사 방법
2. 용접 아크의 현상 및 용접부의 조직을 각각 도시하고 설명
3. 용접 이음의 종류 및 자세 설명, 11. 용접자세별 비딩 방식설명
5. 용접기호의 기입방법 설명
6. 아세틸렌가스 발생기의 형식에 대한 설명
7. 산소-아세틸렌 가스화염 설명
8. 직류 용접기와 교류 용접기의 비교설명
9. 아크 용접봉 설명 (용접봉의 심선, 피복제)
10. 용착금속의 용착상태 설명(언더컷), 13. 용접 결함의 종류별 설명
12. 특수 아크용접의 종류별 설명
14. 용접부 검사 방법
본문내용
.35~0.65
0.020이하
0.023이하
0.20이하
SWR 21
0.10~0.15
0.03이하
0.35~0.65
0.020이하
0.023이하
0.20이하
(2) 피복제의 작용
- 아크를 안정시켜 용접 작업이 용이하다.
- 중성, 환원성 분위기를 만들어 용융 금속을 대기로부터 보호한다.
- 융점이 낮고, 비중이 적고, 점성이 있어 용융 금속이 응고, 냉각할 때 보호한다.
- 용융금속의 탈산, 정련작용을 한다.
- 용적이 미세하되고 용착 효율이 증가된다.
- 용착금속의 고착성을 증가시킨다.
- 슬래그 제거를 쉽게 하고 고운 비드를 만든다.
- 모재 표면의 산화물을 제거하고 전기 절연작용을 한다.
- 용접 자세를 쉽게 한다.
- 붕사, 산화 티탄을 사용하며 유동성을 좋게 하는 작용을 한다.
- 질소나 산소의 침입이 방지된다.
10. 용착금속의 용착상태 설명(언더컷), 13. 용접 결함의 종류별 설명
용접부의 결함과 대책
주로 용접 조건이 좋지 않거나 용접 기술의 부족으로 생긴다. 수평자세에서 비드 양쪽에 오목한 부분이 생기는데 이를 언더컷이라 하고 수평용접에서 비드 아래에 용접 금속이 모재 위로 겸쳐 덮힌 것을 오버랩이라 한다.
결함의 종류
결함의 모양
원 인
방 지 대 책
용입 불량
이음 설계의 결함
용접 속도가 너무 빠를때
용접 전류가 낮을때
용접봉 선택 불량
루트 간격 및 치수를 크게한다.
용접 속도를 QK르지 않게 한다.
슬랙이 벗겨지지 않는 한도내로 전류를 높인다.
용접봉의 선택을 잘 한다.
언더컷
전류가 너무 높을 때
아크 길이가 너무 길 때
용접봉을 부적당하게 사용했을 때
용접 속도가 적당치 않은 경우
용접봉 선택 불량
낮은 전류 사용
짧은 아크 길이 유지
유지 각도를 바꾼다.
용접 속도를 늦춘다.
적정봉을 선택한다.
오버랩
용접 전류가 너무 낮을 때
운봉 및 봉의 유지 각도 불량
용접봉 선택 불량
적정 전류 선택
수평 필릿의 경우는 봉의 각도를 잘 선택한다.
적정봉을 선택한다.
선상 조직
용착 금속의 냉각 속도가 빠를 때
모재의 재질 불량
급랭을 피한다.
모재의 재질에 맞는 적정봉을 선택한다.
균 열
이음의 강성이 큰 경우
부적당한 용접봉 사용
모재의 C,Mn 등의 합금 원소 함량이 많을 때
과대 전류, 과대 속도
모재의 유황 함량이 많을 때
예열, 피닝작업을 하거나 용접 비드 배치법 변경, 비드 단면적을 넓힌다.
적정봉을 택한다.
저수소계 봉을 쓴다.
적정 전류 속도로 운봉한다.
기 공
수소 또는 일산화탄소의 과잉
용접부의 급속한 응고
모재 가운데 유황 함유량 과대
강재에 부착되어 있는 기름, 페인트, 녹 등
아크길이, 전류 또는 조작의 부적당
과대 전류의 사용
용접 속도가 빠르다.
용접봉을 바꾼다.
위빙을 하여 열량을 늘리거나 예열을 한다.
충분히 건조한 저수소계 용접봉을 사용한다.
이음의 표면을 깨끗이 한다.
정해진 범위 안의 전류로 긴 아크를 사용하거나 용접법을 조절한다.
전류의 조절
용접 속도를 늦춘다.
결함의 종류
결함의 모양
원 인
방 지 대 책
슬랙 혼입
슬랙의 제거 불완전
전류 과소, 운봉 조작 불완전
용접 이음의 부적당
슬랙의 유동성이 좋고 냉각하기 쉬울 때
봉의 각도 부적당
운봉 속도가 느릴 때
슬랙을 깨끗이 제거한다.
전류를 약간 세게, 운봉 조작을 적절히 한다.
루트 간격이 넓은 설계로 한다.
용접부의 예열을 한다.
봉의 유지 각도가 용접 방향에 적절하게 한다.
슬랙이 앞지르지 않도록 운봉 속도를 유지한다.
피 트
모재 가운데 탄소, 망간 등의 합금 원소가 많을 때
습기가 많거나 기름, 녹, 페인트가 묻었을 때
후판 또는 급랭되는 용접의 경우
모재 가운데 유황 함유량이 많을 때
염기도가 높은 봉을 선택한다.
이음부를 청소하고 예열을 하고 봉을 건조시킨다.
저수소계봉을 사용한다.
스펙터
전류가 높을 때
용접봉의 흡습
아크 길이가 너무 길 때
아크 불로우가 클 때
모재의 두께 봉지름에 맞는 낮은 전류까지 내린다.
충분히 건조시켜 사용한다.
위빙을 크게 하지 말고 적당한 아크 길이로 한다.
교류 용접기를 사용한다. 어스의 위치를 바꾼다.
12. 특수 아크용접의 종류별 설명
1.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
모재의 표면위에 미리 미세한 입상의 용제를 살포하여 두고 이 용제 속에 용접봉을 꽂아 넣어 용접하는 자동 아크 용접법으로 아크가 눈에 보이지 않는다.
(1) 장점
- 용접 속도가 수동 용접의 10~20배 정도이며 신뢰도가 높다.
- 열에너지 손실이 적고 재료의 소비가 적고 경제적이며 용접 변형도 적다.
- 용착 금속의 기계적 성질을 개선할 수 있다.
(2) 단점
- 용접부를 직접 볼 수 없으므로 확인할 수 없다.
- 설비비가 많이 든다.
- 아래보기, 수평 필릿에 한정되어 있다.
- 용접 홈의 가공이 정밀해야 한다.
2. 아크 용접
MIG 용접의 불활성 가스 대신에 를 사용하는 용접이다.
(1) 특징
- 경제적이며 기공이 발생하지 않는다.
- 연강 용접에 주로 사용한다.
- 산화, 질화가 없어 우수한 용착 금속을 얻을 수 있다.
- 수소로 인한 결함이 거의 없다.
- 용입이 깊고 시공이 편리하다.
3. 플라즈마 아크 용접
텅스텐 주위를 플라즈마 가스로(아르곤 93.5%, 수소 6.5%) 플라즈마 외곽을 강제로 냉각함으로써 발생하는 고온 고속의 플라즈마를 이용한다.
14. 용접부 검사 방법
파괴 시험
기계적시험
정적
인장시험, 굽힘시험, 경도시험, 크리프시험
동적
충격시험, 피로시험
비중
화학시험
화학분석
부식시험
고온부식, 습부식, 응력부식
수소시험
야금학적시험
현미경시험
마이크로 조직시험
균열시험
낙하시험
압력시험
비파괴시험
외관검사
비드형상, 언더컷, 오버랩, 용입불량, 표면균열, 기공검사
압력시험
누설검사
침투검사
형성 침투검사
염색 침투검사
초음파검사
자분검사
방사선 투과시험
X선 투과시험
선 투과시험
와류검사
불꽃검사
파괴검사
(1) 인장강도시험
용착금속의 인장시험편 채취위치와 규격은 다음과 같다.
채취 위치 채취 규격
인장강도와 연율은 다음 식에 의한다.
굽힘시험
굽힘시험에는그림과 같이 표면굽힘, 후면굽힘, 측면굽힘 등이 있으며, 합격기준에 따라 정해진 굽힘각도의 크기, 균열의 크기 및 균열의 수로서 용접 결과를 판정한다.
0.020이하
0.023이하
0.20이하
SWR 21
0.10~0.15
0.03이하
0.35~0.65
0.020이하
0.023이하
0.20이하
(2) 피복제의 작용
- 아크를 안정시켜 용접 작업이 용이하다.
- 중성, 환원성 분위기를 만들어 용융 금속을 대기로부터 보호한다.
- 융점이 낮고, 비중이 적고, 점성이 있어 용융 금속이 응고, 냉각할 때 보호한다.
- 용융금속의 탈산, 정련작용을 한다.
- 용적이 미세하되고 용착 효율이 증가된다.
- 용착금속의 고착성을 증가시킨다.
- 슬래그 제거를 쉽게 하고 고운 비드를 만든다.
- 모재 표면의 산화물을 제거하고 전기 절연작용을 한다.
- 용접 자세를 쉽게 한다.
- 붕사, 산화 티탄을 사용하며 유동성을 좋게 하는 작용을 한다.
- 질소나 산소의 침입이 방지된다.
10. 용착금속의 용착상태 설명(언더컷), 13. 용접 결함의 종류별 설명
용접부의 결함과 대책
주로 용접 조건이 좋지 않거나 용접 기술의 부족으로 생긴다. 수평자세에서 비드 양쪽에 오목한 부분이 생기는데 이를 언더컷이라 하고 수평용접에서 비드 아래에 용접 금속이 모재 위로 겸쳐 덮힌 것을 오버랩이라 한다.
결함의 종류
결함의 모양
원 인
방 지 대 책
용입 불량
이음 설계의 결함
용접 속도가 너무 빠를때
용접 전류가 낮을때
용접봉 선택 불량
루트 간격 및 치수를 크게한다.
용접 속도를 QK르지 않게 한다.
슬랙이 벗겨지지 않는 한도내로 전류를 높인다.
용접봉의 선택을 잘 한다.
언더컷
전류가 너무 높을 때
아크 길이가 너무 길 때
용접봉을 부적당하게 사용했을 때
용접 속도가 적당치 않은 경우
용접봉 선택 불량
낮은 전류 사용
짧은 아크 길이 유지
유지 각도를 바꾼다.
용접 속도를 늦춘다.
적정봉을 선택한다.
오버랩
용접 전류가 너무 낮을 때
운봉 및 봉의 유지 각도 불량
용접봉 선택 불량
적정 전류 선택
수평 필릿의 경우는 봉의 각도를 잘 선택한다.
적정봉을 선택한다.
선상 조직
용착 금속의 냉각 속도가 빠를 때
모재의 재질 불량
급랭을 피한다.
모재의 재질에 맞는 적정봉을 선택한다.
균 열
이음의 강성이 큰 경우
부적당한 용접봉 사용
모재의 C,Mn 등의 합금 원소 함량이 많을 때
과대 전류, 과대 속도
모재의 유황 함량이 많을 때
예열, 피닝작업을 하거나 용접 비드 배치법 변경, 비드 단면적을 넓힌다.
적정봉을 택한다.
저수소계 봉을 쓴다.
적정 전류 속도로 운봉한다.
기 공
수소 또는 일산화탄소의 과잉
용접부의 급속한 응고
모재 가운데 유황 함유량 과대
강재에 부착되어 있는 기름, 페인트, 녹 등
아크길이, 전류 또는 조작의 부적당
과대 전류의 사용
용접 속도가 빠르다.
용접봉을 바꾼다.
위빙을 하여 열량을 늘리거나 예열을 한다.
충분히 건조한 저수소계 용접봉을 사용한다.
이음의 표면을 깨끗이 한다.
정해진 범위 안의 전류로 긴 아크를 사용하거나 용접법을 조절한다.
전류의 조절
용접 속도를 늦춘다.
결함의 종류
결함의 모양
원 인
방 지 대 책
슬랙 혼입
슬랙의 제거 불완전
전류 과소, 운봉 조작 불완전
용접 이음의 부적당
슬랙의 유동성이 좋고 냉각하기 쉬울 때
봉의 각도 부적당
운봉 속도가 느릴 때
슬랙을 깨끗이 제거한다.
전류를 약간 세게, 운봉 조작을 적절히 한다.
루트 간격이 넓은 설계로 한다.
용접부의 예열을 한다.
봉의 유지 각도가 용접 방향에 적절하게 한다.
슬랙이 앞지르지 않도록 운봉 속도를 유지한다.
피 트
모재 가운데 탄소, 망간 등의 합금 원소가 많을 때
습기가 많거나 기름, 녹, 페인트가 묻었을 때
후판 또는 급랭되는 용접의 경우
모재 가운데 유황 함유량이 많을 때
염기도가 높은 봉을 선택한다.
이음부를 청소하고 예열을 하고 봉을 건조시킨다.
저수소계봉을 사용한다.
스펙터
전류가 높을 때
용접봉의 흡습
아크 길이가 너무 길 때
아크 불로우가 클 때
모재의 두께 봉지름에 맞는 낮은 전류까지 내린다.
충분히 건조시켜 사용한다.
위빙을 크게 하지 말고 적당한 아크 길이로 한다.
교류 용접기를 사용한다. 어스의 위치를 바꾼다.
12. 특수 아크용접의 종류별 설명
1.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
모재의 표면위에 미리 미세한 입상의 용제를 살포하여 두고 이 용제 속에 용접봉을 꽂아 넣어 용접하는 자동 아크 용접법으로 아크가 눈에 보이지 않는다.
(1) 장점
- 용접 속도가 수동 용접의 10~20배 정도이며 신뢰도가 높다.
- 열에너지 손실이 적고 재료의 소비가 적고 경제적이며 용접 변형도 적다.
- 용착 금속의 기계적 성질을 개선할 수 있다.
(2) 단점
- 용접부를 직접 볼 수 없으므로 확인할 수 없다.
- 설비비가 많이 든다.
- 아래보기, 수평 필릿에 한정되어 있다.
- 용접 홈의 가공이 정밀해야 한다.
2. 아크 용접
MIG 용접의 불활성 가스 대신에 를 사용하는 용접이다.
(1) 특징
- 경제적이며 기공이 발생하지 않는다.
- 연강 용접에 주로 사용한다.
- 산화, 질화가 없어 우수한 용착 금속을 얻을 수 있다.
- 수소로 인한 결함이 거의 없다.
- 용입이 깊고 시공이 편리하다.
3. 플라즈마 아크 용접
텅스텐 주위를 플라즈마 가스로(아르곤 93.5%, 수소 6.5%) 플라즈마 외곽을 강제로 냉각함으로써 발생하는 고온 고속의 플라즈마를 이용한다.
14. 용접부 검사 방법
파괴 시험
기계적시험
정적
인장시험, 굽힘시험, 경도시험, 크리프시험
동적
충격시험, 피로시험
비중
화학시험
화학분석
부식시험
고온부식, 습부식, 응력부식
수소시험
야금학적시험
현미경시험
마이크로 조직시험
균열시험
낙하시험
압력시험
비파괴시험
외관검사
비드형상, 언더컷, 오버랩, 용입불량, 표면균열, 기공검사
압력시험
누설검사
침투검사
형성 침투검사
염색 침투검사
초음파검사
자분검사
방사선 투과시험
X선 투과시험
선 투과시험
와류검사
불꽃검사
파괴검사
(1) 인장강도시험
용착금속의 인장시험편 채취위치와 규격은 다음과 같다.
채취 위치 채취 규격
인장강도와 연율은 다음 식에 의한다.
굽힘시험
굽힘시험에는그림과 같이 표면굽힘, 후면굽힘, 측면굽힘 등이 있으며, 합격기준에 따라 정해진 굽힘각도의 크기, 균열의 크기 및 균열의 수로서 용접 결과를 판정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