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조사배경 및 목적
2. 참고자료
3 바이오매스 정의 및 특징
4. 바이오에너지 변환원리
5. 바이오메스에너지의 이용현황
2. 참고자료
3 바이오매스 정의 및 특징
4. 바이오에너지 변환원리
5. 바이오메스에너지의 이용현황
본문내용
의 어려움
과도 이용시 환경파괴 가능성
단위 공정의 대규모 설비투자
<표 3-1 바이오매스의 장점과 단점>
4. 바이오에너지 변환원리
1)수분의 함량에 따라 에너지 변환 차이
①수분 함량이 적은 경우 : 태워서 열과 가스 발생
②수분 함량이 많은 경우 : 유기물을 이용한 에너지를 얻기 위해 균주를 투입하거나 특정한 화학 공정을 거쳐 알코올 성분이나 메탄가스 등을 얻는 방식
2)종류별 바이오에너지 변환원리
<그림 4-1 종류별 바이오에너지 변환원리>
<출처 : 에너지관리공단>
①유채, 콩 : 직접 짜서 기름 추출한 뒤 바이오디젤로 생산,
☞ 바이오디젤
-동,식물성 유지(팜유, 자트로파, 유채유, 대두유 등)와 알코올을 반응시켜 만든 지방산 메틸에스테르로서 순도가 95% 이상인 것을 뜻하며 일반 경유와 물리화학적 특성이 거의 같아 경유의 대체연로로 사용
-바이오디젤혼합유(BD20, BD5)라 함은 석유제품인 자동차용 경유 80%와 바이오디젤 20%, 경유 95%와 바이오디젤 5%를 혼합하여 경유를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연료를 뜻함
②보리, 옥수수 : 당분을 얻은 후 이를 발효시켜 에탄올을 얻음
☞ 바이오알코올
-바이오알코올은 녹말(전분) 작물에서 포도당을 얻은 뒤 이를 발효시켜 만듬
-화석연료와 달리 환경오염물질이 전혀 없고, 식물로부터 연료를 얻기 때문에 언제든지 재생이 가능함
③나무, 볏짚 등 섬유소식물체 : 효소를 이용해 당분으로 변신 후 에탄올로 변환
④음식물쓰레기, 가축분뇨, 동물체 : 혐기성발효를 통해 메탄가스 변환
4. 바이오메스에너지 이용현황
1) 오스트리아 그라츠시
오스트리아 남서쪽에 위치한 인구 20만의 그라츠시에서는 가정이나 식당에서 수거된 폐식용유를 바이오디젤로 전환하여 시내를 돌아다니는 152대의 버스들의 원료로 활용하고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일반 디젤을 쓸 때보다 연간 이산화탄소(CO₂) 6600t, 일산화탄소(CO) 7.6t, 탄화수소(HC) 7.9t, 미세분진 2.6t이 줄어든다. 또 폐식용유를 1㎏ 모을 때마다 0.36유로(약450원)의 폐기물 처리 비용이 절감된다. 연간 가정·식당 수거량(약280t)을 감안하면, 한 해에 10만 유로(약1억2500만원)가 절약되는 셈이다.
<그림 3-1 그라츠시의 폐식용유가 버스를 달리게 하기까지>
<출처 : http://blog.chosun.com/main.screen>
2) 오스트리아 무레크시
오스트리아와 슬로베니아의 국경에 위치한 인구 1400명의 무레크시는 평범한 유럽 농촌도시이다.
무레크시에서는 유채씨를 짜낸 기름을 이용해서 바이오디젤로 전환하여 농촌의 농기계의 연료와 그라츠시의 시내버스 연료로 이용한다. 그리고 축산시설의 가축분뇨와 농촌의 남는 옥수수와 볏짐을 썩어서 메탄가스를 발생시켜서 에너지를 만들고 있다.
이렇게 자체적으로 에너지를 만들어 사용함으로써 차량을 움직이고 지역난방도 해결한다. 그리고 무레크시는 유럽 재생에너지 정책을 이끄는 기구인 ‘유로솔라’로부터 2001년 ‘세계 에너지 대상’을, 2006년에는 ‘유럽 태양에너지 대상’을 받았다
과도 이용시 환경파괴 가능성
단위 공정의 대규모 설비투자
<표 3-1 바이오매스의 장점과 단점>
4. 바이오에너지 변환원리
1)수분의 함량에 따라 에너지 변환 차이
①수분 함량이 적은 경우 : 태워서 열과 가스 발생
②수분 함량이 많은 경우 : 유기물을 이용한 에너지를 얻기 위해 균주를 투입하거나 특정한 화학 공정을 거쳐 알코올 성분이나 메탄가스 등을 얻는 방식
2)종류별 바이오에너지 변환원리
<그림 4-1 종류별 바이오에너지 변환원리>
<출처 : 에너지관리공단>
①유채, 콩 : 직접 짜서 기름 추출한 뒤 바이오디젤로 생산,
☞ 바이오디젤
-동,식물성 유지(팜유, 자트로파, 유채유, 대두유 등)와 알코올을 반응시켜 만든 지방산 메틸에스테르로서 순도가 95% 이상인 것을 뜻하며 일반 경유와 물리화학적 특성이 거의 같아 경유의 대체연로로 사용
-바이오디젤혼합유(BD20, BD5)라 함은 석유제품인 자동차용 경유 80%와 바이오디젤 20%, 경유 95%와 바이오디젤 5%를 혼합하여 경유를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연료를 뜻함
②보리, 옥수수 : 당분을 얻은 후 이를 발효시켜 에탄올을 얻음
☞ 바이오알코올
-바이오알코올은 녹말(전분) 작물에서 포도당을 얻은 뒤 이를 발효시켜 만듬
-화석연료와 달리 환경오염물질이 전혀 없고, 식물로부터 연료를 얻기 때문에 언제든지 재생이 가능함
③나무, 볏짚 등 섬유소식물체 : 효소를 이용해 당분으로 변신 후 에탄올로 변환
④음식물쓰레기, 가축분뇨, 동물체 : 혐기성발효를 통해 메탄가스 변환
4. 바이오메스에너지 이용현황
1) 오스트리아 그라츠시
오스트리아 남서쪽에 위치한 인구 20만의 그라츠시에서는 가정이나 식당에서 수거된 폐식용유를 바이오디젤로 전환하여 시내를 돌아다니는 152대의 버스들의 원료로 활용하고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일반 디젤을 쓸 때보다 연간 이산화탄소(CO₂) 6600t, 일산화탄소(CO) 7.6t, 탄화수소(HC) 7.9t, 미세분진 2.6t이 줄어든다. 또 폐식용유를 1㎏ 모을 때마다 0.36유로(약450원)의 폐기물 처리 비용이 절감된다. 연간 가정·식당 수거량(약280t)을 감안하면, 한 해에 10만 유로(약1억2500만원)가 절약되는 셈이다.
<그림 3-1 그라츠시의 폐식용유가 버스를 달리게 하기까지>
<출처 : http://blog.chosun.com/main.screen>
2) 오스트리아 무레크시
오스트리아와 슬로베니아의 국경에 위치한 인구 1400명의 무레크시는 평범한 유럽 농촌도시이다.
무레크시에서는 유채씨를 짜낸 기름을 이용해서 바이오디젤로 전환하여 농촌의 농기계의 연료와 그라츠시의 시내버스 연료로 이용한다. 그리고 축산시설의 가축분뇨와 농촌의 남는 옥수수와 볏짐을 썩어서 메탄가스를 발생시켜서 에너지를 만들고 있다.
이렇게 자체적으로 에너지를 만들어 사용함으로써 차량을 움직이고 지역난방도 해결한다. 그리고 무레크시는 유럽 재생에너지 정책을 이끄는 기구인 ‘유로솔라’로부터 2001년 ‘세계 에너지 대상’을, 2006년에는 ‘유럽 태양에너지 대상’을 받았다
추천자료
바이오 에너지의 기술현황
[자원공학]바이오에너지 시장현황 분석 및 바이오에너지 활성화방안 (A+리포트)
바이오부탄올에 대하여 : 차세대 바이오연료 (SK에너지 강신영 부장 세미나를 바탕으로)
바이오 매스란
바이오에너지
재생 가능 에너지-『다시 태양의 시대로』
유기성 폐자원의 에너지화[바이오에너지자원]
신 재생 에너지 카타르 프로젝트
덴마크 신 재생 에너지
[열역학] 신 재생 에너지 기술 - 폐기물과 폐기물 에너지관련 기술 및 동향
바이오에너지
에너지 위기 원인, 유래, 대응방안, 원자력 에너지, 재생가능 에너지, 대체 에너지, 위기, 전...
한국에너지,에너지수요,태양에너지,태양에너지의정의,태양어네지의원리,수소에너지,수소에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