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스킨스쿠버의 정의
Ⅱ. 스킨스쿠버의 물리학적 원리
Ⅲ. 스킨스쿠버의 생리학적 원리
Ⅴ. 스킨스쿠버의 장비
결론
Ⅱ. 스킨스쿠버의 물리학적 원리
Ⅲ. 스킨스쿠버의 생리학적 원리
Ⅴ. 스킨스쿠버의 장비
결론
본문내용
계산하여 알려준다. 최신형 다이브 컴퓨터에는 잠수활동에 관한 모든 사항을 개인용 컴퓨터에 옮길 수 있는 기능이 있다. 이 기능은 당일 혹은 과거의 모든 다이빙 기록을 정리하여 인쇄할 수 있게 한다.
선택요령
① 디자인 및 가격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② 다이빙 컴퓨터 구입시 예비기기를 구입한다. 아무리 좋은 기기라도 가끔 고장이 난다. 이런 일이 일어나면 긴급상황으로 발전되지는 않더라도 대신할 기기가 없으면 다이빙을 중단하는 수밖에 없는 경우가 간혹 발생한다. 그래서 다이브 컴퓨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다른 또 하나의 컴퓨터나 시계 또는 수심계등을 예비로 준비해 두는 것이 좋다. 특히 공기접속식 다이브 컴퓨터의 경우는 고장이 나면 즉시 잠수를 중지해야 하므로 수중압력계를 레귤레이터에 붙여 사용하여야 한다.
14.기타장비들
① 다이빙 칼
다이빙칼은 여러 가지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겠지만 가자 중요한 기능은 수중에서 낚시줄이나 그물에 걸렸을 때 그것들을 자르는 것이다. 다이빙칼은 TV에서 보듯이 상어나 괴물들과 싸우기 위한 도구가 아니다. 다이빙칼의 종류는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각자의 취향과 다이빙의 목적에 적합한 것을 골라야 한다. 예를 들어 수중사냥에는 가늘고 날이 날카로운 형태가 좋을 것이고, 난파선 다이빙에는 망치처럼 두드릴 수 있고 지렛대로도 쓸수 있는 크고 튼튼한 칼이 좋을 것이다. 모든 다이빙칼의 칼날은 날카로운 상태를 유지해야 하며 사용하지 않을 때는 기름칠을 해 두는 것이 좋다. 다이빙칼의 재질은 대개 스테인레스 강이기 때문에 녹이 잘 슬지 않지만 날 부분과 재질이 다른 것은 표면이 부식된다. 다이빙칼을 사용하지 않을 때는 칼집에 넣어 두어야 한다. 칼집은 대개 플라스틱으로 제작된 것이 많은데, 대부분 종아리나 위이트벨트 또는 콘솔계기판 뒷면에 부착하지만 특별히 잠수복의 허벅지에 넣도록 한 것도 있다. 그리고 어떤 종류는 어디에 어떻게 착용하는 가는 칼의 디자인과 개인의 취향에 따라 다를 것이다. 대부분의 다이버들은 양쪽 종아리 안쪽에 칼을 많이 찬다.
② 장비가방
장비가방도 다이빙의 필수품이다. 이것이 없으면 장비를 이동하는 것이 불편하고 힘이 들며 때로는 장비를 떨어뜨려 손상시키기도 한다. 그리고 만일 보트에서 다이빙할 때 장비 가방이 없으면 장비를 분실하거나 다른 다이버들의 장비와 바뀔 수도 있다. 거의 모든 장비 가방들은 캔버스 천이나 고강도의 나일론 천으로 된 것이 잘 구겨지지 않고 곰팡이도 적게 끼기 때문에 더 많이 애용되고 있다. 그리고 장비가방에는 실수로 다이빙 보트나 다른 장소에 잊어버리고 놓아둘 수도 있으므로 이름, 주소, 전화번호 등을 적어 두어야 한다. 이 밖에 장비 제작자들이 제공하는 특수 가방들이 있는데, 이것들은 레귤레이터나 카메라 등의 장비를 완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이런 특수 가방에는 대개 젖은 장비들을 분리시켜 책이나 옷 등이 젖지 않도록 배려되어 있다.
③ 방수테이프/방수페인트
다이빙 교육을 받을 때 대부분의 교육생들이 같은 다이브숍에서 장비를 빌리거나 구입한다. 그래서 많은 장비에 동일한 인식표시가 되어 있고 비슷한 종류의 장비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자신의 장비에 특별한 표시가 없으면 다른 사람들의 장비들과 혼동하기 쉽다. 이런 혼동을 피하기 위해서는 장비에 인식표시를 할 수 있는 방수 페인트나 테이프를 구입하여 자신의 장비에 특별한 표시를 해 두어야 한다. 특히 40명 이상이 동시에 같이 다이빙하는 큰 보트에서는 이런 인식표시가 꼭 필요하다.
④ 다이빙 깃발과 부표
수면 위를 고속으로 달리는 제트 스키나 보트에서 잠수중인 다이버의 공기방울을 보거나 떠 있는 다이버를 보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따라서 충돌사고가 나기 쉬운데 이런 사고를 피하기 위해 다이버들은 물밑에서 자신들이 현재 활동중 이라는 사실을 다른 사람들에게 알리는 깃발을 수면에 설치해 두어야 한다. 스포츠 다이버들이 사용하는 깃발은 빨강색 바탕에 대각선으로 왼쪽 상단에서 오른쪽 하단까지 굵은 흰색의 선이 그려져 있다. 이 깃발은 스쿠바 다이버가 활동중인 곳은 어디든지 설치해야 한다. 이미 미국의 많은 주에서 법으로 정하고 있지만 그렇지 않다고 해서 다이빙 깃발을 설치하지 않은 채 다이빙한다는 것은 무모한 짓이다. 주마다 약간씩 다르지만 대부분 다이빙 깃발이 보이면 설치된 곳에서 적어도 100피트(30.5) 이상 떨어져 보트를 정박시키도록 정하고 있다. 이런 법률이 있는 주에서 다이빙할 때는 법에서 정한 범위 내에서만 다이빙해야 할 의무가 있으며, 실제로 다이빙을 하고 있는 동안에만 깃발을 설치해 두어야 한다. 한편 대형 다이빙보트는 "알파(alpha)" 기라고 부르는 청색과 흰색으로 된 깃발을 게양한다. 알파 기는 국제적으로 신호용으로 정해진 깃발이다. 다이빙 깃발의 설치에 대한 법은 지방에 따라 다르므로 다이빙하기 전 강사나 다이브숍에 문의하는 것이 좋다.
⑤ 기록책
로그북이라 부르는 기록책은 다이빙에 직접 사용되는 장비는 아니더라도 다이빙할 때 항상 가지고 다녀야 할 필수품이다. 다이빙이 완료되는 즉시 다이빙 내용을 기록하는 습관을 길러야 한다. 기록책은 이제 모든 교육과정에서 사용할 것을 의무화하고 있다. 그리고 어떤 잠수활동에 참가하려면 기록책을 제사할 것을 요구하는데, 이는 기록책이 다이빙 경험의 증거물로 사용되지 때문이다. 또한 다이빙 지도 교육과정에 참가하려면 신청 구비서류에 기록책의 사본을 첨부해야 한다. 따라서 모든 다이빙의 기록을 기록책에 남겨두는 것이 좋다. 기록책을 보면 다이빙 경험이 쌓여 가고 있다는 것을 한눈에 알 수 있어야 한다.
⑥ 응급처치함
다이빙 여행에는 항상 응급처치함을 갖고 다녀야 한다. 다이빙에 꼭 필요한 약품외에도 몇가지 응급처치를 위한 약품을 추가하여 준비해 두면 유용하게 쓸 수 있다.
<참고문헌>
레저 스포츠 총론. 저) 곽한병, 이영우
◆ http://cafe.naver.com/leisurecamp/83
◆ http://www.psiscuba.co.kr
◆ http://www.blue-wave.co.kr
◆ 스킨스쿠버 NOTE 출판사: 대경북스
스킨스쿠버 황건일 출판사: 오성출판사
선택요령
① 디자인 및 가격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② 다이빙 컴퓨터 구입시 예비기기를 구입한다. 아무리 좋은 기기라도 가끔 고장이 난다. 이런 일이 일어나면 긴급상황으로 발전되지는 않더라도 대신할 기기가 없으면 다이빙을 중단하는 수밖에 없는 경우가 간혹 발생한다. 그래서 다이브 컴퓨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다른 또 하나의 컴퓨터나 시계 또는 수심계등을 예비로 준비해 두는 것이 좋다. 특히 공기접속식 다이브 컴퓨터의 경우는 고장이 나면 즉시 잠수를 중지해야 하므로 수중압력계를 레귤레이터에 붙여 사용하여야 한다.
14.기타장비들
① 다이빙 칼
다이빙칼은 여러 가지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겠지만 가자 중요한 기능은 수중에서 낚시줄이나 그물에 걸렸을 때 그것들을 자르는 것이다. 다이빙칼은 TV에서 보듯이 상어나 괴물들과 싸우기 위한 도구가 아니다. 다이빙칼의 종류는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각자의 취향과 다이빙의 목적에 적합한 것을 골라야 한다. 예를 들어 수중사냥에는 가늘고 날이 날카로운 형태가 좋을 것이고, 난파선 다이빙에는 망치처럼 두드릴 수 있고 지렛대로도 쓸수 있는 크고 튼튼한 칼이 좋을 것이다. 모든 다이빙칼의 칼날은 날카로운 상태를 유지해야 하며 사용하지 않을 때는 기름칠을 해 두는 것이 좋다. 다이빙칼의 재질은 대개 스테인레스 강이기 때문에 녹이 잘 슬지 않지만 날 부분과 재질이 다른 것은 표면이 부식된다. 다이빙칼을 사용하지 않을 때는 칼집에 넣어 두어야 한다. 칼집은 대개 플라스틱으로 제작된 것이 많은데, 대부분 종아리나 위이트벨트 또는 콘솔계기판 뒷면에 부착하지만 특별히 잠수복의 허벅지에 넣도록 한 것도 있다. 그리고 어떤 종류는 어디에 어떻게 착용하는 가는 칼의 디자인과 개인의 취향에 따라 다를 것이다. 대부분의 다이버들은 양쪽 종아리 안쪽에 칼을 많이 찬다.
② 장비가방
장비가방도 다이빙의 필수품이다. 이것이 없으면 장비를 이동하는 것이 불편하고 힘이 들며 때로는 장비를 떨어뜨려 손상시키기도 한다. 그리고 만일 보트에서 다이빙할 때 장비 가방이 없으면 장비를 분실하거나 다른 다이버들의 장비와 바뀔 수도 있다. 거의 모든 장비 가방들은 캔버스 천이나 고강도의 나일론 천으로 된 것이 잘 구겨지지 않고 곰팡이도 적게 끼기 때문에 더 많이 애용되고 있다. 그리고 장비가방에는 실수로 다이빙 보트나 다른 장소에 잊어버리고 놓아둘 수도 있으므로 이름, 주소, 전화번호 등을 적어 두어야 한다. 이 밖에 장비 제작자들이 제공하는 특수 가방들이 있는데, 이것들은 레귤레이터나 카메라 등의 장비를 완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이런 특수 가방에는 대개 젖은 장비들을 분리시켜 책이나 옷 등이 젖지 않도록 배려되어 있다.
③ 방수테이프/방수페인트
다이빙 교육을 받을 때 대부분의 교육생들이 같은 다이브숍에서 장비를 빌리거나 구입한다. 그래서 많은 장비에 동일한 인식표시가 되어 있고 비슷한 종류의 장비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자신의 장비에 특별한 표시가 없으면 다른 사람들의 장비들과 혼동하기 쉽다. 이런 혼동을 피하기 위해서는 장비에 인식표시를 할 수 있는 방수 페인트나 테이프를 구입하여 자신의 장비에 특별한 표시를 해 두어야 한다. 특히 40명 이상이 동시에 같이 다이빙하는 큰 보트에서는 이런 인식표시가 꼭 필요하다.
④ 다이빙 깃발과 부표
수면 위를 고속으로 달리는 제트 스키나 보트에서 잠수중인 다이버의 공기방울을 보거나 떠 있는 다이버를 보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따라서 충돌사고가 나기 쉬운데 이런 사고를 피하기 위해 다이버들은 물밑에서 자신들이 현재 활동중 이라는 사실을 다른 사람들에게 알리는 깃발을 수면에 설치해 두어야 한다. 스포츠 다이버들이 사용하는 깃발은 빨강색 바탕에 대각선으로 왼쪽 상단에서 오른쪽 하단까지 굵은 흰색의 선이 그려져 있다. 이 깃발은 스쿠바 다이버가 활동중인 곳은 어디든지 설치해야 한다. 이미 미국의 많은 주에서 법으로 정하고 있지만 그렇지 않다고 해서 다이빙 깃발을 설치하지 않은 채 다이빙한다는 것은 무모한 짓이다. 주마다 약간씩 다르지만 대부분 다이빙 깃발이 보이면 설치된 곳에서 적어도 100피트(30.5) 이상 떨어져 보트를 정박시키도록 정하고 있다. 이런 법률이 있는 주에서 다이빙할 때는 법에서 정한 범위 내에서만 다이빙해야 할 의무가 있으며, 실제로 다이빙을 하고 있는 동안에만 깃발을 설치해 두어야 한다. 한편 대형 다이빙보트는 "알파(alpha)" 기라고 부르는 청색과 흰색으로 된 깃발을 게양한다. 알파 기는 국제적으로 신호용으로 정해진 깃발이다. 다이빙 깃발의 설치에 대한 법은 지방에 따라 다르므로 다이빙하기 전 강사나 다이브숍에 문의하는 것이 좋다.
⑤ 기록책
로그북이라 부르는 기록책은 다이빙에 직접 사용되는 장비는 아니더라도 다이빙할 때 항상 가지고 다녀야 할 필수품이다. 다이빙이 완료되는 즉시 다이빙 내용을 기록하는 습관을 길러야 한다. 기록책은 이제 모든 교육과정에서 사용할 것을 의무화하고 있다. 그리고 어떤 잠수활동에 참가하려면 기록책을 제사할 것을 요구하는데, 이는 기록책이 다이빙 경험의 증거물로 사용되지 때문이다. 또한 다이빙 지도 교육과정에 참가하려면 신청 구비서류에 기록책의 사본을 첨부해야 한다. 따라서 모든 다이빙의 기록을 기록책에 남겨두는 것이 좋다. 기록책을 보면 다이빙 경험이 쌓여 가고 있다는 것을 한눈에 알 수 있어야 한다.
⑥ 응급처치함
다이빙 여행에는 항상 응급처치함을 갖고 다녀야 한다. 다이빙에 꼭 필요한 약품외에도 몇가지 응급처치를 위한 약품을 추가하여 준비해 두면 유용하게 쓸 수 있다.
<참고문헌>
레저 스포츠 총론. 저) 곽한병, 이영우
◆ http://cafe.naver.com/leisurecamp/83
◆ http://www.psiscuba.co.kr
◆ http://www.blue-wave.co.kr
◆ 스킨스쿠버 NOTE 출판사: 대경북스
스킨스쿠버 황건일 출판사: 오성출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