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 차
1.실 험 목 적
2.실 험 준 비 물
3.실 험 방 법
4.관 련 지 식
5.실 험 결 과
6.결 론
7.참 고 문 헌
1.실 험 목 적
2.실 험 준 비 물
3.실 험 방 법
4.관 련 지 식
5.실 험 결 과
6.결 론
7.참 고 문 헌
본문내용
리비히 냉각기 ( KS V 7132 )
― 용매증기를 냉각시켜 밑부분의 용기 속으로 돌려보내는 장치를 환류냉각기라고 하는데, 그 가장 기본적인 것이 리비 히 냉각기이다. 구조는 중앙의 가는 유리관과 그것을 둘러싼 외통(外筒)으로 되어 있으며, 외통과 중앙의 유리관 사이를 냉각수가 순환함으로써 중앙의 유리관을 통과하는 증류기체 가 냉각 액화되도록 되어 있다. 냉각능률은 그다지 좋지 않 지만, 구조가 간단하고 다루기 쉽기 때문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④ 전기히터
― 규정된 속도로 시료를 증류할 수 있다면 가스 버너 대신 사용될 수 있다. 빠른 가열을 할 수 있는 장치와 소비 전력 이 0~1000W인 것이 적당하다.
⑤ 비 등 석 (3개)
― 액체를 끓일 때, 액체가 끓는점 이상으로 가열되어서 갑 자기 끓어오르는 것을 막기 위해 넣는 돌이나 유리 조각이 다. 아주작은 구멍이 나 있어 기포를 형성해 구멍 밖으로 나 오게 하여 돌비현상없이 끓어 오르게 한다.
⑥ 휘 발 유 100㎖ ( KS M 2611 )
― 우리가 알고 있는 석유제품으로 가장 널리 알려져 있는 가솔린은 원유를 분별증류하였을 때, 30~200℃의 범위 에서 끓는 액체를 말한다. 가솔린은 흔히 휘발유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이름을 통해 알 수 있듯이 상온에서 증발 하기 쉽고 인화성이 좋아 공기와 혼합되면 폭발성을 지닌다.
3. 실 험 방 법
1) 증류 실험기를 작동시킨후 냉각기의 온도를 확인한후 냉각 장치를 규정범위 내에 온도에 맞춰 설정해논다.
2) 시료의 온도를 규정범위 내에서 조절한다. 이 시료 100㎖ 를 눈금 실린더에 넣고 가지달린 관에 유입하지 않도록 주의 하면서 증류 플라스크에 옮겨 담은후 비등석을 증류 플라스크 안에 시료와 함께 넣는다.
3) 코르크 마개에 부착한 온도계를 증류 플라스크의 목관 중 앙에 끼워 놓고 온도계의 모세관 밑부분이 증류 플라스크의 가 지달린 관의 내벽 밑부분과 수평이 되도록 한다.
4) 플라스크 받침판 위에 시료가 있는 플라스크를 놓고 가지달 린 관을 코르크 마개로 응축관과 견고하게 접속한다. 이 때 증 류 플라스크는 수직으로 하며 가지달린 관은 25~50mm만 응축관 안에 들어가도록 위치를 조절한다.
5) 시료량을 채취하는데 사용한 눈금 실린더는 건조시키지 않 고 냉각기 장치 안에 눈금 실린더를 고정시킨다.
6) 컴퓨터의 프로그램에 규정에 맞는 수치 값을 입력한 후
프로그램을 작동시켜 증류플라스크를 가열한다.
7) 증류 플라스크에 시료가 증발되어 종말점에 이를때까지 가 열한다.
8) 증류실험기가 작동을 멈추면 증류플라스크의 잔류량과 눈금 실린더의 증발된량을 합해 처음 시료의량 과 비교해본다.
4. 관 련 지 식
1) 경유의 특징
― 경유는 끓는점이 250~350℃ 사이에 있는 탄화수소들의 혼합 물로서, 증류탑에서 등유 다음으로 유출되는 석유이다.
경유는 도시가스의 열량을 높이는 데에 사용되기도 하는데, 그 래서 gas oil이라고 하기도 한다. 또 디젤 엔진의 연료로 쓰이 고 있어 Diesel oil이라고 하기도 한다. 그 밖에 석유버너의 연료로 쓰이기도 하고 기계세척에 쓰이기도 한다. 단순한 연료 나 원료로 쓰일 때는 간단히 정제해서 사용해도 무방하지만 디 젤 기관의 연료로 쓸 때는 보다 순수하게 정제해야 한다.
2) 인 화 점
― 기체 또는 휘발성 액체에서 발생하는 증기가 공기와 섞여서 가연성 또는 완폭발성(緩爆發性) 혼합기체를 형성하고, 여기에 불꽃을 가까이 댔을 때 순간적으로 섬광을 내면서 연소하는, 즉 인화되는 최저의 온도를 말한다. 인화점을 넘어서 가열을 더 계 속하면 불꽃을 가까이 댔을 때 계속해서 연소하는 온도에 이른 다. 이 온도를 연소점이라고 하여 인화점과 구별한다.
인화점은 물질에 따라 특유한 값을 보이며, 주로 액체의 인화 성을 판단하는 수치로서 중요하다. 또 시료(試料)의 종류를 조 사하기 위해서, 특히 일정한 끓는점이나 녹는점을 보이지 않는 것에 많이 이용된다. 한편 석유제품은 대부분 한국산업규격(KS) 에 의해서 최저 인화점이 규정되어 있다.
3) 발 화 점
― 착화점(着火點)이라고도 한다. 물체를 마찰시키거나 가열하 여 어느 정도의 온도가 되면 불을 대지 않아도 불이 붙어 타기 시작하는데, 이 때의 온도를 그 물체의 발화점이라고 한다. 물 질이 연소하려면 발화점에 도달할 때까지 가열하여야 하며, 발 화점은 물체에 따라 서로 다르다. 발화점은 고체인 경우 시료의 모양이나 크기에 따라 다르고, 또 기체인 경우에는 공기(산소) 와의 혼합비 또는 측정방법 등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절대적인 값을 얻을 수 없다. 석탄, 숯, 석유, 휘발유 등이 공기 속에 아 무리 많이 있어도 타지 않는 이유는 이들 물질의 온도가 발화점 까지 도달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불이 났을 때 물을 뿌려서 타고 있는 물체의 온도를 발화점 이 하로 낮추면 불은 꺼진다. 발화점이 높다는 것은 온도가 높아야 불이 붙는다는 의미이고, 발화점이 낮다는 것은 낮은 온도에서 도 불이 잘 붙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발화점의 측정방법으로는 도가니 속에서 시료를 발화시키는 가열도가니법, 밀폐된 용기 속에서 가열하여 압력을 측정하는 봄브법, 단열압축법 등 여러 가지가 있으나, 가열도가니법을 가장 많이 이용한다.
5. 실 험 결 과
유출량(%)
IBP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45.0
50.0
분당 유출량(㎖)
―
5.0
4.7
4.5
4.6
4.6
4.4
4.4
4.6
4.5
4.5
유출량(%)
55.0
60.0
65.0
70.0
75.0
80.0
85.0
90.0
95.0
EP
분당 유출량(㎖)
4.5
4.6
4.4
4.3
4.9
4.7
4.5
4.5
5.4
―
1) 전 유 출 량 : 98.6%
2) 잔 류 량 : 1.4%
3) 손 실 량 : 0.0%
4) 대 기 압 : 102.7 kPa
5) 증 발 온 도 : 159.3℃
6. 결 론
― 이번 실험에서 휘발유의 증발 온도는 159.3℃, 총 증발량은 98.6%, 잔류량은 1.4% 으로 손실량이 0.0%로 나온 것을 볼수 있습니다.
7. 참 고 문 헌
― 한국산업규격 KS, 두산백과 사전,
― 용매증기를 냉각시켜 밑부분의 용기 속으로 돌려보내는 장치를 환류냉각기라고 하는데, 그 가장 기본적인 것이 리비 히 냉각기이다. 구조는 중앙의 가는 유리관과 그것을 둘러싼 외통(外筒)으로 되어 있으며, 외통과 중앙의 유리관 사이를 냉각수가 순환함으로써 중앙의 유리관을 통과하는 증류기체 가 냉각 액화되도록 되어 있다. 냉각능률은 그다지 좋지 않 지만, 구조가 간단하고 다루기 쉽기 때문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④ 전기히터
― 규정된 속도로 시료를 증류할 수 있다면 가스 버너 대신 사용될 수 있다. 빠른 가열을 할 수 있는 장치와 소비 전력 이 0~1000W인 것이 적당하다.
⑤ 비 등 석 (3개)
― 액체를 끓일 때, 액체가 끓는점 이상으로 가열되어서 갑 자기 끓어오르는 것을 막기 위해 넣는 돌이나 유리 조각이 다. 아주작은 구멍이 나 있어 기포를 형성해 구멍 밖으로 나 오게 하여 돌비현상없이 끓어 오르게 한다.
⑥ 휘 발 유 100㎖ ( KS M 2611 )
― 우리가 알고 있는 석유제품으로 가장 널리 알려져 있는 가솔린은 원유를 분별증류하였을 때, 30~200℃의 범위 에서 끓는 액체를 말한다. 가솔린은 흔히 휘발유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이름을 통해 알 수 있듯이 상온에서 증발 하기 쉽고 인화성이 좋아 공기와 혼합되면 폭발성을 지닌다.
3. 실 험 방 법
1) 증류 실험기를 작동시킨후 냉각기의 온도를 확인한후 냉각 장치를 규정범위 내에 온도에 맞춰 설정해논다.
2) 시료의 온도를 규정범위 내에서 조절한다. 이 시료 100㎖ 를 눈금 실린더에 넣고 가지달린 관에 유입하지 않도록 주의 하면서 증류 플라스크에 옮겨 담은후 비등석을 증류 플라스크 안에 시료와 함께 넣는다.
3) 코르크 마개에 부착한 온도계를 증류 플라스크의 목관 중 앙에 끼워 놓고 온도계의 모세관 밑부분이 증류 플라스크의 가 지달린 관의 내벽 밑부분과 수평이 되도록 한다.
4) 플라스크 받침판 위에 시료가 있는 플라스크를 놓고 가지달 린 관을 코르크 마개로 응축관과 견고하게 접속한다. 이 때 증 류 플라스크는 수직으로 하며 가지달린 관은 25~50mm만 응축관 안에 들어가도록 위치를 조절한다.
5) 시료량을 채취하는데 사용한 눈금 실린더는 건조시키지 않 고 냉각기 장치 안에 눈금 실린더를 고정시킨다.
6) 컴퓨터의 프로그램에 규정에 맞는 수치 값을 입력한 후
프로그램을 작동시켜 증류플라스크를 가열한다.
7) 증류 플라스크에 시료가 증발되어 종말점에 이를때까지 가 열한다.
8) 증류실험기가 작동을 멈추면 증류플라스크의 잔류량과 눈금 실린더의 증발된량을 합해 처음 시료의량 과 비교해본다.
4. 관 련 지 식
1) 경유의 특징
― 경유는 끓는점이 250~350℃ 사이에 있는 탄화수소들의 혼합 물로서, 증류탑에서 등유 다음으로 유출되는 석유이다.
경유는 도시가스의 열량을 높이는 데에 사용되기도 하는데, 그 래서 gas oil이라고 하기도 한다. 또 디젤 엔진의 연료로 쓰이 고 있어 Diesel oil이라고 하기도 한다. 그 밖에 석유버너의 연료로 쓰이기도 하고 기계세척에 쓰이기도 한다. 단순한 연료 나 원료로 쓰일 때는 간단히 정제해서 사용해도 무방하지만 디 젤 기관의 연료로 쓸 때는 보다 순수하게 정제해야 한다.
2) 인 화 점
― 기체 또는 휘발성 액체에서 발생하는 증기가 공기와 섞여서 가연성 또는 완폭발성(緩爆發性) 혼합기체를 형성하고, 여기에 불꽃을 가까이 댔을 때 순간적으로 섬광을 내면서 연소하는, 즉 인화되는 최저의 온도를 말한다. 인화점을 넘어서 가열을 더 계 속하면 불꽃을 가까이 댔을 때 계속해서 연소하는 온도에 이른 다. 이 온도를 연소점이라고 하여 인화점과 구별한다.
인화점은 물질에 따라 특유한 값을 보이며, 주로 액체의 인화 성을 판단하는 수치로서 중요하다. 또 시료(試料)의 종류를 조 사하기 위해서, 특히 일정한 끓는점이나 녹는점을 보이지 않는 것에 많이 이용된다. 한편 석유제품은 대부분 한국산업규격(KS) 에 의해서 최저 인화점이 규정되어 있다.
3) 발 화 점
― 착화점(着火點)이라고도 한다. 물체를 마찰시키거나 가열하 여 어느 정도의 온도가 되면 불을 대지 않아도 불이 붙어 타기 시작하는데, 이 때의 온도를 그 물체의 발화점이라고 한다. 물 질이 연소하려면 발화점에 도달할 때까지 가열하여야 하며, 발 화점은 물체에 따라 서로 다르다. 발화점은 고체인 경우 시료의 모양이나 크기에 따라 다르고, 또 기체인 경우에는 공기(산소) 와의 혼합비 또는 측정방법 등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절대적인 값을 얻을 수 없다. 석탄, 숯, 석유, 휘발유 등이 공기 속에 아 무리 많이 있어도 타지 않는 이유는 이들 물질의 온도가 발화점 까지 도달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불이 났을 때 물을 뿌려서 타고 있는 물체의 온도를 발화점 이 하로 낮추면 불은 꺼진다. 발화점이 높다는 것은 온도가 높아야 불이 붙는다는 의미이고, 발화점이 낮다는 것은 낮은 온도에서 도 불이 잘 붙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발화점의 측정방법으로는 도가니 속에서 시료를 발화시키는 가열도가니법, 밀폐된 용기 속에서 가열하여 압력을 측정하는 봄브법, 단열압축법 등 여러 가지가 있으나, 가열도가니법을 가장 많이 이용한다.
5. 실 험 결 과
유출량(%)
IBP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45.0
50.0
분당 유출량(㎖)
―
5.0
4.7
4.5
4.6
4.6
4.4
4.4
4.6
4.5
4.5
유출량(%)
55.0
60.0
65.0
70.0
75.0
80.0
85.0
90.0
95.0
EP
분당 유출량(㎖)
4.5
4.6
4.4
4.3
4.9
4.7
4.5
4.5
5.4
―
1) 전 유 출 량 : 98.6%
2) 잔 류 량 : 1.4%
3) 손 실 량 : 0.0%
4) 대 기 압 : 102.7 kPa
5) 증 발 온 도 : 159.3℃
6. 결 론
― 이번 실험에서 휘발유의 증발 온도는 159.3℃, 총 증발량은 98.6%, 잔류량은 1.4% 으로 손실량이 0.0%로 나온 것을 볼수 있습니다.
7. 참 고 문 헌
― 한국산업규격 KS, 두산백과 사전,
추천자료
알코올의 증류(예비, 결과 모두 포함)
알코올의 증류
알코올의 증류
Distillation of ethanol from mixture(에탄올의 증류)
Steam Distillation (수증기증류) 결과레포트
알코올의 증류
알코올의 증류
Chemical Process Simulation- 증 류 공 정 -
알코올의 증류.
[물리화학] 기체 액체 평형 - 평형증류에 대한 기초 지식과 조작 방법을 이해하고, 실습을 통...
(예비) 분별 증류
[보고서] 화학공학 보고서 - 단증류
화학공학 -단증류( Simple Distillation , 單蒸類 )결과 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