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조의 전개와 구조상의 특징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시조의 전개
(2) 시조의 작가층
(3) 한시와 시조의 차이
(4) 시조의 문학성
(5) 구조에 따른 예시
3.결론

본문내용

이유는 곧 시조에 있어서는 전은 적합지 않다는 것을 의미함이 아닐까 한다.
借日若如比(차일약여비) 比形安可特(비형안가특)
比心化爲絲(비심화위사) 曲曲遠成結(곡곡원성결)
欲解復欲解(욕해부욕해) 不知端去處(부지단거처)
옛적의 이러하면 이 형안이 남았을까
수심이 실이 되야 구뷔구뷔 미쳐있셔
아므리 푸르려 하되 긋 간듸를 몰래라
위의 시조와 같이 오언육구형이 압도적으로 많다는 것은 전구처리의 까다로움을 피하기 위함일 것이다. 그렇다면 시조는 절구의 구조를 소외한다 고 할 수 있다.
3.결론
위의 말을 자세히 풀이하면 시조는 절구의 전구조를 소외한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유에 대한 정병욱의 말은 다음과 같다.
<비록 절구형이 시조화 하는데 편리하다고 하나 그 형태상의 차이로 말미암아 변조를 강요한다는 사실은 곧 한중 두민족의 미적인 감각이나 논리적인 사고의 차이에서 온다.>
즉, 미의식의 차이에서 번역의 차이가 오는 것이다. 그 미의식이란 한시에서는 충족할 수 없는 흥을 시조구조에서 찾고 그 흥을 매개로 시조를 창조해 온 것이다. 물론 구조 외에도 여러 요인이 있을 수 있으나 한시와는 다른 흥(문학성)이 시조를 전개시킨 한 요인이라 할 수 있다.
  • 가격1,2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9.05.02
  • 저작시기2008.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3321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