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만식의 생애와 작품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채만식의 생애와 작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작가와 작품 경향
2. 문학적 특성

▶ 탁류◀

▶태평천하◀

▶ 치숙 ◀

▶ 논 이야기 ◀

▶레디메이드 인생◀

▶ 미스터방 ◀

본문내용

.
작품감상
(1) 작품의 주제는 일제 강점 하의 억압적 현실과 그 속에서 살아가는 인물 군상들의 다양한 삶과 한 여인의 비극적인 삶을 통해 식민지 시대의 어둡고 혼탁한 현실을 고발하고 풍자한 것이다.
(2) 이 작품은 1930년대의 사회상을 리얼하게 그려 낸 풍속소설 혹은 세태소설로 평가받는다.
(3) 군산 지방을 배경으로 식민지 사회의 구조적 모순을 일인 중심의 신흥 도시와 한국인들의 거주지로서의 빈민가를 대립적 구도로 설정하여 도시 하층민들의 몰락과 이를 극복하기 위한 힘겨운 삶의 모습을 그려내고 있다. 이러한 대립된 도시 구조의 제시는 빈부의 대립 및 낡은 과거와 현재와의 단절을 표상하는 한편 현실적으로 식민지 사회의 구조적 모순을 압축하는 축소적 모델로서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4) ‘탁류’라는 제목이 암시하고 있듯이, 처음에는 맑던 강물이 점차 탁하게 바뀌어 가는데, 이는 일제의 탄압으로 인한 민족의 기구한 운명과 가혹한 수탈로 인해 비참해진 초봉 일가의 삶을 상징적으로 보여 주고 있다.
※ \'탁류\'의 의미 - 식민지 시대의 사회적 경제적 및 심리적인 무질서의 격류 속에 휩쓸린 인간의 탐욕과 죄악, 파멸이 횡횡하는 식민지 조선의 현실을 의미한다.
(5) 이 작품에서 비극적 몰락 혹은 파멸에 빠져드는 주요 인물들의 비극은 근본적으로 재화와 관련되어 있고, 그것은 당대의 식민지 경제 정책과 관련되어 있다.
(6) 작자는 정주사를 통하여 농촌에서 몰락·축출되어 도시로 이주하여 그곳에서 월급쟁이로, 하층 빈민으로 전락해 가는 식민지 당대의 한국인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 작자는 그의 몰락을 식미지화 전 과정과 관련하여 보고 있는데, 그의 시대의식은 특히 ‘미두취인’의 문제에서 극명하게 드러난다. 미두취인의 문제는 일제의 식민지 토지 및 미곡 수탈 정책과 투기욕의 조장에 의한 현금 약탈책의 실상을 배후에서 드러내고 있다.
(7) 주인공 초봉의 비극의 주된 원인이 된 하층민의 궁핍한 현실과 낡은 도덕관, 그리고 부정적 인물인 고태수나 장형보의 파멸의 원인이 된 물질 및 쾌락추구적 가치관은 식민지 당대의 시대적 궁핍상과 전통적 가치관의 붕괴에 따른 사회적 황폐화 현상과 관련되어 있다.
(8) 작가의 시대의식은 남승재와 계봉과 같은 당대의 탁류를 헤치고 살아갈 만한 건실한 구도자적 인물의 설정을 통하여 암시적으로 드러나고 있다.
핵심정리
* 갈래: 장편 소설, 풍자 소설
* 시점: 전지적 작가 시점.
* 배경: 일제 강점기의 군산.
* 경향: 세태 풍자적.
① 염상섭과 함께 경제적 감각을 가진 글을 씀(미두, 수형법 등)
② 식민지 하의 지식인으로 심각한 비관주의자가 아니라 냉소주의자에 속한다.
③ 아이러니를 사용함.
④ “레디메이드 인생”의 주인공 아들과 같이 계봉이 식민지 교육을 포기하도록 만듦.
⑤ 고리대금업 따위의 비정상적인 자본 축적에 대한 비판을 가함.
* 문체: 풍자적, 냉소적, 간결체
* 구성: 복합 구성, 입체 구성
* 주제: 일제 강점기의 혼탁한 사회에서 파멸해 가는 한 여인의 비극적인 삶
* 출전:『조선일보』, 1937-1938
학습활동
/두산동아/
1. 위 작품을 읽고 얻을 수 있는 어휘 등의 언어지식을 정리해 보자.
☞ 군졸하게: 군색하고 남보다 못하게
완구히:완연히
은행 빚을 추린 후에: 은행 빛을 제한 후에
2. 위 작품을 읽고 얻을 수 있는 시대적, 사회적 배경에 대한 지식을 정리해 보자.
☞ 이 작품의 공간적 배경은 군산이다. 이 군산에서 ‘정 주사’가 하는 일은 ‘미두’라는 것이다. 이것은 미곡의 시세 변동을 이용하여 현물 없이 약속으로만 거래하는 투기 행위를 말하는 것이다. ‘미두’는 1930년대 일제 식민지 수탈의 방법으로 이용하던 것인데, 특히 군산지방에서 많이 행해졌다. 왜냐하면 군산은 식민지 수탈의 관문이었기 때문이다.
3. 소설의 언어적 형상화에 사용되는 다음 방식들에 대해서 알아보자.
①배경의 세밀한 묘사
☞ 소설은 독자에게 감정을 전달한다. 이것을 위해 대부분의 작가는 묘사를 사용한다. 묘사는 독자의 감정적 반응을 일으켜 작중 인물과 그 배경을 실감나게 만든다. 그러므로 배경을 세밀하게 묘사하는 것은 독자에게 작가의 감정을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방법이 된다.
②전형적인 인물의 설정을 위한 언어 구사
☞ 전형적인 인물은 어떤 특정 부류나 계층의 보편적인 성격을 대표하는 인물로 공시적 보편성을 띤다. 그러므로 전형적인 인물을 효과적으로 설정하기 위해서는 그 인물이 속한 부류나 계층이 사용하는 언어를 작품에 드러내야 한다.
③ 인물들의 언어를 대화로 재구성하기
☞ 인물들이 말하는 언어를 대화로 재구성할 경우 현장감을 느낄 수 있다.
④ 사건의 서술
☞ 소설은 구체적인 시 공간 속에서 활동하고 살아가는 인간의 모습을 보여 준다. 그러나 이러한 한 인간이 체험한 사건은 직접 제시되는 것이 아니고 서술자에 의해 중개된다. 사건을 직접 체험하거나 타인의 체험을 관찰했거나 타인에게서 듣고 다시 옮기거나 간에 사건이 그 자체로서 그대로 전달되는 것이 아니라 서술하는 사람의 관점에 의해 재조정되는 것이다.
4. 위 소설에서 쓰이고 있는 언어적 형상화의 방식을 찾아보자
☞ 이 부분은 정 주사의 삶과 몰락 과정이 형상화되어 있다. 식민지하의 혼탁한 물결에 무너지는 인물의 모습을 그리고 있는데 이를 통해 사회의 어두운 면을 풍자와 냉소로 보여 준다. 이러한 것은 작가의 독특한 언어 해학적인 표현, 풍부한 토속어 구사로 형상화된다.
5. 위 글의 맨 마지막 문단에 사용한 표현의 미적 효과를 정리해 보자.
☞ 이 부분에서 서술자는 정 주사의 성격에 대해 서술하고 있다. 정 주사는 담보 작고 큰돈 탐내지 못하는 규모를 지닌 인물로 묘사된다. 이것을 독자들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작가는 속담과 사투리를 사용하고 있다. 속담은 해학적인 의미를 지니면서도 대상을 날카롭게 표현하는데 훌륭한 수단이 된다. 사투리는 삶의 리얼리티를 일구어 내는 데 효과적인 기능을 한다. 작가가 속담과 사투리를 사용하여 인물을 형사화한 것은 당대의 사회 현실을 드러내면서, 그 속에서 살아가는 인물들의 일그러진 삶을 표현하기에 적합하기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09.05.05
  • 저작시기200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3367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