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대상자의 인적사항(identification)
2. 현병력
3. 과거병력
4. 약물사용(alcohol and drug history)
5. 발달력
6. 가족력
7. 정신성적 이력(sexual history):
8. Mental status examination ( 정신상태 검사 )
9. 심리사회적 사정
10. 신체사정
11. 임상적 검사 결과
12. 활동요법 (문헌고찰자료 참고)
13. 약물치료(medication)
14. 의학적 진단(DSM-Ⅳ)
15. 간호과정
16. 총 평가
2. 현병력
3. 과거병력
4. 약물사용(alcohol and drug history)
5. 발달력
6. 가족력
7. 정신성적 이력(sexual history):
8. Mental status examination ( 정신상태 검사 )
9. 심리사회적 사정
10. 신체사정
11. 임상적 검사 결과
12. 활동요법 (문헌고찰자료 참고)
13. 약물치료(medication)
14. 의학적 진단(DSM-Ⅳ)
15. 간호과정
16. 총 평가
본문내용
도 빠지지 않고 참여하기로 약속한다.
-매일 환자와 잠시 동안의 상호작용과 활동을 하기 위한 계획된 시간을 같이 짜고, 지킬 수 있도록 격려한다.
-대상자가 활동요법에 참여하지 않을 경우 그의 부재를 대상자에게 말로 표현하여 대상자가 함께 참여하기를 바라고 있음을 알도록 해준다.
-대상자가 활동요법 참여 시 칭찬을 하여 자존감을 높인다.
-대상자는 자신의 장점을 찾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한다.
- 약속을 지킴으로 인해 대상자와 신뢰감을 쌓을 수 있고, 자신이 하찮은 존재가 아니라는 것을 알도록 해준다.
- 행동요법 등에 참여함으로 인해 자신의 장점 및 능력을 발견하도록 도와주고 자신도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갖도록 해준다.
- 약속을 만들고 지킴으로 인해 성취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해준다.
- 칭찬으로 인해 자신에 대한 긍정적 자아를 만들 수 있도록 도와준다.
-자신의 장점을 찾음으로 인해 자신감을 가질 수 있다.
-대상자에게 수시로 인사를 하며 잠은 잘 잤는지, 밥은 많이 먹었는지 등의 대화를 하며 라포형성에 노력하였다.
-대상자와 함께 병동생활 및 행동요법을 하면서 시간을 보냈다.
-대상자와 생활 속 약속을 만들고
지켜나갔다.
-대상자가 노래방에 참여하지 않아 섭섭했다며 다음에는 함께 나와 노래를 부르자고 권유하였다.
-함께 봄나들이에 대한 그림을 그리면서 칭찬을 하여 잘한다고 칭찬해 주었다.
-대상자가 자신의 장점에 대해 말을 해서 칭찬을 해주었고 앞으로 더 많은 장점을 찾기로 약속하였다.
평가
- 대상자는 일주일동안 활동요법에 2/3 참여하였다.
- 대상자는 일주일 이내 자신의 장점을 찾아냈다.
정의 : 자신 또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와 느낌을 일시적으로 갖는 상태
Dx 3. 자신감 부족과 관련된 사회적 적응 장애
사정
* 주관적 자료(s.d)
-“저는 못해요”
-“제가 사람들과 친해지지 못하는 게 제 성격 때문일까요?”
-“지금 시작해도 늦지 않은 걸까요?”
-“정말 제가 아무도움이 안되나요?”
-“저랑 이야기 하면 재미없고 심심할거예요. 다른 사람하고 하세요.”
* 객관적 자료(o.d)
- eye contect가 잘 안됨.
- 만남의 광장시간에 시키지 않으면 절대 발표하지 않음.
- 고개를 푹 숙이며 다님.
- 계속적으로 포기하는 모습이 보임.(성취경험부족)
- 치료팀이 보이는 관심에 부담스럽다고 다른 사람에게 관심 두라며 회피적 태도보임.
- 대인관계 어려움.
- 매일 피로한 모습을 보임.
진단
자신감 부족과 관련된 사회적 적응장애
기대되는 결과
- 대상자는 5일 이내 타환자와 자발적으로 대화를 나눌 것이다.
- 대상자는 5일 이내 치료팀과의 면담에서 회피적인 태도를 보이지 않을 것이다.
간호중재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간호수행
-환자에게 지지적, 수용적, 친교적인 접근을 한다.
-대상자가 수용과 소속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한다.
-환자가 다른 환자와의 의사소통을 증진시키도록 돕는다.
-대상자가 어느 병실의 누구에게 관심이 있는지 확인한 후 그 환자와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대상자와 비슷한 관심사나 취미를 가진 환자와 그에 대해 서로 이야기 하고 의논할 수 있도록 돕는다.
-환자의 대화시도와 타인과의 대화참여를 칭찬하여 자존감과 기능적 언어양상을 증진시킨다.
-대상자가 타인과 상호작용하는 방법과 횟수, 시간을 확인한다
- 지지적, 수용적, 친교적 접근은 대상자를 편안하게 한다.
- 수용과 소속감을 느끼게 함으로써 외로움을 느끼지 않도록 한다.
-다른 환자와의 의사소통을 증진시켜 대인관계형성을 할수 있도록 돕는다.
-칭찬을 함으로써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행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상호작용 방법, 횟수, 시간을 확인함으로 인해 앞으로 더욱 발전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대상자에게 수시로 인사를 하며 잠은 잘 잤는지, 밥은 많이 먹었는지 등의 대화를 하며 rapport형성에 노력하였다.
-병동 내 환우들과의 의사소통을 증진시키기 위해 함께 모인 자리에서 이야기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였다.
-대상자와 패션 등 비슷한 관심사를 가진 oo님과 함께 그에 대해 서로 이야기 하고 의논할 수 있도록 도왔다.
-타인과 대화를 시도하려는 모습을 보고 칭찬해주고 지속적으로 시도할 수 있도록 격려해주었다.
- 대상자가 타인과 상호작용하는 방법, 횟수, 시간을 확인하여 함께 발전방안을 모색하였다.
평가
- 대상자는 5일 이내 타환자와 자발적으로 대화를 나누었다.
- 대상자는 5일 이내 치료팀과의 면담에서 회피적인 태도를 보이지 않고, 자발적으로 대화를 요구하였다.
정의 : 사회적 교류가 불충분하거나 과도하거나 비효과적인 상태
16. 총 평가
만 21세 Major Depression Disorder로 인해 입원하신 여성분이신 대상자께서는 가족 간의 갈등과 돈 문제로 인해 아버지와 다투면서 같이 때리고 욕을 하는 모습 있어 11월 19일 전대병원 7동 5층에 입원 중 상태 호전되어 3개월 전 퇴원하고 외래 치료하다 최근 불안하고 Akathisia 있고 잠이 안오고 충동성(impulsivity) 감소해 4월 8일 자의 입원하였습니다.
자의입원을 한 것과 대화를 나누어 본 결과 대상자는 꼭 낫고 싶다는 의지가 보였으나 자신감이 부족해 보였고, 상황적으로 자긍심이 부족해 보였습니다. 또한 병동생활 중 자신과 친해질 사람이 없다며 대인관계형성에도 어려움을 보였습니다.
이에 저는 대상자가 병동생활 중 자신감을 가지고 대인관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많은 타 환자들과 이야기를 할 수 있는 상황을 만들어 도와드렸고, 대상자와 비슷한 관심사(패션, 미술)를 가지고 있는 환자를 찾아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 드렸습니다. 또한 그동안 끈기부족으로 인해 잦은 포기를 하는 모습이 있어 그 모습을 조금이나마 변화 시킬 수 있도록 작은 약속을 하나하나 정하여 지키는 등의 행동을 수행하였습니다.
현재 이 대상자는 자신이 꼭 나았으면 하는 강한 의지와 타 환자들과도 잘 지내고 싶어하는 의지가 있기 때문에 앞으로 병동생활을 함에 있어 긍정적인 발전이 보일 것으로 예상되며, 앞으로 더욱 적극적으로 지지, 격려 해준다면 더욱 빠른 변화가 보일 것이라 생각됩니다.
-매일 환자와 잠시 동안의 상호작용과 활동을 하기 위한 계획된 시간을 같이 짜고, 지킬 수 있도록 격려한다.
-대상자가 활동요법에 참여하지 않을 경우 그의 부재를 대상자에게 말로 표현하여 대상자가 함께 참여하기를 바라고 있음을 알도록 해준다.
-대상자가 활동요법 참여 시 칭찬을 하여 자존감을 높인다.
-대상자는 자신의 장점을 찾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한다.
- 약속을 지킴으로 인해 대상자와 신뢰감을 쌓을 수 있고, 자신이 하찮은 존재가 아니라는 것을 알도록 해준다.
- 행동요법 등에 참여함으로 인해 자신의 장점 및 능력을 발견하도록 도와주고 자신도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갖도록 해준다.
- 약속을 만들고 지킴으로 인해 성취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해준다.
- 칭찬으로 인해 자신에 대한 긍정적 자아를 만들 수 있도록 도와준다.
-자신의 장점을 찾음으로 인해 자신감을 가질 수 있다.
-대상자에게 수시로 인사를 하며 잠은 잘 잤는지, 밥은 많이 먹었는지 등의 대화를 하며 라포형성에 노력하였다.
-대상자와 함께 병동생활 및 행동요법을 하면서 시간을 보냈다.
-대상자와 생활 속 약속을 만들고
지켜나갔다.
-대상자가 노래방에 참여하지 않아 섭섭했다며 다음에는 함께 나와 노래를 부르자고 권유하였다.
-함께 봄나들이에 대한 그림을 그리면서 칭찬을 하여 잘한다고 칭찬해 주었다.
-대상자가 자신의 장점에 대해 말을 해서 칭찬을 해주었고 앞으로 더 많은 장점을 찾기로 약속하였다.
평가
- 대상자는 일주일동안 활동요법에 2/3 참여하였다.
- 대상자는 일주일 이내 자신의 장점을 찾아냈다.
정의 : 자신 또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와 느낌을 일시적으로 갖는 상태
Dx 3. 자신감 부족과 관련된 사회적 적응 장애
사정
* 주관적 자료(s.d)
-“저는 못해요”
-“제가 사람들과 친해지지 못하는 게 제 성격 때문일까요?”
-“지금 시작해도 늦지 않은 걸까요?”
-“정말 제가 아무도움이 안되나요?”
-“저랑 이야기 하면 재미없고 심심할거예요. 다른 사람하고 하세요.”
* 객관적 자료(o.d)
- eye contect가 잘 안됨.
- 만남의 광장시간에 시키지 않으면 절대 발표하지 않음.
- 고개를 푹 숙이며 다님.
- 계속적으로 포기하는 모습이 보임.(성취경험부족)
- 치료팀이 보이는 관심에 부담스럽다고 다른 사람에게 관심 두라며 회피적 태도보임.
- 대인관계 어려움.
- 매일 피로한 모습을 보임.
진단
자신감 부족과 관련된 사회적 적응장애
기대되는 결과
- 대상자는 5일 이내 타환자와 자발적으로 대화를 나눌 것이다.
- 대상자는 5일 이내 치료팀과의 면담에서 회피적인 태도를 보이지 않을 것이다.
간호중재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간호수행
-환자에게 지지적, 수용적, 친교적인 접근을 한다.
-대상자가 수용과 소속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한다.
-환자가 다른 환자와의 의사소통을 증진시키도록 돕는다.
-대상자가 어느 병실의 누구에게 관심이 있는지 확인한 후 그 환자와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대상자와 비슷한 관심사나 취미를 가진 환자와 그에 대해 서로 이야기 하고 의논할 수 있도록 돕는다.
-환자의 대화시도와 타인과의 대화참여를 칭찬하여 자존감과 기능적 언어양상을 증진시킨다.
-대상자가 타인과 상호작용하는 방법과 횟수, 시간을 확인한다
- 지지적, 수용적, 친교적 접근은 대상자를 편안하게 한다.
- 수용과 소속감을 느끼게 함으로써 외로움을 느끼지 않도록 한다.
-다른 환자와의 의사소통을 증진시켜 대인관계형성을 할수 있도록 돕는다.
-칭찬을 함으로써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행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상호작용 방법, 횟수, 시간을 확인함으로 인해 앞으로 더욱 발전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대상자에게 수시로 인사를 하며 잠은 잘 잤는지, 밥은 많이 먹었는지 등의 대화를 하며 rapport형성에 노력하였다.
-병동 내 환우들과의 의사소통을 증진시키기 위해 함께 모인 자리에서 이야기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였다.
-대상자와 패션 등 비슷한 관심사를 가진 oo님과 함께 그에 대해 서로 이야기 하고 의논할 수 있도록 도왔다.
-타인과 대화를 시도하려는 모습을 보고 칭찬해주고 지속적으로 시도할 수 있도록 격려해주었다.
- 대상자가 타인과 상호작용하는 방법, 횟수, 시간을 확인하여 함께 발전방안을 모색하였다.
평가
- 대상자는 5일 이내 타환자와 자발적으로 대화를 나누었다.
- 대상자는 5일 이내 치료팀과의 면담에서 회피적인 태도를 보이지 않고, 자발적으로 대화를 요구하였다.
정의 : 사회적 교류가 불충분하거나 과도하거나 비효과적인 상태
16. 총 평가
만 21세 Major Depression Disorder로 인해 입원하신 여성분이신 대상자께서는 가족 간의 갈등과 돈 문제로 인해 아버지와 다투면서 같이 때리고 욕을 하는 모습 있어 11월 19일 전대병원 7동 5층에 입원 중 상태 호전되어 3개월 전 퇴원하고 외래 치료하다 최근 불안하고 Akathisia 있고 잠이 안오고 충동성(impulsivity) 감소해 4월 8일 자의 입원하였습니다.
자의입원을 한 것과 대화를 나누어 본 결과 대상자는 꼭 낫고 싶다는 의지가 보였으나 자신감이 부족해 보였고, 상황적으로 자긍심이 부족해 보였습니다. 또한 병동생활 중 자신과 친해질 사람이 없다며 대인관계형성에도 어려움을 보였습니다.
이에 저는 대상자가 병동생활 중 자신감을 가지고 대인관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많은 타 환자들과 이야기를 할 수 있는 상황을 만들어 도와드렸고, 대상자와 비슷한 관심사(패션, 미술)를 가지고 있는 환자를 찾아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 드렸습니다. 또한 그동안 끈기부족으로 인해 잦은 포기를 하는 모습이 있어 그 모습을 조금이나마 변화 시킬 수 있도록 작은 약속을 하나하나 정하여 지키는 등의 행동을 수행하였습니다.
현재 이 대상자는 자신이 꼭 나았으면 하는 강한 의지와 타 환자들과도 잘 지내고 싶어하는 의지가 있기 때문에 앞으로 병동생활을 함에 있어 긍정적인 발전이 보일 것으로 예상되며, 앞으로 더욱 적극적으로 지지, 격려 해준다면 더욱 빠른 변화가 보일 것이라 생각됩니다.
추천자료
우울증에 대해서
우울증과 우울증 치료에 대해서
[우울증][우울증 정의][우울증 원인][우울증 종류][우울증 발병률][우울증 증상][우울증 치료...
[우울증][우울증 원인][우울증 종류][우울증 증상][우울증에 좋은 음식][우울증 예방][우울증...
우울증에 대한 이해
[산후우울증][산후우울증 자가진단법][산후우울증 치료][산후우울증 극복 방법][심리간호]산...
[아동상담] 부적응 행동 이해 - 짜증내고 우울한 아동에 관한 보고서 {우울증의 정의, 아동기...
[노인우울증 (老人憂鬱症)] 노인우울증의 증상과 치료방법 ; 노인우울증의 원인과 위험성 분...
청소년기와 성인기의 우울의 특징에 대하여 비교해보고, 본인 주변의 사례를 통해 문제해결...
노인 우울증 예방프로그램,노인의 개념과 특성,우울증의 개념과 특성,노년기 우울증
청소년 우울의 특성을 확인해 보고, 우울이 청소년의 삶에 미치는 부정적 결과들에 대해서 ...
[성인간호세미나] 산후 우울증의 개념 분석 (Postpartum depression) [산후 우울 개념 산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