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TV에 대하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IPTV에 대하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IPTV의 개념
2. IPTV의 등장배경

Ⅱ. 본론
1. IPTV와 경쟁매체의 비교
2. 국내 IPTV 서비스 현황
3. 해외 IPTV 시장 현황 및 전망
4. 해외 IPTV 성공 사례
5. 방송 • 통신 컨버전스 사례

Ⅲ. 결론

본문내용

취향이나 재정 상황에 맞춰 서비스 패키지를 선택할 수 있는 상품 및 서비스 요금의 다양성을 지녔 으며, 20세기 폭스사, 유니버셜스튜디오, 드림윅스 등의 US 메이저 영화사들과 라이센스 계약을 통해 4500개의 VOD 타이틀을 확보하였다. 또한, 단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 해 지상파, 위성채널, VOD 등 다양한 종류의 콘텐츠를 EPG형식으로 TV를 통해 제공함 으로써 서비스 편리성과 차별화를 추구하였다.
Fastweb의 성공요인을 살펴보면 첫째, 케이블 TV사업자의 부재와 위성방송사업자인 Sky Italia보다 매력적 요금으로 TV와 통신의 번들서비스 제공하며 방송시장 진입에 성 공한 점, 둘째 10M 대역폭의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의 제공으로 Telecom Italia보다 네트 워크 경쟁우위를 확보한 점, 셋째 대도시 및 인구밀집 지역을 중점으로 사업을 전개하여 네트워크 투자가 용이 하였던 점, 마지막으로 다양한 서비스로 소비자를 만족시키고 Killer Content(시장을 주도하는 대표 콘텐츠) 활용을 통해 IPTV 사업화에 성공한 점을 꼽을 수 있다.
5. 방송.통신 컨버전스 사례
1) 콘텐츠 전쟁 -> 통신 산업의 지각변동 (CJ·오리온·KT·SK텔레콤)
10년 전만 해도 상상도 하기 어려웠던 놀라운 변화들이 현재 진행되고 있다. 유선과 무선 통신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방송과 통신이 결합하고 있다. 휴대전화로 초고속 인터넷에 접속하거나(HSDPA), 움직이면서 TV를 보고(DMB), TV에 인터넷을 연결해 영화를 내려 받아 보기도 하고(IPTV 또는 TV포털), 무선인터넷이 유선인터넷만큼 빨라지기도 하고(와이브로), 휴대전화와 유선전화의 경계도 무너지고 있다(LG텔레콤의 '기분존').
이미 오래 된 이야기지만 헤드셋만 있으면 인터넷으로 전화를 걸거나 받을 수도 있고(VoIP), 케이블 TV를 신청하면 초고속 인터넷이 덤으로 따라오기도 한다. 유선방송과 초고속 인터넷, 유선전화가 결합된 서비스(TPS, Triple Play Service)도 나왔다. 방송은 이제 공중파와 케이블뿐만 아니라 유선과 무선인터넷이나 DMB로도 수신할 수 있다. 바야흐로 통신과 방송의 융합, 이른바 컨버젼스와 유비쿼터스 시대가 바짝 다가왔다.
컨버전스는 융합이라는 뜻이고 유비쿼터스란 '언제 어디서나'라는 뜻의 라틴어로 네트워크나 단말기의 종류에 관계없이 언제 어디서나 자유롭게 접속하고 동일한 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다는 의미다. 공중파 TV와 유선방송, 그리고 위성 또는 지상파 DMB는 직접적으로 서로의 시장을 잠식한다. 유선방송 사업자들은 초고속 인터넷 시장을 잠식하고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 회사들은 유선전화 시장을 잠식한다.
또한 이동통신 회사들의 무선 인터넷은 초고속 인터넷시장을 잠식한다. 초고속 인터넷회사들은 아예 방송국이 되려고 한다. 이동통신회사들도 마찬가지다. 방송뿐만 아니라 양방향 방송에 필요한 데이터 통신까지 장악하려고 한다. 어디까지가 방송이고 어디까지가 통신인지 구분하기도 어려워진다. 누가 메인 프레임이 되느냐의 경쟁이 시작된 것이다.
하나로텔레콤은 고질적인 수익성 악화를 하나TV와 IPTV로 돌파한다는 계획이다. 차별화된 서비스로 가입자 이탈을 방지하고 자연스럽게 마케팅 비용을 낮추는 효과도 있다.
2) 방송사업자들의 반격
유선과 무선을 막론하고 통신서비스 회사들이 콘텐츠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삼성경제연구소는 내친 김에 콘텐츠 업계가 CJ와 오리온그룹의 2강 구도에 KT와 SK텔레콤이 가세하면서 4강 체제로 재편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기도 했다. 고정민 연구원은 "모바일 시대의 파워가 유통에서 제작으로 옮겨가면서 유통에 기반을 가지고 있던 통신 기업들이 제작부문에 진출하게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기존 방송 사업자들의 반격도 만만치 않다. SBS는 자회사인 SBS인터내셔널을 내세워 2010년과 2014년 월드컵은 물론이고 2010년 동계올림픽과 2016년 하계올림픽 등의 중계권을 사들였다. SBS가 사들인 중계권은 지상파TV뿐만 아니라 케이블TV, 위성TV, DMB, 인터넷중계, IPTV, 와이브로, HSDPA, 등의 모바일 서비스, 심지어 전광판 서비스까지 모두 망라한다. 통신과 방송 전반에 걸쳐 콘텐츠 확보 전쟁이 이미 시작됐다는 이야기다.
한동안 공중파 방송 사업자들이 이 전쟁에서 상당한 우위를 차지할 것은 분명하다.
공중파 방송이 콘텐츠 생산자의 지위를 잃고 수많은 통신 수단 가운데 하나로 전락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다는 게 대다수 전문가들의 입장이다.
Ⅲ. 결 론
- IPTV의 개념과 등장배경, 그리고 국내외 시장 현황 및 성공 사례를 살펴보았는데 아직까지 IPTV는 완전한 통신서비스라고 볼 수 없다. 또한 일반 수용자가 느끼기에 IPTV는 기존의 디지털 케이블 TV나 디지털 위성방송, 지상파 디지털 TV와 서비스 적 측면에서 별반 차이가 없을 수 있다. 하지만, IPTV는 분명 다양한 통신과 방송관련 서비스들의 결합을 통해 본격적으로 융합시대를 여는 시발점이자, 융합현상들을 이어주는 꼭지점 역할을 할 것이다.
이미 우리나라는 IPTV가 보급되기 위한 기술력 및 인프라를 갖추고 있다고 본다. 이제 법과 제도적 체계정립만 남아있는 셈이다. IPTV의 독자적인 기술이 개발되었음에도 불구 하고, 사회에 녹아들지 못하는 것은 전체로 볼 때 손실을 가져올 수도 있다. 분명, IPTV는 우리가 경험해 보지 못한 새로운 서비스와 콘텐츠 등을 창출하여 새로운 미디어 사회, 경 제, 문화 등의 모델을 제시할 가능성을 충분히 지니고 있다. 우리가 지금 초고속 인터넷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것처럼 IPTV도 원할 때 언제든지 접할 수 있는 시간이 곧 올 것이라 고 믿는다.
<참고문헌>
최락권, 양준환, 2007. IPTV 서비스 현황과 진화 방향. 한국 인터넷 정보 학회
김대건, 2007. IPTV 기술. 한국통신학회지
최홍규, 박정섭, 2007. 통신과 방송의 융합서비스 IPTV - IPTV란 무엇인가?.
하나금융경영연구소, IPTV 서비스 시장 전망 및 관련 산업 파급효과 분석.PDF
기타, 방송통신위원화자료 및 네이버 블로그, 인터넷 뉴스.

키워드

IPTV,   방송,   통신,   컨버전스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9.05.06
  • 저작시기2008.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3399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