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을 기억해내지 못하는 편인데 기억하고 싶지 않은 불쾌한 사상과 화해하도록 설득함으로 인해서 꿈의 내용이 생각났다는 환자이야기를 읽으면서 자주 꿈을 기억하지 못한다는 사실이 안타깝기도 하였다. 그의 말대로 꿈을 완전히 해석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며 단숨에 할 수 있는 일이 아니므로 기억이 나는 꿈이라도 분석하려고 노력해보면 재미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꿈에 대한 심리학적 고찰은 평상시 우리의 심리를 읽어내는 데에도 유용할 수 있겠다. 낮에는 불가능한 퇴행이 꿈에서는 가능한가 하는 의문에 대해 그는 수면 상태가 심적 장치의 감각 말단에서 불러일으키는 에너지 충당의 변화를 이야기한다. 이어서 그는 ‘낮에는 지각 말단의 심적 조직에서 운동성을 향해 지속적으로 흐르는 조류가 있다. 이것이 밤에는 정지하여 흥분의 역류에 아무런 방해도 할 수 없는 것 같다.’라고 말한다. 이 대목은 보이지 않는 심리상태를 마치 신체장기의 기능에 대한 설명처럼 구체적으로 나타냈다는 생각이 들었다.
마지막으로 꿈의 해석을 읽고 정리를 하고, 그의 학문에 관해 내 생각을 이야기 하자면 이러하다. 이와 같은 프로이트의 무의식 이론은 20세기 모든 학문에 엄청나게 큰 영향력을 미쳤다. 심리학적으로는 인간의 생리적 이상 현상이 단지 신체적인 결함 때문에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정신적인 부분들이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주장하였고, 신경증과 히스테리치료에 획기적인 발전을 가져왔다. 또한 프로이트를 기점으로 하여 심리학의 다양한 분파들이 형성하게 되는 계기가 형성되었다. 그러나 그 무엇보다도 프로이트의 이론이 가장 큰 영향을 준 부분은 단연 철학이라고 할 수 있겠다. 기존의 철학들이 주류를 이루었지만 프로이트가 등장한 이후, 데카르트의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는 더 이상 무의미해져버렸다. 프로이트의 무의식 이론을 기점으로 지금의 철학에서는 인간의 이성에 더 이상 신뢰를 보이고 있지 않다. 특히 자크 라캉이나 그를 계승한 지라르의 욕망이론은 크게보면 프로이트의 이론에 기초한 것으로 그의 오이디푸스 개념을 기본 아이디어로 차용하였다. 하지만 프로이트의 이론은 모든 것을 유년기의 성적 욕망에서 찾았다는 점에서 한계를 보인다. 그이 제자였던 융이 프로이트의 견해와 반대를 보인 부분이 바로 이점이다. 이런 한계점에도 불구하고 프로이트의 사상은 20세기에 일대 혁명을 불러일으키기에 충분하였고 특히 무의식 세계를 착안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꿈에 대한 심리학적 고찰은 평상시 우리의 심리를 읽어내는 데에도 유용할 수 있겠다. 낮에는 불가능한 퇴행이 꿈에서는 가능한가 하는 의문에 대해 그는 수면 상태가 심적 장치의 감각 말단에서 불러일으키는 에너지 충당의 변화를 이야기한다. 이어서 그는 ‘낮에는 지각 말단의 심적 조직에서 운동성을 향해 지속적으로 흐르는 조류가 있다. 이것이 밤에는 정지하여 흥분의 역류에 아무런 방해도 할 수 없는 것 같다.’라고 말한다. 이 대목은 보이지 않는 심리상태를 마치 신체장기의 기능에 대한 설명처럼 구체적으로 나타냈다는 생각이 들었다.
마지막으로 꿈의 해석을 읽고 정리를 하고, 그의 학문에 관해 내 생각을 이야기 하자면 이러하다. 이와 같은 프로이트의 무의식 이론은 20세기 모든 학문에 엄청나게 큰 영향력을 미쳤다. 심리학적으로는 인간의 생리적 이상 현상이 단지 신체적인 결함 때문에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정신적인 부분들이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주장하였고, 신경증과 히스테리치료에 획기적인 발전을 가져왔다. 또한 프로이트를 기점으로 하여 심리학의 다양한 분파들이 형성하게 되는 계기가 형성되었다. 그러나 그 무엇보다도 프로이트의 이론이 가장 큰 영향을 준 부분은 단연 철학이라고 할 수 있겠다. 기존의 철학들이 주류를 이루었지만 프로이트가 등장한 이후, 데카르트의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는 더 이상 무의미해져버렸다. 프로이트의 무의식 이론을 기점으로 지금의 철학에서는 인간의 이성에 더 이상 신뢰를 보이고 있지 않다. 특히 자크 라캉이나 그를 계승한 지라르의 욕망이론은 크게보면 프로이트의 이론에 기초한 것으로 그의 오이디푸스 개념을 기본 아이디어로 차용하였다. 하지만 프로이트의 이론은 모든 것을 유년기의 성적 욕망에서 찾았다는 점에서 한계를 보인다. 그이 제자였던 융이 프로이트의 견해와 반대를 보인 부분이 바로 이점이다. 이런 한계점에도 불구하고 프로이트의 사상은 20세기에 일대 혁명을 불러일으키기에 충분하였고 특히 무의식 세계를 착안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추천자료
[독서 감상문] 프로이트
[프로이드][프로이트][프로이드이론][정신분석][정신분석이론][Freud][발달단계][성격구조]프...
정신역동 모델 -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
2012년 2학기 철학의이해 중간시험과제물 D형(프로이트의 환자들 발췌 독후감)
2013년 2학기 철학의이해 중간시험과제물 E형(프로이트의 환자들 발췌 독후감)
[인간행동과사회환경 1A형] 행동발달에 대한 정신분석학의 입장과 프로이트(S. Freud)이론의 ...
인간행동과사회환경1A) 행동발달에 대한 정신분석학의 입장과 프로이트(S. Freud)이론의 특징...
[심리성적 발달단계론] 프로이트(Sigmund Freud)의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와 아동 교육 문제 해결
2014년 2학기 철학의이해 중간시험과제물 A형(프로이트의 환자들 발췌 독후감)
프로이드의 정신분석적 상담이론을 설명하고 자신과 주변인의 삶을 이해하는데 적용되었던 내...
2015년 2학기 철학의이해 중간시험과제물 B형(프로이트의 환자들 발췌 독후감)
[상담과 심리치료] 프로이트 정신분석치료 기법과 실제 및 평가 - 치료적 과정과 관계, 주요 ...
다음의 제시한 영화 중 하나를 보고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적인 관점에서 논하거나 캐릭터를 비...
인간행동과사회환경1A)행동발달에 대한 프로이트(S. Freud)이론의 특징과 의의를 설명.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