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들어가며
Ⅱ. 단체협약의 분쟁처리
Ⅲ. 수락된 조정안․중재재정의 분쟁 처리
Ⅱ. 단체협약의 분쟁처리
Ⅲ. 수락된 조정안․중재재정의 분쟁 처리
본문내용
이 확정된다. 확정된 중재재정의 내용은 단체협약과 동일한 효력을 가진다.
5. 쟁의행위의 불가
조정안의 해석 또는 이행방법에 관한 견해가 제시될 때까지 관계당사자는 당해 조정안의 해석 또는 이행에 관하여 쟁의행위를 할 수 없다.
6. 위반의 효과
노동위원회가 제시한 견해는 중재재정과 동일한 효력을 가지므로 이를 준수하지 아니하는 자는 벌칙이 적용된다.
5. 쟁의행위의 불가
조정안의 해석 또는 이행방법에 관한 견해가 제시될 때까지 관계당사자는 당해 조정안의 해석 또는 이행에 관하여 쟁의행위를 할 수 없다.
6. 위반의 효과
노동위원회가 제시한 견해는 중재재정과 동일한 효력을 가지므로 이를 준수하지 아니하는 자는 벌칙이 적용된다.
키워드
추천자료
노동법2(공인노무사 2차 서브노트)
시민단체(NGO)활동의 경제학적 해석
복수노조시 단체교섭방법
노동쟁의 조정 절차
[단체교섭]단체교섭 개념, 목표, 방식, 절차, 대응과 구조개선 및 당면 과제 분석(단체교섭권...
노동관련사건 발생시 분쟁처리 절차에 대하여
[노동분쟁조정제도]노동분쟁의 유형, 노동분쟁대상의 해당 여부와 노동위원회의 노동분쟁조정...
개정법에 따른 노동위원회 제도 법적 검토
노조법상 단체교섭의 대상여부로써 경영권 사항
(노동법) 복수노조 허용과 단체교섭 관련 부당노동행위 법적 판단기준
교원의 의미, 교원의 지위, 교원노동조합(교원노조)의 역사, 교원노동조합(교원노조)의 이념,...
산별노조하 단체교섭 및 협약체결과 각급조직의 위상 및 기능
수용자 조사에 관한 비판적 관점-단체과 구조와 이데올로기에 대한 해석에 관한 문제들
[노동조합][노동자][주말노동제][노동생산성]노동조합(노동자)과 경영참여, 노동조합(노동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