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목차
◆ 목 차 ◆
Ⅰ.생식기관
1.여성의 생식기관
2.남성의 생식기관
Ⅱ.임신
1.임신의 성립
2.임신을 알려주는 신호
3.임신의 과정
4. 태아발달 과정
5.임신 중 산전검사
6.영양관리
Ⅲ. 출산
1.출산을 알리는 신호
2.출산 과정
3.다양한 분만법
Ⅳ.산후조리
1.산후 조리 원칙
2.6주간의 산후조리
3.산후 트러블
Ⅴ.맺음말
Ⅵ.참고자료
Ⅰ.생식기관
1.여성의 생식기관
2.남성의 생식기관
Ⅱ.임신
1.임신의 성립
2.임신을 알려주는 신호
3.임신의 과정
4. 태아발달 과정
5.임신 중 산전검사
6.영양관리
Ⅲ. 출산
1.출산을 알리는 신호
2.출산 과정
3.다양한 분만법
Ⅳ.산후조리
1.산후 조리 원칙
2.6주간의 산후조리
3.산후 트러블
Ⅴ.맺음말
Ⅵ.참고자료
본문내용
일주일 정도 지속되는 경우도 있다. 특히 수유하는 산모는 자궁 수축을 빠르게 하는 호르몬이 분비되어 통증이 더 강하게 나타나기도 한다. 심한 통증은 그만큼 자궁 수축이 잘된다는 뜻이므로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산욕열
출산 과정에서 자궁의 내면이나 자궁벽, 산도 등에 크고 작은 상처가 생긴다. 이 상처에 세균이 들어가면 열이 나는데 이를 산욕열이라고 한다. 출산 후 피로가 심해 저항력이 크게 떨어졌거나 적절히 오로 손질을 하지 않아 외음부가 불결해져 산욕열이 생기기도 한다. 또한 자궁경관의 염증이나 젖몸살도 산욕열의 원인이 된다.
산욕열은 보통 출산 후 2~3일이 지나면서 많이 나타나는데 오한과 함께38℃~39℃에 이르는 고열이 이틀이상 계속되기도 한다. 대부분 이틀 정도 열이 나가 가라앉지만 심한 경우에는 일주일 정도 고열이 지속되기도 한다. 이 밖에도 하복부 통증, 질이나 회음부 상처 부위에 궤양이 생기기도 한다. 산욕열이 생기면 충분히 휴식을 하고, 영양을 풍부하게 섭취해주어야 한다. 심한 경우 병원에서 소염제나 항생제 등을 처방하지만 충분히 안정을 취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회음통
출산할 때 산도를 넓히고 산후 회복이 쉽도록 회음 절개를 하는데 이 부위가 계속 아프고 땅기는 느낌이 나는 것을 회음통이라고 한다. 회음 절개 부위는 출산 직후 봉합하며 시술 후 4~5일이 지나면 자연스럽게 실밥이 몸에 흡수되는데, 회음 절개 후 일주일 정도 지나면 대부분 통증은 사라진다. 보통 걷거나 앉는 동작이 거북할 정도로 꽉 죄는 것 같은 아픔이 일주일 이상 계속되면 병원을 찾는 것이 좋다. 회음통이 있을 때에는 회음 절개 부위에 얼음 주머니를 대거나 따뜻한 물로 좌욕하면 증상이 가라앉는다. 하루 2차례 정도 따뜻한 물에 좌욕하고 패드를 자주 갈아주어 청결에 유의해야 한다. 얼음 주머니는 한번에 30분 정도 대주면 된다. 이를 이상 계속하면 오히려 상처의 회복이 더딜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계속 아랫배가 아프거나 불쾌한 냄새가 나고, 적은 양이라도 1개월 이상 피가 비치면 산부인과를 찾는다.
◆젖몸살
유방에 혈액이 증가하고 젖의 생산-공급이 많아짐으로써 유방이 커지고 열이 나며 딱딱하게 변하는데 이를 젖몸살이라고한다. 산후 3~4일이 지나면 유방은 단단하게 부풀어 피하 정맥이 바깥으로 드러나서 보인다. 산모에 따라서는 출산 후 2~3일부터 유두에 통증이 오고 유두를 만지면 끈적끈적하고 노란 투명 초유가 나온다. 초유가 나오기 시작하면 아기에게 젖을 빨리거나 유축기로 젖을 짜낸다. 출산 후 4~5일에 나오는 초유는 모두 짜주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전신에 열이 심하게 나면서 유방이 아픈 젖몸살이 생길 수 있다. 또 유방을 불결하게 놓아두면 유두염이나 유선염이 생길 수 있으므로 청결하게 유지해야 한다. 유방이 단단하게 부풀었을 때에는 찜질과 마사지를 통해 젖멍울을 풀어줘야 젖몸살을 예방할 수 있다.
◆요실금
산후 트러블로 나타나는 요실금은 출산할 때 방광이 압박받아 괄약근이 늘어나고 요도구가 느슨해진 탓에 일어난다. 첫 출산일 때 가장 많이 나타나지만 출산 횟수가 많을수록 발생 빈도도 증가하므로 반드시 치료해주어야 한다. 보통 출산 후 6주 동안 가장 빈번히 발생한다. 증상은 재채기를 하거나 웃을 때, 무거운 물건을 들거나 가벼운 운동을 할 때 배에 힘을 가하면서 소변이 찔끔찔끔 나온다. 출산 후 생기는 요실금은 항문이나 요도 주위의 괄약근이 원래 약한 산모, 아기가 유난히 큰 산모, 난산인 산모 등에서 잘 나타난다.
◆변비와 치질
치질은 항문 주위에 생기는 질환으로 남에게 보이기 쉽지 않은 부위라서 대부분의 산모가 혼자 고민하다 병을 키우는 경우가 많다. 치질은 산모가 많이 겪는 산후 트러블 중 하나로 처음 출산한 산모의 1/3, 두 번째 출산한 산모의 2/3, 세 번째 출산하는 산모의 대부분이 치질 증세를 보인다고 알려져 있다. 출산 후 치질이 많이 나타나는 이유는 활동하지 않고 줄곧 누워만 지내서 변비가 많이 생기기 때문이다. 또 아이를 키우다 보면 변의를 느낀다고 곧바로 화장실을 갈 수 없기 때문에 변비가 생기고 이것이 심해져 치질이 되는 경우가 많다. 증상에 따라 수술이나 약물을 이용해 치료하는데, 산후 6개월이 지나도 좋아지지 않으면 병원에 가보도록 한다.
Ⅴ.맺음말
우리는 주변에서 배가 많이 불러온 임신부를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다. 나 또한 어머니의 임신으로 인해 태어났고 여기 있는 우리 모두는 각자 어머니의 임신으로 인해 이 세상에 태어나게 됐다. 이렇게 우리 주변에서 쉽게 보고 인식할 수 있어서인지 임신을 가볍고 간단하게 보는 사람들이 많은 것 같다. 그러나 실상 임신은 그렇지 않다. 인신과 출산이란 행위는 어찌보면 가장 고귀하고 신비로운 행위라고 할 수 있다. 나 또한 아직 임신에 대해 직접적으로 와 닿는 경험을 해보지 못했기에 임신에 대해 가볍게 생각하는 경향이 있었지만 이번 레포트를 통해 임신의 신비로움과 고귀함에 대해 깨달았다. 또한 부모님에 대한 감사의 마음도 다시 한번 느낄 수 있었다.
우리의 인체는 정말 신비하고 놀랍다. 인공적으로는 만들어 낼 수 없는 정교한 메카니즘으로 임신과 출산의 환경을 만들고 새 생명을 태어나게 한다. 이런 내적인 환경과 외적인 환경의 조절과 조화로 인해, 10달 동안의 고통을 이겨내고 엄마와 아빠가 되는 감동을 간접적으로나마 느낄 수 있었다. 임신에서부터 출산하는 과정에 이르기까지 레포트를 쓰면서 여러 가지 유용한 정보들을 얻은 것 같아서 나에게도 큰 도움이 됐다.
우리 모두 머지않아 실제로 아빠와 엄마가 될 것이다. 이런 인체의 신비한 축복을 잘 맞이하려면 그에 대한 적당한 지식과 정보도 아주 중요하다. 그런 면에서 한 걸음 나아갈 수 있게 된 것 같고 레포트를 쓰는 동안 흥미로웠다. 다음번에 기회가 된다면 임신과 출산 이후의 과정에 대해서도 조사 해보고 싶다.
Ⅶ.참고자료
-Missy life (중앙 출판사)
-소문난 임신, 출산책 (웅진 리빙하우스)
-인터넷 검색자료
www.imsintotal.com
http://www.bankbaby.com/
http://www.aga-love.org/
◆산욕열
출산 과정에서 자궁의 내면이나 자궁벽, 산도 등에 크고 작은 상처가 생긴다. 이 상처에 세균이 들어가면 열이 나는데 이를 산욕열이라고 한다. 출산 후 피로가 심해 저항력이 크게 떨어졌거나 적절히 오로 손질을 하지 않아 외음부가 불결해져 산욕열이 생기기도 한다. 또한 자궁경관의 염증이나 젖몸살도 산욕열의 원인이 된다.
산욕열은 보통 출산 후 2~3일이 지나면서 많이 나타나는데 오한과 함께38℃~39℃에 이르는 고열이 이틀이상 계속되기도 한다. 대부분 이틀 정도 열이 나가 가라앉지만 심한 경우에는 일주일 정도 고열이 지속되기도 한다. 이 밖에도 하복부 통증, 질이나 회음부 상처 부위에 궤양이 생기기도 한다. 산욕열이 생기면 충분히 휴식을 하고, 영양을 풍부하게 섭취해주어야 한다. 심한 경우 병원에서 소염제나 항생제 등을 처방하지만 충분히 안정을 취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회음통
출산할 때 산도를 넓히고 산후 회복이 쉽도록 회음 절개를 하는데 이 부위가 계속 아프고 땅기는 느낌이 나는 것을 회음통이라고 한다. 회음 절개 부위는 출산 직후 봉합하며 시술 후 4~5일이 지나면 자연스럽게 실밥이 몸에 흡수되는데, 회음 절개 후 일주일 정도 지나면 대부분 통증은 사라진다. 보통 걷거나 앉는 동작이 거북할 정도로 꽉 죄는 것 같은 아픔이 일주일 이상 계속되면 병원을 찾는 것이 좋다. 회음통이 있을 때에는 회음 절개 부위에 얼음 주머니를 대거나 따뜻한 물로 좌욕하면 증상이 가라앉는다. 하루 2차례 정도 따뜻한 물에 좌욕하고 패드를 자주 갈아주어 청결에 유의해야 한다. 얼음 주머니는 한번에 30분 정도 대주면 된다. 이를 이상 계속하면 오히려 상처의 회복이 더딜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계속 아랫배가 아프거나 불쾌한 냄새가 나고, 적은 양이라도 1개월 이상 피가 비치면 산부인과를 찾는다.
◆젖몸살
유방에 혈액이 증가하고 젖의 생산-공급이 많아짐으로써 유방이 커지고 열이 나며 딱딱하게 변하는데 이를 젖몸살이라고한다. 산후 3~4일이 지나면 유방은 단단하게 부풀어 피하 정맥이 바깥으로 드러나서 보인다. 산모에 따라서는 출산 후 2~3일부터 유두에 통증이 오고 유두를 만지면 끈적끈적하고 노란 투명 초유가 나온다. 초유가 나오기 시작하면 아기에게 젖을 빨리거나 유축기로 젖을 짜낸다. 출산 후 4~5일에 나오는 초유는 모두 짜주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전신에 열이 심하게 나면서 유방이 아픈 젖몸살이 생길 수 있다. 또 유방을 불결하게 놓아두면 유두염이나 유선염이 생길 수 있으므로 청결하게 유지해야 한다. 유방이 단단하게 부풀었을 때에는 찜질과 마사지를 통해 젖멍울을 풀어줘야 젖몸살을 예방할 수 있다.
◆요실금
산후 트러블로 나타나는 요실금은 출산할 때 방광이 압박받아 괄약근이 늘어나고 요도구가 느슨해진 탓에 일어난다. 첫 출산일 때 가장 많이 나타나지만 출산 횟수가 많을수록 발생 빈도도 증가하므로 반드시 치료해주어야 한다. 보통 출산 후 6주 동안 가장 빈번히 발생한다. 증상은 재채기를 하거나 웃을 때, 무거운 물건을 들거나 가벼운 운동을 할 때 배에 힘을 가하면서 소변이 찔끔찔끔 나온다. 출산 후 생기는 요실금은 항문이나 요도 주위의 괄약근이 원래 약한 산모, 아기가 유난히 큰 산모, 난산인 산모 등에서 잘 나타난다.
◆변비와 치질
치질은 항문 주위에 생기는 질환으로 남에게 보이기 쉽지 않은 부위라서 대부분의 산모가 혼자 고민하다 병을 키우는 경우가 많다. 치질은 산모가 많이 겪는 산후 트러블 중 하나로 처음 출산한 산모의 1/3, 두 번째 출산한 산모의 2/3, 세 번째 출산하는 산모의 대부분이 치질 증세를 보인다고 알려져 있다. 출산 후 치질이 많이 나타나는 이유는 활동하지 않고 줄곧 누워만 지내서 변비가 많이 생기기 때문이다. 또 아이를 키우다 보면 변의를 느낀다고 곧바로 화장실을 갈 수 없기 때문에 변비가 생기고 이것이 심해져 치질이 되는 경우가 많다. 증상에 따라 수술이나 약물을 이용해 치료하는데, 산후 6개월이 지나도 좋아지지 않으면 병원에 가보도록 한다.
Ⅴ.맺음말
우리는 주변에서 배가 많이 불러온 임신부를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다. 나 또한 어머니의 임신으로 인해 태어났고 여기 있는 우리 모두는 각자 어머니의 임신으로 인해 이 세상에 태어나게 됐다. 이렇게 우리 주변에서 쉽게 보고 인식할 수 있어서인지 임신을 가볍고 간단하게 보는 사람들이 많은 것 같다. 그러나 실상 임신은 그렇지 않다. 인신과 출산이란 행위는 어찌보면 가장 고귀하고 신비로운 행위라고 할 수 있다. 나 또한 아직 임신에 대해 직접적으로 와 닿는 경험을 해보지 못했기에 임신에 대해 가볍게 생각하는 경향이 있었지만 이번 레포트를 통해 임신의 신비로움과 고귀함에 대해 깨달았다. 또한 부모님에 대한 감사의 마음도 다시 한번 느낄 수 있었다.
우리의 인체는 정말 신비하고 놀랍다. 인공적으로는 만들어 낼 수 없는 정교한 메카니즘으로 임신과 출산의 환경을 만들고 새 생명을 태어나게 한다. 이런 내적인 환경과 외적인 환경의 조절과 조화로 인해, 10달 동안의 고통을 이겨내고 엄마와 아빠가 되는 감동을 간접적으로나마 느낄 수 있었다. 임신에서부터 출산하는 과정에 이르기까지 레포트를 쓰면서 여러 가지 유용한 정보들을 얻은 것 같아서 나에게도 큰 도움이 됐다.
우리 모두 머지않아 실제로 아빠와 엄마가 될 것이다. 이런 인체의 신비한 축복을 잘 맞이하려면 그에 대한 적당한 지식과 정보도 아주 중요하다. 그런 면에서 한 걸음 나아갈 수 있게 된 것 같고 레포트를 쓰는 동안 흥미로웠다. 다음번에 기회가 된다면 임신과 출산 이후의 과정에 대해서도 조사 해보고 싶다.
Ⅶ.참고자료
-Missy life (중앙 출판사)
-소문난 임신, 출산책 (웅진 리빙하우스)
-인터넷 검색자료
www.imsintotal.com
http://www.bankbaby.com/
http://www.aga-love.org/
추천자료
임신성 당뇨, 임신성 고혈압 (임신 중독증), 전치 태반, 태반 조기 박리, 자궁경부 무력증(II...
[임신중절][임신중절수술][낙태][낙태수술][분만]임신중절(낙태), 임신중절(낙태)이 필요한 ...
[임신중의 성생활][노인의 성생활][황제의 성생활][임신][노인][황제][성샐활][성행위][성교]...
[임신중 태아][임신중 태아 순환계][임신중 태아 출생시기][임신중 태아와 산모한 관리]임신...
임신의 과정과 증상 및 임신 중 관리방법 및 분만, 산욕기
[모성간호][임신중절수술(낙태)][태아감시][미혼모][임신초기출혈][자궁근종]모성간호와 임신...
임신중 성 체위 - 임신중 성 생활의 필요성, 좋은 체위
임신에 필요한 지식의 결핍 - 임신한 여성이 담배와 술을 접한 사례 (임신한 여성의 흡연과 ...
미혼모, 미혼모임신, 십대임신실태, 미혼모임신관련요인, 미혼모아기위험, 미혼모사회적지지,...
미혼모, 미혼모임신, 십대임신실태, 미혼모임신관련요인, 미혼모아기위험, 미혼모사회적지지,...
미혼모, 미혼모임신, 십대임신실태, 미혼모임신관련요인, 미혼모아기위험, 미혼모사회적지지,...
A+_ 임신성 당뇨병 케이스, 임신성 당뇨 케이스,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GDM, 임신...
임신중근골격계변화, 임신중피부변화, 임신선, 임신신체변화, 임신호르몬변화, 임신과피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