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쌍극자 모멘트
1)쌍극자 모멘트란?
2)쌍극자의 종류
1.전기 쌍극자모멘트(electric dipole moment)
-전기 쌍극자모멘트는 물리학에서 전하로 이루어진 계의 극성을 재는 척도의 하나이다.
간단히 전기 쌍극(자)(electric dipole)라고도 한다.
-전기 쌍극자모멘트의 운동
-계의 전하량과 전기 쌍극자모멘트의 관계
2.자기쌍극자모멘트(magnetic dipole moment)
3.이외의 쌍극자 모멘트들
3-1다원자 분자의 쌍극자 모멘트
3-2 결합 쌍극자 모멘트(bond dipole moment)
(2) 훈트의 법칙 (hund's rule)
1)훈트의 법칙이란?
2)훈트의 1법칙
3)훈트의 2법칙
4)훈트의 3법칙
1)쌍극자 모멘트란?
2)쌍극자의 종류
1.전기 쌍극자모멘트(electric dipole moment)
-전기 쌍극자모멘트는 물리학에서 전하로 이루어진 계의 극성을 재는 척도의 하나이다.
간단히 전기 쌍극(자)(electric dipole)라고도 한다.
-전기 쌍극자모멘트의 운동
-계의 전하량과 전기 쌍극자모멘트의 관계
2.자기쌍극자모멘트(magnetic dipole moment)
3.이외의 쌍극자 모멘트들
3-1다원자 분자의 쌍극자 모멘트
3-2 결합 쌍극자 모멘트(bond dipole moment)
(2) 훈트의 법칙 (hund's rule)
1)훈트의 법칙이란?
2)훈트의 1법칙
3)훈트의 2법칙
4)훈트의 3법칙
본문내용
Z=22인 Ti은 (+2)+(+1)=3, Z=23인 V은 (+2)+(+1)+0=3, Z=26인 Fe은 (+2)+(+1)+(0)+(-1)+(-2)+(+2)=2가 된다. Fe의 경우 총 자기 모멘트는 스핀 자기 모멘트 수(4)+궤도 자기 모멘트 수(2)=6이 된다. 따라서 제 2법칙은 전자들이 서로 너무 가깝게 근접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우선적으로 같은 방향으로 해 주위를 운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4)훈트의 3법칙
-부껍질이 반보다 적게 채워진 원자의 경우에는 J의 값이 가장 낮은 성분의 항의 에너지가 가장 낮다. 부껍질이 반보다 많이 채워진 경우에는 반대로 된다. l값이 부껍질을 정의 해준다는 것을 상기 해야함
S와 L이 같은 항이 2개 이상 있으면, 부껍질이 반미만으로 채워져 있을 때에는 J(총 각운동량 양자수)가 가장 작은 항이 에너지가 가장 낮고, 부껍질이 반보다 많이 채워져 있을 때에는 J가 가장 큰 항이 에너지가 가장 낮다.
합성 총 각 운동량 J는 스핀-궤도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형성된 합성 스핀 모멘트 S와 궤도 모멘트 L에 의해서 결정된다. 즉, shell에 들어갈 수 있는 전자들의 총 수가 shell수의 1/2이하이면, 궤도 각 운동 방향과 스핀 각 운동 방향이 서로 반대로 되기 때문에 합성 양자수 J는 스핀 혹은 궤도 모멘트 중 큰 값에서 작은 값을 뺀 J= I L - S I 로 되고, shell의 수의 1/2 이상이면 스핀과 궤도 모멘트의 두 방향이 서로 평행하게 되어 합성 양자수 J는 J=L+S로 된다. 이상의 법칙에 따라 전자의 합성 양자수 J가 결정되면, 다음 식을 이용하여 자기 모멘트를 구할 수 있다. M = gμBJ
여기서 g는 Lande의 g계수라 하며 다음과 같이 표시 된다.
g= 1+[J(J+1)+S(S+1)-L(L+1)]
2J(J+1)
위의 결과를 이용하여 독립된 원자의 자기 모멘트를 구할 수 있다.
출처
현대 물리학(concepts of modern physics) Arthur Beiser
Physical Chemistry G.M. Barrow McGraw Hill
무기화학 Gary L. Miessler,Donald A. Tarr 자유아카데미
물리화학 Robert J. Silbey,Robert A. Alberty 사이텍미디어
물리화학 David W. Ball 자유아카데미
http://100.naver.com/100.nhn?docid=128049
http://blog.naver.com/kimth1023/120047557264
http://www.iupac.org/goldbook/T06460.pdf
http://www.av8n.com/physics/electric-dipole.htm
http://physica.gsnu.ac.kr/phtml/modern/atom/periodic/periodic2.html
http://hyperphysics.phy-astr.gsu.edu/Hbase/Atomic/Hund.html
http://en.wikipedia.org/wiki/List_of_Hund's_rules
4)훈트의 3법칙
-부껍질이 반보다 적게 채워진 원자의 경우에는 J의 값이 가장 낮은 성분의 항의 에너지가 가장 낮다. 부껍질이 반보다 많이 채워진 경우에는 반대로 된다. l값이 부껍질을 정의 해준다는 것을 상기 해야함
S와 L이 같은 항이 2개 이상 있으면, 부껍질이 반미만으로 채워져 있을 때에는 J(총 각운동량 양자수)가 가장 작은 항이 에너지가 가장 낮고, 부껍질이 반보다 많이 채워져 있을 때에는 J가 가장 큰 항이 에너지가 가장 낮다.
합성 총 각 운동량 J는 스핀-궤도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형성된 합성 스핀 모멘트 S와 궤도 모멘트 L에 의해서 결정된다. 즉, shell에 들어갈 수 있는 전자들의 총 수가 shell수의 1/2이하이면, 궤도 각 운동 방향과 스핀 각 운동 방향이 서로 반대로 되기 때문에 합성 양자수 J는 스핀 혹은 궤도 모멘트 중 큰 값에서 작은 값을 뺀 J= I L - S I 로 되고, shell의 수의 1/2 이상이면 스핀과 궤도 모멘트의 두 방향이 서로 평행하게 되어 합성 양자수 J는 J=L+S로 된다. 이상의 법칙에 따라 전자의 합성 양자수 J가 결정되면, 다음 식을 이용하여 자기 모멘트를 구할 수 있다. M = gμBJ
여기서 g는 Lande의 g계수라 하며 다음과 같이 표시 된다.
g= 1+[J(J+1)+S(S+1)-L(L+1)]
2J(J+1)
위의 결과를 이용하여 독립된 원자의 자기 모멘트를 구할 수 있다.
출처
현대 물리학(concepts of modern physics) Arthur Beiser
Physical Chemistry G.M. Barrow McGraw Hill
무기화학 Gary L. Miessler,Donald A. Tarr 자유아카데미
물리화학 Robert J. Silbey,Robert A. Alberty 사이텍미디어
물리화학 David W. Ball 자유아카데미
http://100.naver.com/100.nhn?docid=128049
http://blog.naver.com/kimth1023/120047557264
http://www.iupac.org/goldbook/T06460.pdf
http://www.av8n.com/physics/electric-dipole.htm
http://physica.gsnu.ac.kr/phtml/modern/atom/periodic/periodic2.html
http://hyperphysics.phy-astr.gsu.edu/Hbase/Atomic/Hund.html
http://en.wikipedia.org/wiki/List_of_Hund's_rules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