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며
본문
1. 맥도날드의 연혁
2. 맥도날드의 기업정신
1) QSC & V: 품질(Quality),서비스(Service), 청결(Cleanliness),가치(Value)
2) 품질(Quality)
3) 서비스(Service)
4) 청결(Cleanliness)
5) 가치(Value)
6) 하나 더! Food Safety System
3. 맥도날드의 SWOT분석
1) 강점(Strengths)
2) 약점(Weaknesses)
3) 기회(Opportunities)
4) 위협(Threats)
4. 맥도날드의 성공요인
1) 맥도날드 형제의 차별화된 영업방식
2) 기계화된 제조과정
3) 데이터에 의한 치밀한 비즈니스 시스템
4) 프랜차이즈 사업의 부동산 산업화
5) 정보와 네트워크의 효율적 활용
5. 맥도날드의 마케팅전략
1) ‘맥카페’ 출시로 스타벅스와 커피전쟁
2) 프라이드 마케팅
3) 현지화 마케팅
4) 만족을 전하는 광고 메시지 “i’m lovin’ it™”
6. 경제위기를 극복한 맥도날드의 공격경영
1) 불황에도 맥도날드가 잘나가는 이유
2) 맥도날드의 중국시장 성공기
3) 맥도날드의 중국확장전략
참고자료
본문
1. 맥도날드의 연혁
2. 맥도날드의 기업정신
1) QSC & V: 품질(Quality),서비스(Service), 청결(Cleanliness),가치(Value)
2) 품질(Quality)
3) 서비스(Service)
4) 청결(Cleanliness)
5) 가치(Value)
6) 하나 더! Food Safety System
3. 맥도날드의 SWOT분석
1) 강점(Strengths)
2) 약점(Weaknesses)
3) 기회(Opportunities)
4) 위협(Threats)
4. 맥도날드의 성공요인
1) 맥도날드 형제의 차별화된 영업방식
2) 기계화된 제조과정
3) 데이터에 의한 치밀한 비즈니스 시스템
4) 프랜차이즈 사업의 부동산 산업화
5) 정보와 네트워크의 효율적 활용
5. 맥도날드의 마케팅전략
1) ‘맥카페’ 출시로 스타벅스와 커피전쟁
2) 프라이드 마케팅
3) 현지화 마케팅
4) 만족을 전하는 광고 메시지 “i’m lovin’ it™”
6. 경제위기를 극복한 맥도날드의 공격경영
1) 불황에도 맥도날드가 잘나가는 이유
2) 맥도날드의 중국시장 성공기
3) 맥도날드의 중국확장전략
참고자료
본문내용
다.2) 맥도날드의 중국시장 성공기 맥도날드는 베이징올림픽을 중국 시장 공략의 교두보로 삼았다. 올림픽 기간 중 "중국의 승리가 우리의 승리"(China wins, we win)라는 맥도날드의 광고를 어디에서나 들을 수 있었다.
이 같은 슬로건은 맥도날드의 짐 스키너 부회장 겸 최고경영자(CEO)가 적극 추진했다. 중국 시장에 대한 맥도날드의 전략을 요약해주는 것이기 때문이다.
맥도날드가 중국에 첫 판매점을 연 것은 지난 1990년. 선전에 첫 매장을 연 이후 18년 동안 맥도날드의 중국 매장은 960개로 늘었으며 직원만 6만여명에 달하는 고성장을 지속했다. 중국 진출 당시 중국 도시민들의 월급은 평균 120~130위안(약 2만원)이었다. 맥도날드의 인기 메뉴인 빅맥의 가격이 10위안이고 더블 치즈버거 역시 가격이 5위안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성공 여부는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
그러나 고성장과 함께 중국인들의 소득이 빠르게 늘어났고 맥도날드의 인기 역시 높아졌다.
성공에 고무된 맥도날드는 첫 매장 개장 2년 뒤인 1992년 베이징 최대 상업거리인 왕푸징에 대형 매장을 열었다.
이로부터 10년 뒤인 2002년 맥도날드의 중국 매장은 460개로 늘었고 2004년에는 600개로 매장이 증가했다. 2008년 맥도날드가 중국 시장에 쏟아 부은 자금은 아시아 태평양 지역과 중동, 아프리카 등 신흥시장 총 투자액의 3분의1에 달한다.
스키너 CEO는 "우리는 지난 18년 동안 중국에서 많은 성장을 이룩했다"면서 "앞으로의 미래에 대해서도 높은 관심을 갖고 있다"고 강조했다.
1990년 선전에 문을 연 맥도날드의 매장은 신흥시장에서는 처음으로 500석의 좌석을 구비한 대형 매장이었다.
중국에 진출한 글로벌 패스트푸드 업체는 맥도날드가 처음이 아니었다. 앞서 1987년 KFC가 베이징에 매장을 열고 중국 공략에 나섰다.
KFC 역시 중국에서 성공을 거뒀으며 맥도날드가 중국에 본격적으로 진출할 수 있는 배경을 마련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KFC는 현재 중국 465개 도시에 2200여개의 매장을 운영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그러나 맥도날드의 성공에서 각 지점의 성적에 주목하고 있다. 매장수에서는 맥도날드가 KFC에 밀리지만 매장 규모와 매출을 살펴볼 때 결코 뒤쳐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맥도날드의 제프리 슈와츠 중국 사업부 CEO는 "우리는 규모 확대 보다는 질적인 성장 모델을 보유하고 있다"면서 "매장수는 중요하지 않다"고 강조했다.
그는 "전체 규모 보다는 비즈니스 운영을 중시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3) 맥도날드의 중국확장전략 슈와츠 CEO가 경영의 질을 중시하고 있지만 맥도날드의 확장 전략 역시 여전히 유효하다. 스키너 CEO는 2008년에는 중국에서 125개의 매장을 열고 2009년에는 150개, 2010년에는 175개의 매장을 새로 열 계획이라고 밝혔다.
맥도날드가 중국 현지인의 입맛에 맞는 메뉴를 개발한 것이 성공의 요인으로 평가받고 있지만 서양식 햄버거와 프라이에 대한 중국인들의 관심 역시 높다는 평가다.
슈와츠 CEO는 "우리는 중국 소비자들에 대한 광범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면서 "중국 소비자들은 맥도날드가 서구 브랜드이기 때문에 찾는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중국인들이 밥과 같은 중국 음식을 원했다면 중국 음식점에 갔을 것"이라면서 "우리는 서구 브랜드의 표본이 되기를 원한다."라고 설명했다.
맥도날드는 중국에서 개발한 메뉴의 성공에 힘입어 이를 전 세계 매장으로 수출하기도 한다. '콘 컵'이 대표적인 예로 이 메뉴는 중국 리서치 개발부서에서 개발해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다.
스키너 CEO는 "우리는 중국 사업을 매우 자랑스럽게 생각한다."라고 자부심을 감추지 않았다. 그는 "우리는 중국에서의 고성장을 이어갈 것"이라면서 "올림픽의 성공적인 개최와 함께 중국은 엄청난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중국의 패스트푸드 시장은 이미 2000억 달러(약 260조원) 규모로 커졌으며 매년 16%씩 성장하고 있다.참고자료<‘맥도날드’ 불황 모르는 세계 최대 패스트푸드업체> 라이터스 편집부 2006.01.25
맥도날드 http://www.mcdonalds.co.kr
업코리아 경제 이진우 기자 2006.10.25
파이낸셜뉴스 기타 유인호기자 2003.10.09
국민일보 경제 유병석 기자 2009.05.06
한국경제 생활/문화 한경닷컴 김은영 기자 2009.05.09
포커스신문 생활/문화 이윤경기자 2009.05.08
아주경제 세계 민태성 기자 2009.01.29
이 같은 슬로건은 맥도날드의 짐 스키너 부회장 겸 최고경영자(CEO)가 적극 추진했다. 중국 시장에 대한 맥도날드의 전략을 요약해주는 것이기 때문이다.
맥도날드가 중국에 첫 판매점을 연 것은 지난 1990년. 선전에 첫 매장을 연 이후 18년 동안 맥도날드의 중국 매장은 960개로 늘었으며 직원만 6만여명에 달하는 고성장을 지속했다. 중국 진출 당시 중국 도시민들의 월급은 평균 120~130위안(약 2만원)이었다. 맥도날드의 인기 메뉴인 빅맥의 가격이 10위안이고 더블 치즈버거 역시 가격이 5위안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성공 여부는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
그러나 고성장과 함께 중국인들의 소득이 빠르게 늘어났고 맥도날드의 인기 역시 높아졌다.
성공에 고무된 맥도날드는 첫 매장 개장 2년 뒤인 1992년 베이징 최대 상업거리인 왕푸징에 대형 매장을 열었다.
이로부터 10년 뒤인 2002년 맥도날드의 중국 매장은 460개로 늘었고 2004년에는 600개로 매장이 증가했다. 2008년 맥도날드가 중국 시장에 쏟아 부은 자금은 아시아 태평양 지역과 중동, 아프리카 등 신흥시장 총 투자액의 3분의1에 달한다.
스키너 CEO는 "우리는 지난 18년 동안 중국에서 많은 성장을 이룩했다"면서 "앞으로의 미래에 대해서도 높은 관심을 갖고 있다"고 강조했다.
1990년 선전에 문을 연 맥도날드의 매장은 신흥시장에서는 처음으로 500석의 좌석을 구비한 대형 매장이었다.
중국에 진출한 글로벌 패스트푸드 업체는 맥도날드가 처음이 아니었다. 앞서 1987년 KFC가 베이징에 매장을 열고 중국 공략에 나섰다.
KFC 역시 중국에서 성공을 거뒀으며 맥도날드가 중국에 본격적으로 진출할 수 있는 배경을 마련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KFC는 현재 중국 465개 도시에 2200여개의 매장을 운영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그러나 맥도날드의 성공에서 각 지점의 성적에 주목하고 있다. 매장수에서는 맥도날드가 KFC에 밀리지만 매장 규모와 매출을 살펴볼 때 결코 뒤쳐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맥도날드의 제프리 슈와츠 중국 사업부 CEO는 "우리는 규모 확대 보다는 질적인 성장 모델을 보유하고 있다"면서 "매장수는 중요하지 않다"고 강조했다.
그는 "전체 규모 보다는 비즈니스 운영을 중시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3) 맥도날드의 중국확장전략 슈와츠 CEO가 경영의 질을 중시하고 있지만 맥도날드의 확장 전략 역시 여전히 유효하다. 스키너 CEO는 2008년에는 중국에서 125개의 매장을 열고 2009년에는 150개, 2010년에는 175개의 매장을 새로 열 계획이라고 밝혔다.
맥도날드가 중국 현지인의 입맛에 맞는 메뉴를 개발한 것이 성공의 요인으로 평가받고 있지만 서양식 햄버거와 프라이에 대한 중국인들의 관심 역시 높다는 평가다.
슈와츠 CEO는 "우리는 중국 소비자들에 대한 광범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면서 "중국 소비자들은 맥도날드가 서구 브랜드이기 때문에 찾는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중국인들이 밥과 같은 중국 음식을 원했다면 중국 음식점에 갔을 것"이라면서 "우리는 서구 브랜드의 표본이 되기를 원한다."라고 설명했다.
맥도날드는 중국에서 개발한 메뉴의 성공에 힘입어 이를 전 세계 매장으로 수출하기도 한다. '콘 컵'이 대표적인 예로 이 메뉴는 중국 리서치 개발부서에서 개발해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다.
스키너 CEO는 "우리는 중국 사업을 매우 자랑스럽게 생각한다."라고 자부심을 감추지 않았다. 그는 "우리는 중국에서의 고성장을 이어갈 것"이라면서 "올림픽의 성공적인 개최와 함께 중국은 엄청난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중국의 패스트푸드 시장은 이미 2000억 달러(약 260조원) 규모로 커졌으며 매년 16%씩 성장하고 있다.참고자료<‘맥도날드’ 불황 모르는 세계 최대 패스트푸드업체> 라이터스 편집부 2006.01.25
맥도날드 http://www.mcdonalds.co.kr
업코리아 경제 이진우 기자 2006.10.25
파이낸셜뉴스 기타 유인호기자 2003.10.09
국민일보 경제 유병석 기자 2009.05.06
한국경제 생활/문화 한경닷컴 김은영 기자 2009.05.09
포커스신문 생활/문화 이윤경기자 2009.05.08
아주경제 세계 민태성 기자 2009.01.29
추천자료
기업분석 - ibis
기업성공사례분석-Anheuser Busch
기업분석 보고서 - 두산인프라코어
기업분석 -대웅제약, 일동제약, 종근당
제출용_넥센기업분석
(국제경영,글로벌경영) A+자라(zara)의 한국진출 성공사례 -기업분석 산업구조분석.stp, swo...
온라인 커뮤니티를 활용한 소비자구매의사결정과정 단계별 마케팅 전략 -올림푸스 기업/SLR c...
농심 - 기업 ‘농심’의 사회/윤리적 활동을 비판한 후 개선 방안 제시 - 농심의 윤리적활동, ...
아이리버의 위기관리,아이리버마케팅실패,아이리버기업분석,iriver마케팅전략,iriver분석
경영전략 (3M의혁신경영),3M의 국제화와 공유전략,3M기업분석,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팅,글...
P&G의‘조직구조의 발전 방향’,P&G 조직문화-P&G 조직구조 성공사례,P&G기업...
유니클로와 H&M,국제마케팅 전략-SPA 브랜드,유니클로 기업분석,유니클로 SPA,H&M SP...
[마케팅원론]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 기업분석, 차별화 마케팅 전략, swot분석
[서비스 마케팅 팀 프로젝트 기업분석] 아모레퍼시픽(Amore Pacific), 중국시장에서 어떻게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