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공사 총정리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다.
② 1차 굴착시 중앙부를 작업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
③ 대지를 최대한 크게 굴착할 수 있다.
④ 흙막이 지보공의 강성이 우수하다.
⑤ 분할 시공으로 공기 자체가 우려된다.
Ⅲ. 지반 굴착시 유의 사항
1. 사전 조사 철저
① 지반 조사 자료의 정밀 분석 : 지하 수위, 토질, 지층, 암반 심도 등
② 지하 매설물 유무 확인 및 이설 계획
③ 인접 지반 및 주변 구조물 상황
2. 굴착 심도 기준 준수
작업 중 붕괴를 예방한다.
3. 지하수 대책
① 배수 시설을 설치 후 굴착한다.
② 지수 수위가 높은 경우 : 흙막이 차수성을 확보한다.
③ 지하수의 유입 방지 : 배수구 설치를 철저히 한다.
4. 히빙 · 보일링의 예방
긴급 대책을 사전에 강구한 다음에 굴착한다.
5. 굴착 작업시 안전 조치 사항
① 흙막이 지보공의 안정성 확보
② 추락 방지 시설 설치 : 흙막이 상부 안전 난간대 및 추락 방지망 설치
③ 낙석 방지망 설치 : 토사 붕괴, 부석 등의 낙하를 방지
④ 야간 조명 시설 및 환기 장치 설치
⑤ 발파 안전 대책을 별도로 강구할 것
6. 계측 관리에 의한 정보화 시공
① 흙막이 구조의 안정성을 예측하기 위하여 계측 관리한다.
② 굴착에 따른 위험 징후를 조기에 발견하여 조치한다.
③ 수위계, 경사계, 하중 침하계, 응력계 등에 의한 계측 관리를 철저히 한다.
1-8 Island Cut 공법
Ⅰ. 개요
① 넓은 대지를 온통 파기하면 흙막이 지보공의 길이가 길어져서 효과적인 토압 지지가 곤란하므로, 안전한 경사각(인식각)을 주면서 중앙부를 굴착하여 구조물을 축조하고 주변부는 흙막이와 중앙 구조물을 버팀대로 지지하면서 굴착하는 공법이다.
② 이 공법의 명칭은 대지의 중앙부를 섬(Island)처럼 선행 굴착함에서 비롯되었으며, 흙막이 배면의 토압에 대하여 중앙부를 굴착할 때에는 주변부의 경사면(소단)이, 주변부를 굴착할 때에는 흙막이와 중앙 구조물 사이에 설치한 버팀대가 토압을 부담하도록 하고 있다.
Ⅱ. 적용 요건
① 터파기 면적이 넓고 얕은 굴착시(지하 2~3층 이내_
② 주변 구조물의 영향이 우려될 경우
③ 토압이 크고 지반이 연약한 곳에서 유용하다.
Ⅲ. 적용시 기대 효과(장점)
1, 중앙부 굴착시
① 흙의 인식각을 이용하여 흙막이 지보공이 절감된다.
② 흙막이의 무변형 안정성을 확보
- 소단을 설치하여 토압을 안전하게 지지하도록 한다.
2. 주변부 굴착시
① 공사 기간이 짧고, 버팀대를 중앙 구조물에지지
② Center Plie이 불필요 하고 Strut 길이를 절감할 수 있다.
③ 중앙부의 지상 구조물 축조를 병행할 수 있으므로 전체 공기의 단축이 가능하다.
Ⅳ. 시공 순서
1. 흙막이 설치
굴착 경계면을 따라 흙막이를 설치한다.
① 일반 토사 지반일 때 → H-Pile 토류판 공법을 적용, 엄지 말뚝의 설치
② 연약 지반에는 Sheet Pile, C.I.P 공법이 유용하다.
2. 1차 굴착
① 흙막이의 안전한 자립장 범위에서 1차 굴착
② H-Plie : 토류판 공법에서는 일정 깊이마다 굴착 후 토류판을 설치한다.
3. 중앙부 굴착, 구조체 시공
① 주변부에 경사각을 유지하면서 중앙부를 굴착
② 굴착 저면의 지내력을 확보한 다음 중앙부에 구조물을 축조한다.
4. 주변부 굴착
① 중앙 구조물의 강성을 확보하고 주변부를 굴착
② 중앙 구조물의 지하층 모두가 축조 되었을 경우
- 수평 버팀대로 지지하면서 주변부를 굴착한다.
- 일부만 선행되었을 경우 : 수평 · 빗 버팀대를 병용하면서 굴착한다.
Ⅴ. 공법 적용시 고려 사항
(1) 구조 계획시
■ 지하 구조물의 구회별 작업 구간을 고려
① 중심 구조 : 상부 구조물로 연결되면서 계속 시공이 가능하도록 한다.
② 주변 구조 : 수평 · 빛 버팀대를 병용하면서 굴착 · 빗 버팀대를 병용하면서 시공되도록 구조 계획에 반영한다.
(2) 1차 굴착시
■ 흙막이 자립장을 고려하여 굴착 깊이에 반영한다.
(3) 중앙부 굴착시
■ 소단의 인식각을 유지한다.
(4) 주변부 굴착시
① 구조 이음부의 손상을 방지한다.
② 빗버팀대의 고정 상태를 점검하여 안정성을 확보한 후 굴착한다.
(5) 주변부 구조물 축조시
① 구조 이음부 전단 보강
② 구조 이음부의 방수 · 지수성을 보강하도록 할 것
1-9 트렌치 컷 (Trench Cut) 공법
Ⅰ. 개요
① 건물의 외주부와 측벽부를 도랑(Trench) 형태로 굴착하여 기초 및 지하 구조체를 축조한 다음, 중앙부는 흙막이 없이 굴착하는 흙파기 공법이다.
② 도심지의 아파트나 주상 복합 건물의 경우, 지하 주차장 설치를 위하여 대지의 대부분을 넓고 얕게 굴착할 때 유용한 공법이다.
Ⅱ. 적용 요건
① 대지 전면의 Open Cut이 곤란한 연약 지반
Boiling Heaving 파괴가 우려되는 지반에 적용한다.
② 넓고 얕은 지반의 굴착 공사
③ 휴식각 유지가 곤란한 지반
점성토 파괴가 아주 예민한 곳 등에 적용한다.
Ⅲ. 공법 적용시 기대 효과
① 넓고 깊은 연약 지반의 굴착에 유용한다.
② 1차 굴착시 중앙부를 작업 공간으로 활용 : 도심지의 협소한 공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③ 흙막이 지보공의 강성 확보 : Strut의 길이가 저감된다.
④ 굴착에 의한 주변 대지와 구조물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다.
Ⅳ. 시공 순서
1. 흙막이 설치
① 트렌치 양측 부위에 흙막이를 설치
② 차수성을 고려하여 적정 흙막이 공법을 채용한다.
2. 굴착 및 주변부 구조물 축조
① 흙막이를 지지하면서 트렌치 굴착
② 지초 저면의 지내력 확보 후 주변부 구조물을 시공한다.
3. 중앙부 굴착
① 주변부 구조물의 양생 정도를 확인 후 중앙부를 굴착
② 중앙부는 흙막이 없이 굴착한다.
Ⅴ. 문제점 및 대책
1. 문제점
① 트렌치 내측에 흙막이 가설물이 추가로 설치된다.
- 흙막이 지보공이 많이 소요된다.
② 공기 지연, 공사 복잡 등이 우려된다.
2. 대책
① 시공 이음부의 적정 위치를 선정하고 전단 보강 방안을 확보하도록 한다.
② 구조 이음 부위의 방수 · 지수 대책을 강구한다.
③ 작업 공간의 효율적인 이용 방안을 모색
- 주변부 굴착시 중앙부 공간을 작업장으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 가격2,0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09.05.12
  • 저작시기2008.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3494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