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자를 이끌어 준다. 신경증과 정신병을 일으키게 하는 병원적 과정에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로 의식에서 제외된 원초아의 부분인 까닭에, 꿈의 이러한 특성이 정신분석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된다.
꿈에는 내용면에서 볼 때 두 가지 차원이 있다. 즉 잠재된 내용(잠재몽,latent dream)과 표현적 내용(현재몽, manifest dream)의 두 차원이 있다.
잠재몽의 내용은 3가지의 주된 범주로 구분될 수 있다. 첫째, 이는 방어 받는 감각적 인상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인상들은 끊임없이 수면자의 감각 기관에 부딪치며, 때로는 그 중의 어떤 것이 꿈을 시작하게 하는데, 이러한 경우에 이 꿈을 시작하도록 하는 인상이 꿈의 잠재 내용 부분을 형성하는 것이다. 둘째, 이는 꿈을 꾼 사람의 수면시에, 마음 속에서 무의식적인 활동을 계속하는 현재의 일상 생활의 활동과 또한 몰두하고 있는 것으로 구성된다. 계속하는 활동 때문에 이들은 밀어닥치는 감각적 자극과 마찬가지로 자는 사람을 깨우는 경향이 있다. 셋째, 이는 의식이나 각성시의 생활로부터 자아의 방어에 의해서 제외된, 하나 이상의 원초적인 충동들에 의해서 구성된다.
상담자의 역할은 꿈의 표현적 내용들에 나타난 상징들을 연구함으로써 잠재적인 내용들을 밝혀내는 것이다.
5.4 저항의 해석
상담의 진전을 방해하고 상담자에게 협조하지 않으려는 내담자의 무의식적인 행동을 저항(resistance) 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약속을 어긴다든가, 특정한 생각, 감정, 경험들을 털어놓지 않는 것도 저항의 한 형태이다,
내담자가 저항하는 이유는, 자신의 억압된 충동이나 감정을 알아차렸을 때 느끼게 되는 불안으로부터 자아를 보호하기 위해서이다. 따라서 내담자의 갈등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상담자가 이를 지적해 주어야 한다. 상담자는 내담자가 보이는 가장 큰 저항에 주의를 환기시킨 다음, 내담자가 수용할 수 있도록 배려하면서 해석을 한다.
상담자가 내담자의 저항을 무시하고 지나쳐 버린다면 내담자는 무엇 때문에 자신이 이렇게 저항해야 되는지 이해하고 이를 작업할 수 있는 기회를 놓치게 된다. freud는 저항을 다루지 않고 상담을 한다면, 설사 효과를 거둔다 하더라도 단지 일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이라고 하였다.
상담 장면에서 저항은 억압과 관련되어 있고, 여기에 투자되는 에너지는 동일하다. 즉, 상담에 대한 저항은 신경증적인 장애를 일으키는 갈등이 의식화되는 것을 방해하는 힘과 같다. 병의 원인이 된 사연을 절대로 들추고 싶지 않거나 들출 수 없게 하는 힘, 그것이 그 기억을 억압하는 힘과 동일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저항의 동기를 freud는 수치심이나 자책감, 상처 받을까 봐 두려운 마음 등에서 찾을 수 있었다.
저항 분석의 첫 단계는 상담자가 저항이 일어나고 있다는 자체를 인식하는 것이다. 그 다음에 내담자가 왜 저항을 하는지, 무엇에 저항을 하는지, 어떻게 저항을 하는지 등을 심리 역동적으로 이해해야 한다.
그 다음으로 저항 해석에 들어 가야 하는데, 그 시기가 중요하다. 즉, 첫째 내담자가 지금 당면하고 있는 자신의 저항을 직면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을 때, 둘째 그의 수치심과 죄책감, 불안의 정도가 완화되었을 때, 셋째 내담자에게 자기 분석적이고 자기 비판적인 능력이 있을 때, 넷째 내담자가 어느 정도 상담자의 기능과 자신의 기능을 동일시하고 상담자의 기능을 내재화할 수 있을 때에 저항 해석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상담자에게는 상담 과정에서 내담자를 얼마만큼 저항과 직면시킬 수 있는지 검색하고 평가하는 전의식적 과정이 항상 일어나고 있다. 이것은 취조나 수색 작업을 하듯이 하는 것이 아니며, 관용적이며 관심을 가지고 이해하려는 기본적인 치료적 자세를 통하여 가능하다.
5.5 전이의 해석
내담자가 과거의 중요한 인물에 대해 느꼈던 감정을 상담자에게 옮기는 것을 전이(transference)라고 한다, 즉 과거의 의미 있는 대상과의 관계에서 일어났던 무의식적 소망과 기대 혹은 좌절 등이 현재 여기의 대상과의 관계에서 활성화되면서 반복되는 현상을 말한다. 상담자는 상담 과정에서 내담자가 심리 내적으로 의미를 가지는 과거의 관계 표상이 반복되게 하는 계기를 만들어 준다.
전이 단계는 정신분석에서 중요한 고비이다. 정신분석적 상담자들은 내담자에 대해 중립적이고, 객관적이며, 비교적 수동적인 자세를 취함으로써 내담자의 전이를 유도한다.
전이에 대한 해석으로 전이 감정이 해소되면, 내담자는 과거의 영향으로부터 벗어나게 되며 보다 정서적으로 성숙한 인간이 될 수 있다.
한편 내담자의 전이가 있듯이 상담자의 전이도 있다. 상담자는 자신에게 전이가 일어나는지 늘 살피고, 전이 현상을 발견하게 되면 이를 정직하게 통찰하여 치료 과정을 왜곡시키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6. 요약 및 평가
정신분석적 상담자들은 대체로 전통적인 정신분석의 기법과 아울러, 사회. 문화적 요인의 영향을 중요시하는 신정신분석학파의 관점을 흔히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정신 분석은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며, 숙련된 상담자의 수도 많지 않으므로, 매우 제한된 상담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더욱이 무의식을 탐색하고 깊은 수준의 성격 변화를 추구하는 분석적 상담의 목표는 상담 장면에서는 부적절한 것이라고 하겠다.
하지만 정신분석에 대한 이해를 통해 내담자가 겪은 과거 경험의 의미와 현재의 문제에 미치는 영향을 충분히 탐색해 볼 수 있다. 그러나 과거의 경험을 너무 중요시한 나머지, 거기에 얽매여서는 안 된다. 반대로 현재 갈등의 중요한 원인이 되는 과거의 경험을 무시해 버린 채, 내담자의 성장을 효과적으로 도울 수 있는지도 의심스럽다고 하겠다.
따라서 정신분석적 개념을 통해 다음과 같은 사실들을 이해할 수 있다. 첫째, 생후 몇 년 간의 체험이 성격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과 둘째, 방어기제의 남용은 현실에 대한 효과적인 적응을 저해하며, 셋째, 내담자가 약속을 안 지킨다거나 일찍 치료를 그만두는 것은 저항의 표시이며, 넷째, 내담자는 치료자에 대해 전이 감정을 갖게 되는데 이러한 감정의 해소를 통하여 내담자는 정서적인 성숙을 기할 수 있다는 것 등이다.
꿈에는 내용면에서 볼 때 두 가지 차원이 있다. 즉 잠재된 내용(잠재몽,latent dream)과 표현적 내용(현재몽, manifest dream)의 두 차원이 있다.
잠재몽의 내용은 3가지의 주된 범주로 구분될 수 있다. 첫째, 이는 방어 받는 감각적 인상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인상들은 끊임없이 수면자의 감각 기관에 부딪치며, 때로는 그 중의 어떤 것이 꿈을 시작하게 하는데, 이러한 경우에 이 꿈을 시작하도록 하는 인상이 꿈의 잠재 내용 부분을 형성하는 것이다. 둘째, 이는 꿈을 꾼 사람의 수면시에, 마음 속에서 무의식적인 활동을 계속하는 현재의 일상 생활의 활동과 또한 몰두하고 있는 것으로 구성된다. 계속하는 활동 때문에 이들은 밀어닥치는 감각적 자극과 마찬가지로 자는 사람을 깨우는 경향이 있다. 셋째, 이는 의식이나 각성시의 생활로부터 자아의 방어에 의해서 제외된, 하나 이상의 원초적인 충동들에 의해서 구성된다.
상담자의 역할은 꿈의 표현적 내용들에 나타난 상징들을 연구함으로써 잠재적인 내용들을 밝혀내는 것이다.
5.4 저항의 해석
상담의 진전을 방해하고 상담자에게 협조하지 않으려는 내담자의 무의식적인 행동을 저항(resistance) 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약속을 어긴다든가, 특정한 생각, 감정, 경험들을 털어놓지 않는 것도 저항의 한 형태이다,
내담자가 저항하는 이유는, 자신의 억압된 충동이나 감정을 알아차렸을 때 느끼게 되는 불안으로부터 자아를 보호하기 위해서이다. 따라서 내담자의 갈등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상담자가 이를 지적해 주어야 한다. 상담자는 내담자가 보이는 가장 큰 저항에 주의를 환기시킨 다음, 내담자가 수용할 수 있도록 배려하면서 해석을 한다.
상담자가 내담자의 저항을 무시하고 지나쳐 버린다면 내담자는 무엇 때문에 자신이 이렇게 저항해야 되는지 이해하고 이를 작업할 수 있는 기회를 놓치게 된다. freud는 저항을 다루지 않고 상담을 한다면, 설사 효과를 거둔다 하더라도 단지 일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이라고 하였다.
상담 장면에서 저항은 억압과 관련되어 있고, 여기에 투자되는 에너지는 동일하다. 즉, 상담에 대한 저항은 신경증적인 장애를 일으키는 갈등이 의식화되는 것을 방해하는 힘과 같다. 병의 원인이 된 사연을 절대로 들추고 싶지 않거나 들출 수 없게 하는 힘, 그것이 그 기억을 억압하는 힘과 동일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저항의 동기를 freud는 수치심이나 자책감, 상처 받을까 봐 두려운 마음 등에서 찾을 수 있었다.
저항 분석의 첫 단계는 상담자가 저항이 일어나고 있다는 자체를 인식하는 것이다. 그 다음에 내담자가 왜 저항을 하는지, 무엇에 저항을 하는지, 어떻게 저항을 하는지 등을 심리 역동적으로 이해해야 한다.
그 다음으로 저항 해석에 들어 가야 하는데, 그 시기가 중요하다. 즉, 첫째 내담자가 지금 당면하고 있는 자신의 저항을 직면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을 때, 둘째 그의 수치심과 죄책감, 불안의 정도가 완화되었을 때, 셋째 내담자에게 자기 분석적이고 자기 비판적인 능력이 있을 때, 넷째 내담자가 어느 정도 상담자의 기능과 자신의 기능을 동일시하고 상담자의 기능을 내재화할 수 있을 때에 저항 해석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상담자에게는 상담 과정에서 내담자를 얼마만큼 저항과 직면시킬 수 있는지 검색하고 평가하는 전의식적 과정이 항상 일어나고 있다. 이것은 취조나 수색 작업을 하듯이 하는 것이 아니며, 관용적이며 관심을 가지고 이해하려는 기본적인 치료적 자세를 통하여 가능하다.
5.5 전이의 해석
내담자가 과거의 중요한 인물에 대해 느꼈던 감정을 상담자에게 옮기는 것을 전이(transference)라고 한다, 즉 과거의 의미 있는 대상과의 관계에서 일어났던 무의식적 소망과 기대 혹은 좌절 등이 현재 여기의 대상과의 관계에서 활성화되면서 반복되는 현상을 말한다. 상담자는 상담 과정에서 내담자가 심리 내적으로 의미를 가지는 과거의 관계 표상이 반복되게 하는 계기를 만들어 준다.
전이 단계는 정신분석에서 중요한 고비이다. 정신분석적 상담자들은 내담자에 대해 중립적이고, 객관적이며, 비교적 수동적인 자세를 취함으로써 내담자의 전이를 유도한다.
전이에 대한 해석으로 전이 감정이 해소되면, 내담자는 과거의 영향으로부터 벗어나게 되며 보다 정서적으로 성숙한 인간이 될 수 있다.
한편 내담자의 전이가 있듯이 상담자의 전이도 있다. 상담자는 자신에게 전이가 일어나는지 늘 살피고, 전이 현상을 발견하게 되면 이를 정직하게 통찰하여 치료 과정을 왜곡시키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6. 요약 및 평가
정신분석적 상담자들은 대체로 전통적인 정신분석의 기법과 아울러, 사회. 문화적 요인의 영향을 중요시하는 신정신분석학파의 관점을 흔히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정신 분석은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며, 숙련된 상담자의 수도 많지 않으므로, 매우 제한된 상담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더욱이 무의식을 탐색하고 깊은 수준의 성격 변화를 추구하는 분석적 상담의 목표는 상담 장면에서는 부적절한 것이라고 하겠다.
하지만 정신분석에 대한 이해를 통해 내담자가 겪은 과거 경험의 의미와 현재의 문제에 미치는 영향을 충분히 탐색해 볼 수 있다. 그러나 과거의 경험을 너무 중요시한 나머지, 거기에 얽매여서는 안 된다. 반대로 현재 갈등의 중요한 원인이 되는 과거의 경험을 무시해 버린 채, 내담자의 성장을 효과적으로 도울 수 있는지도 의심스럽다고 하겠다.
따라서 정신분석적 개념을 통해 다음과 같은 사실들을 이해할 수 있다. 첫째, 생후 몇 년 간의 체험이 성격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과 둘째, 방어기제의 남용은 현실에 대한 효과적인 적응을 저해하며, 셋째, 내담자가 약속을 안 지킨다거나 일찍 치료를 그만두는 것은 저항의 표시이며, 넷째, 내담자는 치료자에 대해 전이 감정을 갖게 되는데 이러한 감정의 해소를 통하여 내담자는 정서적인 성숙을 기할 수 있다는 것 등이다.
추천자료
2017년 1학기 청소년성교육과성상담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7년 1학기 청소년진로지도및상담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7년 1학기 청소년성교육과성상담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7년 1학기 청소년진로지도및상담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7년 1학기 청소년성교육과성상담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7년 1학기 청소년진로지도및상담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7년 1학기 청소년진로지도및상담 멀티미디어 강의 전범위 핵심요약노트
2018년 1학기 청소년진로지도및상담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8년 1학기 청소년상담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8년 1학기 청소년성교육과성상담 기말시험 핵심체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