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한국인의 식생활
2. 일본인의 식생활
3. 한국식 식사예절
4. 일본의 식사예법
5. 한국음식의 특징
6. 일본음식의 특징
2. 일본인의 식생활
3. 한국식 식사예절
4. 일본의 식사예법
5. 한국음식의 특징
6. 일본음식의 특징
본문내용
용하는 조리기술을 갖고 있다. 600여종 이상의 생선이 횟감의 재료로 사용된다는 것은 그들이 얼마나 다양한 종류의 해산물을 먹거리로 개발하였는지를 단적으로 표현해 준다. 반면, 역사상 오랜 기간 육식을 금기시해 온 일본의 고기요리의 역사는 매우 짧지만 메이지유신 이후(100여년 전) 서양 및 중국요리의 영향을 받아 크게 발전하였다.
5) 지역적 특성이 뚜렷하다.
일본요리에서는 관서풍(關西風) 또는 관동풍(關東風)이라는 말을 자주 듣게 된다.
관서풍 요리는 교토(京都)와 오사카(大阪)를 중심으로 발달한 요리이다.
교토는 오랜 동안 역사의 중심지였고, 귀족문화가 발달한 곳으로 바다와 멀리 떨어져 있어서 담백한 야채요리와 건어물을 주로 사용한 반면, 바다가 가까워서 어패류를 많이 접할 수 있는 오사카에서는 생선요리가 많이 발달하였다. 한편, 관동풍 요리는 도쿄의 옛 이름인 에도(江戶)를 중심으로 발달한 요리이다. 도쿄만(東京灣)과 스미다강(隅田川)에서 잡은 어패류를 사용한 초밥, 덴뿌라, 민물장어와 모밀국수(소바;そば) 등이 대표적인 관동풍의 요리이다.
교통의 발달과 교류로 인하여 지역적 특성이 거의 없어졌다고 하는 지금도 소바와 우동을 모두 취급하는 국수가게 간판의 경우 도쿄에서는 주로 소바가게(소바야;そばや), 오사카에서는 우동가게(우동야;うどんや)라고 써 놓은 것만 보아도 두 지방의 지역적 차이를 알 수 있다. 국물 또한 관서풍의 경우는 소재의 맛과 색을 최대한 살리기 위하여 연하게 간을 하며, 국물 양이 많은 것에 비하여 관동풍은 주로 진간장을 사용하여 맛이 농후하며 따라서 국물의 양이 적다.
5) 지역적 특성이 뚜렷하다.
일본요리에서는 관서풍(關西風) 또는 관동풍(關東風)이라는 말을 자주 듣게 된다.
관서풍 요리는 교토(京都)와 오사카(大阪)를 중심으로 발달한 요리이다.
교토는 오랜 동안 역사의 중심지였고, 귀족문화가 발달한 곳으로 바다와 멀리 떨어져 있어서 담백한 야채요리와 건어물을 주로 사용한 반면, 바다가 가까워서 어패류를 많이 접할 수 있는 오사카에서는 생선요리가 많이 발달하였다. 한편, 관동풍 요리는 도쿄의 옛 이름인 에도(江戶)를 중심으로 발달한 요리이다. 도쿄만(東京灣)과 스미다강(隅田川)에서 잡은 어패류를 사용한 초밥, 덴뿌라, 민물장어와 모밀국수(소바;そば) 등이 대표적인 관동풍의 요리이다.
교통의 발달과 교류로 인하여 지역적 특성이 거의 없어졌다고 하는 지금도 소바와 우동을 모두 취급하는 국수가게 간판의 경우 도쿄에서는 주로 소바가게(소바야;そばや), 오사카에서는 우동가게(우동야;うどんや)라고 써 놓은 것만 보아도 두 지방의 지역적 차이를 알 수 있다. 국물 또한 관서풍의 경우는 소재의 맛과 색을 최대한 살리기 위하여 연하게 간을 하며, 국물 양이 많은 것에 비하여 관동풍은 주로 진간장을 사용하여 맛이 농후하며 따라서 국물의 양이 적다.
추천자료
한·미·일 삼각공조체제는 동아시아의 평화에 안전판인가?
의․식․주 문화를 통해 살펴본 대륙문화, 반도문화, 섬나라 민족의 국민...
한․중․일 3국의 FTA 추진현황과 대응과제
한, 중, 일 연극의 공통적인 특징과 차이점
한, 중, 일 삼국의 여가활용
한,중,일 인터넷 자유무역지대의 구축방안
(동양문명의이해)삼국(한,중,일) 전통지 비교
[여행계획서] 싱가포르 4일간의 배낭여행 계획서, 종교문화와 음식문화 중심, 여행일정, 여행...
6월 3주 (맛있는 음식) (6월 20일 ~ 6월 25일)
한,중,일의 인기스포츠들 조사분석
한,중,일의 성(性) 문화 비교 조사분석
지역사회복지협의회의 개념 및 역할, 문제점 및 활성화 방안을 논하고, 한·미·일 3국의 사회...
만0세) <일일보육계획안> 9월6일 - 대주제 : 놀이는 재미있어요Ⅰ / 주제 : 움직이는 놀잇감 1...
(관광법규 공통) 2016년 8월 17일 김관영의원이 대표발의 한 「새만금사업 추진 및 지원에 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