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역사의 이해 6장 요약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귀족 사회를 넘어서

1. 무신들이 권력을 잡다

2. 이 땅에 천민을 없애자

3. 몽고와 맞선 고려 사람들

4. 권문 세족 활개치다

5. 개혁의 고빗길에서

참고문헌

본문내용

권문 세족이라 한다. 권문 세족은 고려 전기의 문벌 귀족과는 여러 모로 다른 점이 있었다. 원 나라의 도움으로 과거 시험을 보지 않고도 높은 벼슬을 차지하였다.
5. 개혁의 고빗길에서
원의 간섭이 80여 년에 이르던 14세기 중엽, 원의 세력은 크게 약화되고 있었다. 원 황실의 사위로, 원에서 왕이 되어 돌아온 공민왕이 즉위했다. 즉위5년이 되던해, 공민왕은 개혁을 시작하였다. 가장 먼저 원의 힘을 배경으로 권세를 누리던 친원파들을 제거하였다. 그리고 원의 간섭으로 바뀌었던 정치 제도와 왕실 용어를 원래대로 돌려놓았다. 원에게 빼앗겼던 땅은 군대를 동원하여 되찾았고, 원 세력을 쫓아 북방으로 군대를 밀고 들어갔다.
즉위 14년, 공민왕은 신돈이라는 이름 없는 승려에게 모든 권력을 주었다. 신돈은 전민 변정도감이라는 관청을 만들어 토지와 노비 문제를 바로 잡으려 하였다. 신돈은 권문 세족이 함부로 빼앗은 땅을 원래 주인에게 돌려주었다. 하루 아침에 많은 재산을 내놓게 된 권문 세족은 대대적으로 신돈에게 공세를 퍼붓기 시작하였다. 결국 신돈은 권력에서 밀려난 뒤 세상을 떠났고, 토지도 노비도 다시 권문 세족의 것이 되었다.
참고문헌: 살아있는 한국사 교과서
  • 가격7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9.05.22
  • 저작시기2009.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3673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