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분해성 플라스틱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생분해성 플라스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 론

2. 생분해성 플라스틱의 정의
2-1. 생분해성 고분자 플라스틱의 정의
2-2. 천연계 고분자
2-3. 전분과 합성 또는 미생물 생산 고분자의 혼합형
2-4. 합성 고분자
2-5. 미생물 생산 고분자

3. 생분해성 플라스틱의 이용현황
3-1. 바이오닐의 분해성 시험
3-2 의료용 플라스틱
3-3 그린마스타
3-4 리그린 폼
3-5 전분용기

4. 생분해성 플라스틱의 반응식 및 공정도
4-1. 폴리글리콜산(PGA)
4-2. 폴리카프로락톤(PCL)
4-3. 디올/디카르복실산계 지방족 폴리에스테르(PBSA)
4-4. 공정도

5. 국내외 시장현황
5-1. 플라스틱의 수요 폭발
5-2. 유럽에서의 수요급증
5-3. 국내외 규제현황
5-4. 국내외 시장규모
5-5. 세계시장 점유율
5-6. 국내의 개발현황
5-7. 세계시장 예측
5-8. 세계 단위 면적당 국토사용현황

본문내용

그 수치는 적은편이다. 앞으로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5-8. 세계 단위 면적당 국토사용현황
<차트 5-5. 세계 단위 면적당 국토사용현황>
한국은 프랑스, 일본 등의 선진국들에 비해 국토 면적이 상당히 적은 편이지만. 그 가용면적은 높은 편이다. 쓰레기를 처리하는 방법으로 매립이 50%이상으로 높은 편이다.
적은 국토면적을 많이 사용하며, 매립을 많이 하는 국내의 조건을 고려하면 생분해성 플라스틱의 개발이 중요한 시점이다.
6. 결 론
생분해성플라스틱은 환경오염이라는 문제에 의해 탄생되었다. 아직 여러 가지 문제가 있지만 그 규모와 가능성은 크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를 위해서는 몇 가지 문제를 해결해야한다.
먼저 비용문제이다. 일반 플라스틱이 kg당 약1달러 선인데 반해, 생분해성 플라스틱의 경우 kg당 2~3달러 선으로 그 가격이 약 2배 이상 차이가 난다. 때문에 많은 기업들은 아직까지 생분해성 플라스틱시장에 대한 참여를 망설이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최근 유가 급등으로 인해 다소 해결 기미가 나타나고 있다. 한 연구 결과에 의하면 유가가 배럴당 5달러 상승 시 PLA는 약 1센트의 가격 경쟁력을 나다낸다고 발표되었다. 기존 플라스틱이 석유에서 뽑아낸 나프타로부터 만들어진다는 것을 감안하면 앞으로 가격경쟁력부분은 더욱 확보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환경오염문제에 따른 각국의 기존 플라스틱에 대한 규제 또한 가격경쟁력 확보에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시장원리에 따른다면 수요증가에 따른 대량생산은 생산단가하락으로 연결되기 때문이다. 우리 정부 또한 폐기물에 대한 정책을 내놓고 있다. 그 골자는 폐기물의 최소화로 인한 폐기물의 자원화, 플라스틱의 재활용 비율 향상에 따른 폐기물의 처리시설확충 및 관리, 폐기물 부담금 향상을 위해 현 kg당 4~7원선이 폐기물 부담금을 5년에 걸쳐 kg당 300원선으로 늘릴 계획이다.
가격과 물성의 향상도 필요하다. 현재 생분해성 플라스틱은 기존 플라스틱에 비해서 물성에서 부족한 모습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 생분해성 플라스틱의 경우 일반 플라스틱보다 용
<그림 6-1. 향후 개발 가능 분야>
융점이 낮기 때문에 성형하기 힘들고 강도 역시 낮은 모습을 보이고 있다. 보다 다양한 분야에서 쓰이기 위해서는 기존 생분해성 플라스틱에 비해서 강도, 용융점등 다양한 물성에서 보완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생분해성 플라스틱은 PLA로부터 많이 생산되고 있는데 PLA는 주로 옥수수 같은 전분계 식물에서 많이 얻게 된다. 최근 치솟는 곡물가격과 연관지어볼 때 PLA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소재를 활용한 생분해성 플라스틱의 개발이 필요하다. PHB를 비롯하여 셀룰로오즈를 이용한 분야 역시 많은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일본의 경우 ‘바이오 매스 일본 종합전략’을 제정하여 화석연료 사용을 감축하고 바이오 기술을 활용하여 재생자원의 활용을 증진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특히 재생자원에서 생산되는 유용한 플라스틱의 시장 확대를 중요한 과제로 하고 있다. 이는 유럽과 미국 또한 크게 다르지 않다. 이러한 세계의 흐름과 환경오염에 대한 심각성을 인식하여 생분해성 플라스틱에 대한 연구개발에 힘써야 하겠다. 또한 생분해성 플라스틱의 물성향상, 새로운 생분해성 플라스틱 소재에 대한 개발은 우리 화학공학도가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7. 참고문헌
① “생분해성 플라스틱 (기술 및 시장 특허분석보고서)” / 한국특허정보원/
2006.10.18/ p.71
② “퇴비화과정중 생분해성 플라스틱의 분해가능성 검토(논문)” / 유기성자원학회 /
박정수 외 2명/ 2001 / p.61~70
③ “본격성장 기대되는 생분해성 플라스틱” / LG주간경제 / 홍정기 / 2000
④ “국내외 생분해성 플라스틱 시장동향”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산업정보연구실 /
⑤ “생분해성 고분자의 구조 및 성질” / 고분자 과학과 기술 / p.332~340
⑥ "생분해성 플라스틱" / O.Kazushi / p.112~115
⑦ “생분해성 플라스틱의 개발 동향” / 공업기술 / p.138~142
⑧ “각국의 생분해성 플라스틱의 이용현황 및 개발동향(국제학술대회 참석보고서)” / 김남천 외 3명
⑨ 동영상 / http://imnews.imbc.com/20dbnews/history/2005/1934976_3844.html
⑩ “바이오 폴리머” / 한국경제신문 / 2007-06-25
⑪ “에코피스컵 개발” / 한국경제신문 / 2008-05-13
⑫ “바이오닐” / http://www.biopla.co.kr/good1.htm
8. 참조
<그림 1. 폐플라스틱더미>
<그림 2-1. 고분자의 순환과정>
<그림 2-2. 지방족 폴리 에스테르계 생분해성 플라스틱 퇴비화 과정>
<그림 2-3. 전분계 생분해성 플라스틱의 퇴비화 과정>
<그림 2-4. 전분계 생산과 퇴비화>
<그림 3-1. 생분해성플라스틱의 이용분야>
<그림 3-2. 100% 생분해성 필름의 토양 매립실험>
<그림 3-3. 시간에 따른 분해과정 >
<그림 3-4. 물에 대한 용해성을 띠는 특수한 분해성플라스틱>
<그림 4-1. PolyGlycolic Acid(PGA)의 개환중합>
<그림 4-2. Poly Caprolactone(PCL) 의 생분해경로>
<그림 4-3. PolyButylene Succinate(PBS)의 반응식>
<그림 4-4. Ecolgreen사의 Bio-Polymer 압출 공정도>
<그림 5-1. Eco-Peace 사 제품의 종이컵 생분해과정>
<그림 5-2. 친환경 인증마크>
<그림 6-1. 향후 개발 가능 분야>
<표 1. 비분해성 플라스틱 사용규제에 관한 노력>
<표 4-1. 주요 생분해성 플라스틱의 원천 고분자 및 반응과정>
<표 5-1. 국내외 규제현황>
<차트 1-1. 석유 매장량 통계>
<차트 1-2. 환경부, 친환경상품인식도>
<차트 3. 바이오닐의 생분해도 >
<차트 5-1. 국내외 시장규모>
<차트 5-2. 세계시장 점유율>
<차트 5-3. 세계시장 예측>
<차트 5-4. 2008년 현재 생분해성 플리스틱 세계시장 규모>
<차트 5-5. 세계 단위 면적당 국토사용현황>
  • 가격2,0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09.05.22
  • 저작시기2009.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3678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