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평양
2. 현대문학과 평양
3. 실비명
4. 거제
5. 문학, 생명과 사랑의 노래
2. 현대문학과 평양
3. 실비명
4. 거제
5. 문학, 생명과 사랑의 노래
본문내용
아가는 비둘기를 통해 “현대문명의 비정성과 소외의 비극을 심도있게 제시”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도시 개발로 인해 산이 개발되면서 비둘기의 삶의 터전이었던 성북동 산은 변화를 겪게 되었다. 1연에서는 그러한 변화를 포괄저그로 그리고 있다. 성북동 산에 본래 살고 있던 비둘기는 “산에 번지가 새로 생기면서”터전을 잃게 되었다. 비둘기가 살던 곳의 번지가 바뀌고 새로 번지가 생겼다는 것은 인위적인 문명으로 인해 기존의 생태 질서가 변모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자연적인 질서의 역전이라 할 수 있겠다. 하늘을 “하느님의 광장 같은 새파란 하늘”이라고 표현함으로써 천상공간의 신성성을 상징함과 동시에 2연의 “메마른 골짜기”라는 도시 공간과 대조되는 의미를 나타낸다.
2연에서는 구체적인 도시 생활공간의 삭막함을 “메마른 골짜기”, “채석장 포성”, “구공탄 굴뚝연기”들을 통해 형상화 하고 있다. 비둘기는 채석장 포성에 “피난하듯 지붕에 올라앉아”있는데, 이 때 지상공간은 비둘기가 살 수 없어 비둘기가 피해야 하는 공간으로 표상된다. “지붕”은 천상공간과 지상공간의 매개 공간으로서 비둘기가 처해있는 비극적인 삶의 터전을 피하는 일시적인 피난처의 역할을 한다. 이 연에서 산과 도시 공간의 분리 양상이 세밀하게 묘사되고 있다.
3연은 비둘기 고유의 상징성이 살아 있던 과거와 변화된 현재의 모습을 대조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산과 사람과 비둘기가 함께 이루어내던 조화는 생태계의 변모로 인해 파괴되었고 비둘기는 더 이상 “사랑과 평화의 새”로서 조재할 수 없게 되었다. 이를 통해 위 시는 새의 지위가 하늘의 세계에서 인간의 세계로 강등되고 있음을 드러낸다. 이 때 인간의 세계는 문명의 이기와 동시에 존재하는 속화된 공간이다. 더불어 이 공간에서는 인간의 성성 역시 세속화될 수밖에 없다.
결국 <성북동 비둘기>는 문명의 이기가 자연과 인간, 그리고 그들 사이의 상징을 변화시키고 있음을 드러내고 있는데, 여기서 시인의 생태의식을 발견할 수 있다. 삶의 터전을 잃은 비둘기를 통해서 현대 물질문명의 부정적인 결과와 그의 원인을 시를 통해 밝혀내고 있는 것이다. 특히 ‘비둘기’라는 평화를 상징하는 새를 소재로 삼음으로써 인류의 보편적인 상징의 상실을 구체적으로 드러내는 데
성공하였다. 새는 본래 하늘과 땅 사이를 자유롭게 날아다니면서 자유와 신성을 상징하는 영물로 취급되었을 뿐만 아니라 여러 신화를 통해서도 신성과 계시, 신의 사자로서의 상징성을 지니는 동물이
다. 또한 새 중에서도 비둘기는 기독교에서 성령과 신의 전지전능, 평화를 상징한다. 이러한 비둘기가 문명의 이기로 인한 생태계 파괴에 의해 쫓기는 처지가 되었다는 것은 문명의 파괴적인 괴력을 드러내는 것이라 하겠다. 기존의 조화롭고 신성한 자연의 질서와 상징이 생태계의 파괴로 인해 무너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참고도서>
문학지리. 한국인의 심성공간 상 / 김태준 / 논형 / 2005
문학지리. 한국인의 심성공간 중 / 김태준 / 논형 / 2005
생태주의 시학 / 장정렬 / 한국문화사 / 2000
2연에서는 구체적인 도시 생활공간의 삭막함을 “메마른 골짜기”, “채석장 포성”, “구공탄 굴뚝연기”들을 통해 형상화 하고 있다. 비둘기는 채석장 포성에 “피난하듯 지붕에 올라앉아”있는데, 이 때 지상공간은 비둘기가 살 수 없어 비둘기가 피해야 하는 공간으로 표상된다. “지붕”은 천상공간과 지상공간의 매개 공간으로서 비둘기가 처해있는 비극적인 삶의 터전을 피하는 일시적인 피난처의 역할을 한다. 이 연에서 산과 도시 공간의 분리 양상이 세밀하게 묘사되고 있다.
3연은 비둘기 고유의 상징성이 살아 있던 과거와 변화된 현재의 모습을 대조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산과 사람과 비둘기가 함께 이루어내던 조화는 생태계의 변모로 인해 파괴되었고 비둘기는 더 이상 “사랑과 평화의 새”로서 조재할 수 없게 되었다. 이를 통해 위 시는 새의 지위가 하늘의 세계에서 인간의 세계로 강등되고 있음을 드러낸다. 이 때 인간의 세계는 문명의 이기와 동시에 존재하는 속화된 공간이다. 더불어 이 공간에서는 인간의 성성 역시 세속화될 수밖에 없다.
결국 <성북동 비둘기>는 문명의 이기가 자연과 인간, 그리고 그들 사이의 상징을 변화시키고 있음을 드러내고 있는데, 여기서 시인의 생태의식을 발견할 수 있다. 삶의 터전을 잃은 비둘기를 통해서 현대 물질문명의 부정적인 결과와 그의 원인을 시를 통해 밝혀내고 있는 것이다. 특히 ‘비둘기’라는 평화를 상징하는 새를 소재로 삼음으로써 인류의 보편적인 상징의 상실을 구체적으로 드러내는 데
성공하였다. 새는 본래 하늘과 땅 사이를 자유롭게 날아다니면서 자유와 신성을 상징하는 영물로 취급되었을 뿐만 아니라 여러 신화를 통해서도 신성과 계시, 신의 사자로서의 상징성을 지니는 동물이
다. 또한 새 중에서도 비둘기는 기독교에서 성령과 신의 전지전능, 평화를 상징한다. 이러한 비둘기가 문명의 이기로 인한 생태계 파괴에 의해 쫓기는 처지가 되었다는 것은 문명의 파괴적인 괴력을 드러내는 것이라 하겠다. 기존의 조화롭고 신성한 자연의 질서와 상징이 생태계의 파괴로 인해 무너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참고도서>
문학지리. 한국인의 심성공간 상 / 김태준 / 논형 / 2005
문학지리. 한국인의 심성공간 중 / 김태준 / 논형 / 2005
생태주의 시학 / 장정렬 / 한국문화사 / 2000
추천자료
지역개방과 정보화 지리정보시스템(GIS)
학습지도안(한국지리-북부지역의 이해 -자연.인문 환경과 인구분포)
[지역학습][지역학습 사례][지역학습 내용구성 전략]지역학습의 개념, 지역학습의 내용선정준...
[지역학습][지역학습의 방향][지역학습과 지역지리교육 비교]지역학습의 정의, 지역학습의 필...
지리-김해지역 수업지도안
야외교육(야외수업)과 야외활동, 야외학습, 야외교육(야외수업)과 야외실습, 야외교육(야외수...
지역사회의 의미는 지리적 지역사회와 기능적 지역사회로 구분되어 있는데 이에 관해 주변의 ...
야외학습(야외수업,야외교육) 의의, 야외학습(야외수업,야외교육)과 현장학습, 야외학습(야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