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머리말
Ⅱ. 한국 정부 형성기과 산업화기의 환경
1. 형성기 정치적·경제적·사회적 환경
2. 산업화기의 정치적·경제적·사회적 환경
3. 검토
Ⅲ. 한국정부의 민주화기와 앞으로의 발전 동향
1. 민주화기의 정치적·경제적·사회적 환경
2. 앞으로의 발전 동향
3. 검토
Ⅳ. 맺음말
Ⅱ. 한국 정부 형성기과 산업화기의 환경
1. 형성기 정치적·경제적·사회적 환경
2. 산업화기의 정치적·경제적·사회적 환경
3. 검토
Ⅲ. 한국정부의 민주화기와 앞으로의 발전 동향
1. 민주화기의 정치적·경제적·사회적 환경
2. 앞으로의 발전 동향
3. 검토
Ⅳ. 맺음말
본문내용
, 민주정부는 무능하다는 주장을 하고 있지만 그것은 옳지 않다. 박정희 정부 때 성장위주 정책으로 사회 분야 및 사회투자균형발전 분야 등에서는 저조한 성과를 보였다. 이에 반해 민주 정부에서는 정부의 통제는 줄이고 국민의 자유는 존중되는 사회로 발전하였고, 노무현 정부 들어서는 동반 성장균형발전사회투자 등에 역점을 두어 성장과 분배를 병행 추진한 결과, 경제 분야뿐 아니라 사회투자, 균형발전 분야 등에서도 독재정권 때 보다 의미 있는 성과를 보였다. 한편, 북한과의 관계에 있어 한국 정부는 햇볕정책을 중심으로 경제적 협력 보다는 식량이나 자원의 원조를 하고 있다. 탈북자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한국정부에서 보내준 식량을 받아 본 적이 없다”라고 이야기 한다. 이와 같은 ‘밑빠진 독에 물붇기’식의 원조를 하기 보다는 경제적 협력을 통해 북한이 경제 발전을 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해주는 것이 좋을 것이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국민이 바라는 다음 정권은 결단력 있게 변화를 추구하는 정부가 될 것이다. 더 이상의 답습이 아닌 지금과는 다른 변화가 필요한 때이다. 그리고 국민들과 정부가 한 마음으로 단합을 한다면 제2, 제3의 한강의 기적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