굴원 어부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어부사 해석

2. 초사

3. 굴원

4. 작품분석

본문내용

4. 어부사(漁父辭)의 작품분석
1) 배경
굴원은 전국시대 초나라 왕족으로 회왕(懷王)의 신임을 얻어 등용되었으나 억울하게 참소(讒訴)당하여 두 차례나 쫓겨나 결국 분함을 이기지 못하고 멱라수에 몸을 던져 죽고 말았다 한다.
이 글은 그러한 굴원이 유랑생활을 하던 도중 은사(隱士)인 한 어부를 만나 속세와 동화될 수 없는 없는 자신의 심정을 묘사한 것으로 문장이 간결하고 아름다우면서도 굴원의 성격이 매우 명료하게 나타나 있다. 현실과 이상 사이의 엄청난 차이에 고뇌하는 이에게 어부와 굴원 두 현인(賢人)의 서로 다른 두 가지 가치관을 함축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2) 본문
갈래
사(辭)
성격
의지적
표현
대화체
주제
굴원의 고결하고 청렴결백한 성품
특징
굴원이 추방되어 초췌한 모습으로 강가를 떠돌 때 한 어부와 만나 서로 주고받은 말을 적어 놓은 글로 굴원의 성품과 어부의 삶의 자세가 대조되어 잘 드러나 있다.
3) 감상과 이해
이 작품은 고대 중국의 대표적인 초사 가운데 하나이다. 초사는 애절한 정조가 지배적이며 화려한 장식이 뛰어나다. 굴원은 원래 초나라 회왕을 도와 눈부신 정치 활동을 하였으나, 간신의 참소로 호남성의 상수로 추방을 당하였는데, 방랑 생활을 하다가 울분을 참지 못해 물에 몸을 던진 것으로 유명하며, 굴원의 강직한 성품이 어부의 삶의 자세와 대조되어 더욱 빛나고 있다.
어떤 이는 이 시에 등장하는 어부는 당시의 은사(隱士)였다고 전해지나 사실은 굴원이 이러한 인물을 가설(假設)하여, 자기의 절조를 나타내는 수단으로 삼았다고 생각되어 진다. 또한 굴원 자기 자신의 글인지도 확실치 않으며, 아마도 굴원에 관한 전송(傳誦)을 후세 사람이 그의 작품집에 넣은 것으로 추정된다.
이 글에는 그의 성격이 진실되고 분명하게 묘사되어 있다. 그처럼 청렴결백한 사람이니까 ,당연히 세상에 용납되지 않았고, 그 자신도 망국(亡國)의 참상을 참아보지 못하여 자살을 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어부와 같은 처세는 그 때와 같은 난세에는 타당한 것이었겠지만, 굴원의 충성스러운 심정으로는 용납할 수 없었던 것이다. 이 점이 그가 후세의 사람들한테서 애모(愛慕)와 동정을 받는 것이라고 말해진다.
〈참고문헌〉
(新譯)屈原, 中國古典漢詩人選 ; 5, 張基槿, 河正玉 譯著, 明文堂, 2003.
古文眞寶(後集), 金學主 譯, 明文堂, 2005.
楚辭, 풀어쓴 古典 ; 5, 김인규 역, 청아출판사, 1988.
네이버 백과사전.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9.05.27
  • 저작시기2009.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3772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