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기술,설명,논증
2.논증의 인식
1)전제와 결론
_1.전제 지시어
_2.결론 지시어
_3.숨은 전제와 결론
_4.논증의 종류
3.연역 논증
4.귀납 논증
5.논증의 구조
6.단순한 논증의 다이어그램
7.복합적 논증의 다이어그램
8.완성된 논증문의 다이어그램(결론)
2.논증의 인식
1)전제와 결론
_1.전제 지시어
_2.결론 지시어
_3.숨은 전제와 결론
_4.논증의 종류
3.연역 논증
4.귀납 논증
5.논증의 구조
6.단순한 논증의 다이어그램
7.복합적 논증의 다이어그램
8.완성된 논증문의 다이어그램(결론)
본문내용
다이어그램으로 나타내 보는 이유는 단순한 논증을 다루기 위함이 아니라 많은 문장으로 이루어진 매우 복잡한 논증들의 구조를 일목요연하게 들여다볼 수 있기 위함이다. 내부적으로 많은 문장을 가지고 있는 아무리 복잡한 논증이라도 이런 다이어그램으로 나타내보면 그 속에 어떤 하위 논증들이 있는지 어떤 부분에서 그 근거가 취약할 수 있는지, 그리고 논증의 구조가 제대로 갖춰져 있는지 등을 쉽게 알아볼 수 있다.
완성된 논증문의 다이어그램
우리가 논증을 다이어그램으로 나타내는 이유는 궁극적으로 모든 논증문의 구조를 분석하여 그 타당성이나 건전성을 평가할 수 있기 위함이다. 지금까지 언급한 다이어그램 그리기 방법들에 숨은 전제나 결론, 정의나 부연설명 그리고 기술문 및 설명문을 나타내는 방법 등을 부가한다면 우리는 거의 모든 논증문의 다이어그램을 그려낼 수 있을 것이다.
설명문(D)을 처리할 때는 설명의 방향을 나타내야 하므로 화살표를 사용하되 논증과 구별하기 위해 괄호속에서 처리하도록 한다. 개념, 부연 설명, 설명, 기술 등이 포함된 복잡한 논증의 구조를 보다 자세히 이해할 수 있으려면 괄호 속 번호들에 그 기능을 나타내는 간단한 메모를 덧붙이는 것이 좋다.
완성된 논증문의 다이어그램
우리가 논증을 다이어그램으로 나타내는 이유는 궁극적으로 모든 논증문의 구조를 분석하여 그 타당성이나 건전성을 평가할 수 있기 위함이다. 지금까지 언급한 다이어그램 그리기 방법들에 숨은 전제나 결론, 정의나 부연설명 그리고 기술문 및 설명문을 나타내는 방법 등을 부가한다면 우리는 거의 모든 논증문의 다이어그램을 그려낼 수 있을 것이다.
설명문(D)을 처리할 때는 설명의 방향을 나타내야 하므로 화살표를 사용하되 논증과 구별하기 위해 괄호속에서 처리하도록 한다. 개념, 부연 설명, 설명, 기술 등이 포함된 복잡한 논증의 구조를 보다 자세히 이해할 수 있으려면 괄호 속 번호들에 그 기능을 나타내는 간단한 메모를 덧붙이는 것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