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프로그램 대상과 문제정의
1) 프로그램 대상
2) 프로그램 대상의 문제 및 원인
3) 프로그램의 필요성
2. 프로그램 목적, 목표, 하위목표
3. 프로그램의 형성기반
1) 프로그램의 이론 및 경험적 기반
2) 프로그램의 기술적 기반
(1) 형태 및 구조
(2) 프로그램의 매개체
(3) 사회복지사의 역할과 과업
(4) 클라이언트의 역할 및 과업
4. 프로그램 내용 및 실시방법
1) 개입목표별 프로그램의 내용 및 수행방법
2) 프로그램 일정표
5. 프로그램 예산
6. 프로그램 과정평가
7. 프로그램 효과평가
1) 프로그램 대상
2) 프로그램 대상의 문제 및 원인
3) 프로그램의 필요성
2. 프로그램 목적, 목표, 하위목표
3. 프로그램의 형성기반
1) 프로그램의 이론 및 경험적 기반
2) 프로그램의 기술적 기반
(1) 형태 및 구조
(2) 프로그램의 매개체
(3) 사회복지사의 역할과 과업
(4) 클라이언트의 역할 및 과업
4. 프로그램 내용 및 실시방법
1) 개입목표별 프로그램의 내용 및 수행방법
2) 프로그램 일정표
5. 프로그램 예산
6. 프로그램 과정평가
7. 프로그램 효과평가
본문내용
상자의 상담기록, 전화방문 등을 통해서 통합교
육희망자를 선정해서 가정방문⇒상담⇒프로그램 참가자 확정
2009.1.3.
*프로그램의 일정, 목적, 실시내용, 복지관 소개 등에 대한 오리엔테이션을 갖는다. 복지관 직원, 자원봉사자, 대상자 가족 등 프로그램 관계자가 모두 참석
적
응
단
계
2009.1.
1주
지능, 자
아개념
검사
2주
집단캠프
-나의 소
개 및 별
명짓기,
나의 자
랑 10가
지, 얼굴
마주보기,
미래의
내모습
부모역할 훈 련 (1)
3주
친구와
같은점,
다른점
물감
불기
부모역할 훈련(2)
4주
표정으로
감정전달
하기
꼴라쥬
게임
리듬과 손
유희 노래
와 게임
부모역할 훈련(3)
2000.2.
1주
나의 책
만들기(1)
말 전하기
게임
부모역할 훈련(4)
2주
나의 책
만들기(2)
신발 찾기
게임
가족캠프
3주
나의 책
만들기(3)
역할극
4주
수료식 및 다과회
5. 프로그램 예산
1) 프로그램 예산 (단위:천원)
항 목
산 출 근 거
계
직 접 경 비
간 접 경 비
인건비
관장
과장
사회복지사
경리
자문교수
34,322×5%=1,716
15,485×15%=2,322
12,253×26%=3,185
12,174×5%=608
2000×1%×1명×2월=40
소 계
7,871
7,871
장비구입비
시설유지비
사무용품비
인쇄비
통신비
컴퓨터 1500, 프린터 350
30×3월=90
30×3월=90
50×3월=150
30×3월=90
소 계
1,850
420
2,270
자원봉사자 격려비
수료식 및 다과비
20×5명×2회=200
2×70명=140
소 계
340
340
사업비
1.자아감 향상훈련
2.적극적부모역할훈련
3.가족캠프
4.주의집중력놀이활동
5.개인의 능력증진훈련
*지능검사
1회×25명×40=1,000
*자아개념검사
1회×25명×10=250
*캠프 1박2일×30명=815
*훈련비 30×4회=120
*강사비 50×5회=250
*100×25가족(4회)=2,500
*1박 2일×40=2,000
*5×1회×4=20
*25명×1=25
소 계
6,980
6,980
총 계
8,830
8,631
17,461
A. 총 프로그램 예산 : 17,461천원
B. 총 직접경비 : 8,830천원(직접경비/총예산 49.4%)
C. 총 간접경비 : 8,631천원(간접경비/총예산 50.6%)
6. 프로그램 과정평가
진행과업
공정표
평가방법
수행시기
목표량
대상자 모집
준비단계
08.12.1. ~ 08.31.
표적케이스00에 대한 가정방문
표적집단내 가정상담
을 통해 참여클라이
언트 00명 기일내 선
정완료/미달
자원봉사자 모집
준비단계
08.12.1. ~ 08.31.
정보지 모집광고 4회
자원봉사자 기일내
모집완료/미달
대학가 홍보포스터
15장 부착
대학에 협조공문
발송2회
프로그램
관계자
오리엔테이션
적응단계
2009.1.3.~1.5.
안내문 발송 1회
전화알림 1회
프로그램 관계자
오리엔테이션참석율
(90%이상 참석)
00/00 참석율(%)
자아감
향상훈련
적응단계
2009.1.6.~1.14.
대상자의 총 횟수당
참석율 00/00%
참석율 80%이상
지능, 자아개념 검사
실시
개인의 생각
과 행동조절
적응단계
2009.1.15.~1.30.
대상자의 총 횟수당
참석율 00/00%
참석율 80%이상
상황에 알맞게 생각과 행동조절을 실시
주의집중력
놀이활동
적응단계
2009.1.15.~1.30.
대상자의 총 횟수당
참석율 00/00%
참석율 80%이상
주의집중력 놀이활동
실시
개인의
능력증진훈련
적응단계
2009.30.~2.21.
대상자의 총 횟수당
참석율 00/00%
참석율 80%이상
능력증진훈련 실시
가족캠프
적응단계
2009.2.
대상자 가족의
1인이상 참석율
참석율 80%이상
캠프활동 감상문
작성여부
적극적
부모역할훈련
적응단계
2009.1.20.~2.5.
대상자 가족의
1인이상 참석율
참석율 80%이상
사전, 사후 부모태도
조사실시
7. 프로그램 효과평가
평 가
목 표 1
목 표 2
목 표 3
긍정적인 자아감을
형성한다.
개개인의 잠재력을
향상시킨다.
비장애아동과 장애아
동의 상호작용을
촉지시킨다.
평가지표
*긍정적인
자아감 향상
*집단캠프 참석율
*생각과 행동조절
정도
*주의집중력 정도
*능력증진훈련 정도
*집단협력 정도
*부모태도의 향상
측정도구
*자아개념 측정
설문지
*집단캠프활동
참석율
*자아개념 측정설문지(20문항)
1. 장애에 대한 인식정도 설문지 간략형
2. 가족내에서의 자아존중감 측정 설문지
*개인의 능력증진에
있어서의 행동변화
체크리스트
*잠재능력 발휘 조사 표
*또래와의 관계
성취도
*부모태도조사표
(사전,사후)
평가방법
*대상 아동의 자아개
념 향상 설문지를 사전, 사후에 실시하 여 변화량을 확인한
다.
*집단캠프활동의 참
석율과 노래부르기
경연
* 자아개념 측정도구(20문항)를 통한 분석
1.교우관계에서의 소외감 측정
2.외모에 대한 자신감 측정
3.가족관계에서의 자아존중감 측정
*개인의 능력증진에
있어서의 행동변화
체크를 통해 잠재능
력 상태 측정 및 학 업 성취도 점검
*장애아동에 대한 부
모태도조사(사전, 사
후)를 통해 긍정적인
변화정도 측정
*대상아동의 가정생
활 점검표의 변화정
도 측정을 통해 가 정 생활의 안정감
측정
*또래와의 협력관계
측정 및 점검
※ 참고자료
김삼섭, 『중증 장애인의 교육과 재활』,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96.
이금진 외 2인 공역, 『장애아동을 위한 창조적 놀이활동』, 학지사, 1997.
이경영, 『유아를 위한 사회교육』, 교육과학사, 1997.
<목차>
1. 프로그램 대상과 문제정의
1) 프로그램 대상
2) 프로그램 대상의 문제 및 원인
3) 프로그램의 필요성
2. 프로그램 목적, 목표, 하위목표
3. 프로그램의 형성기반
1) 프로그램의 이론 및 경험적 기반
2) 프로그램의 기술적 기반
(1) 형태 및 구조
(2) 프로그램의 매개체
(3) 사회복지사의 역할과 과업
(4) 클라이언트의 역할 및 과업
4. 프로그램 내용 및 실시방법
1) 개입목표별 프로그램의 내용 및 수행방법
2) 프로그램 일정표
5. 프로그램 예산
6. 프로그램 과정평가
7. 프로그램 효과평가
육희망자를 선정해서 가정방문⇒상담⇒프로그램 참가자 확정
2009.1.3.
*프로그램의 일정, 목적, 실시내용, 복지관 소개 등에 대한 오리엔테이션을 갖는다. 복지관 직원, 자원봉사자, 대상자 가족 등 프로그램 관계자가 모두 참석
적
응
단
계
2009.1.
1주
지능, 자
아개념
검사
2주
집단캠프
-나의 소
개 및 별
명짓기,
나의 자
랑 10가
지, 얼굴
마주보기,
미래의
내모습
부모역할 훈 련 (1)
3주
친구와
같은점,
다른점
물감
불기
부모역할 훈련(2)
4주
표정으로
감정전달
하기
꼴라쥬
게임
리듬과 손
유희 노래
와 게임
부모역할 훈련(3)
2000.2.
1주
나의 책
만들기(1)
말 전하기
게임
부모역할 훈련(4)
2주
나의 책
만들기(2)
신발 찾기
게임
가족캠프
3주
나의 책
만들기(3)
역할극
4주
수료식 및 다과회
5. 프로그램 예산
1) 프로그램 예산 (단위:천원)
항 목
산 출 근 거
계
직 접 경 비
간 접 경 비
인건비
관장
과장
사회복지사
경리
자문교수
34,322×5%=1,716
15,485×15%=2,322
12,253×26%=3,185
12,174×5%=608
2000×1%×1명×2월=40
소 계
7,871
7,871
장비구입비
시설유지비
사무용품비
인쇄비
통신비
컴퓨터 1500, 프린터 350
30×3월=90
30×3월=90
50×3월=150
30×3월=90
소 계
1,850
420
2,270
자원봉사자 격려비
수료식 및 다과비
20×5명×2회=200
2×70명=140
소 계
340
340
사업비
1.자아감 향상훈련
2.적극적부모역할훈련
3.가족캠프
4.주의집중력놀이활동
5.개인의 능력증진훈련
*지능검사
1회×25명×40=1,000
*자아개념검사
1회×25명×10=250
*캠프 1박2일×30명=815
*훈련비 30×4회=120
*강사비 50×5회=250
*100×25가족(4회)=2,500
*1박 2일×40=2,000
*5×1회×4=20
*25명×1=25
소 계
6,980
6,980
총 계
8,830
8,631
17,461
A. 총 프로그램 예산 : 17,461천원
B. 총 직접경비 : 8,830천원(직접경비/총예산 49.4%)
C. 총 간접경비 : 8,631천원(간접경비/총예산 50.6%)
6. 프로그램 과정평가
진행과업
공정표
평가방법
수행시기
목표량
대상자 모집
준비단계
08.12.1. ~ 08.31.
표적케이스00에 대한 가정방문
표적집단내 가정상담
을 통해 참여클라이
언트 00명 기일내 선
정완료/미달
자원봉사자 모집
준비단계
08.12.1. ~ 08.31.
정보지 모집광고 4회
자원봉사자 기일내
모집완료/미달
대학가 홍보포스터
15장 부착
대학에 협조공문
발송2회
프로그램
관계자
오리엔테이션
적응단계
2009.1.3.~1.5.
안내문 발송 1회
전화알림 1회
프로그램 관계자
오리엔테이션참석율
(90%이상 참석)
00/00 참석율(%)
자아감
향상훈련
적응단계
2009.1.6.~1.14.
대상자의 총 횟수당
참석율 00/00%
참석율 80%이상
지능, 자아개념 검사
실시
개인의 생각
과 행동조절
적응단계
2009.1.15.~1.30.
대상자의 총 횟수당
참석율 00/00%
참석율 80%이상
상황에 알맞게 생각과 행동조절을 실시
주의집중력
놀이활동
적응단계
2009.1.15.~1.30.
대상자의 총 횟수당
참석율 00/00%
참석율 80%이상
주의집중력 놀이활동
실시
개인의
능력증진훈련
적응단계
2009.30.~2.21.
대상자의 총 횟수당
참석율 00/00%
참석율 80%이상
능력증진훈련 실시
가족캠프
적응단계
2009.2.
대상자 가족의
1인이상 참석율
참석율 80%이상
캠프활동 감상문
작성여부
적극적
부모역할훈련
적응단계
2009.1.20.~2.5.
대상자 가족의
1인이상 참석율
참석율 80%이상
사전, 사후 부모태도
조사실시
7. 프로그램 효과평가
평 가
목 표 1
목 표 2
목 표 3
긍정적인 자아감을
형성한다.
개개인의 잠재력을
향상시킨다.
비장애아동과 장애아
동의 상호작용을
촉지시킨다.
평가지표
*긍정적인
자아감 향상
*집단캠프 참석율
*생각과 행동조절
정도
*주의집중력 정도
*능력증진훈련 정도
*집단협력 정도
*부모태도의 향상
측정도구
*자아개념 측정
설문지
*집단캠프활동
참석율
*자아개념 측정설문지(20문항)
1. 장애에 대한 인식정도 설문지 간략형
2. 가족내에서의 자아존중감 측정 설문지
*개인의 능력증진에
있어서의 행동변화
체크리스트
*잠재능력 발휘 조사 표
*또래와의 관계
성취도
*부모태도조사표
(사전,사후)
평가방법
*대상 아동의 자아개
념 향상 설문지를 사전, 사후에 실시하 여 변화량을 확인한
다.
*집단캠프활동의 참
석율과 노래부르기
경연
* 자아개념 측정도구(20문항)를 통한 분석
1.교우관계에서의 소외감 측정
2.외모에 대한 자신감 측정
3.가족관계에서의 자아존중감 측정
*개인의 능력증진에
있어서의 행동변화
체크를 통해 잠재능
력 상태 측정 및 학 업 성취도 점검
*장애아동에 대한 부
모태도조사(사전, 사
후)를 통해 긍정적인
변화정도 측정
*대상아동의 가정생
활 점검표의 변화정
도 측정을 통해 가 정 생활의 안정감
측정
*또래와의 협력관계
측정 및 점검
※ 참고자료
김삼섭, 『중증 장애인의 교육과 재활』,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96.
이금진 외 2인 공역, 『장애아동을 위한 창조적 놀이활동』, 학지사, 1997.
이경영, 『유아를 위한 사회교육』, 교육과학사, 1997.
<목차>
1. 프로그램 대상과 문제정의
1) 프로그램 대상
2) 프로그램 대상의 문제 및 원인
3) 프로그램의 필요성
2. 프로그램 목적, 목표, 하위목표
3. 프로그램의 형성기반
1) 프로그램의 이론 및 경험적 기반
2) 프로그램의 기술적 기반
(1) 형태 및 구조
(2) 프로그램의 매개체
(3) 사회복지사의 역할과 과업
(4) 클라이언트의 역할 및 과업
4. 프로그램 내용 및 실시방법
1) 개입목표별 프로그램의 내용 및 수행방법
2) 프로그램 일정표
5. 프로그램 예산
6. 프로그램 과정평가
7. 프로그램 효과평가
추천자료
사회복지 프로그램)다문화 통합 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아동의 건강한 성장 지원 프로그램
사회복지 프로그램) 다문화가정 부부관계, 가족관계 증진을 통한 다문화 가족기능 개선 프로그램
사회복지 프로그램)다문화가족 부부관계 향상을 위한 통합 지원 프로그램
사회복지 프로그램) 다양한 교육을 통한 발달장애 아동의 학습 역량 강화와 장애 부모의 양육...
사회복지 프로그램) 도시농부 양성을 통한 만성정신장애인의 치유 프로그램 [정신장애인]
사회복지 프로그램) 도시와 농촌 간 교육 격차 해소를 위한 농어촌 아동 방과 후 수업 프로그램
사회복지 프로그램) 만성정신장애인의 스트레스 경감과 재활을 위한 인문학적 접근 프로젝트
사회복지 프로그램) 미혼모의 삶의 질 개선을 위한 통합적 접근 프로그램
사회복지 프로그램) 보호자 부재와 방임으로 정서불안을 보이는 저소득층 가정 아동의 보호...
사회복지 프로그램) 북한이탈 청소년의 건강한 발달을 위한 정신건강 프로그램
사회복지 프로그램) 북한이탈주민의 삶의 만족도 향상을 위한 정신건강 프로그램
사회복지 프로그램) 북한이탈주민의 정신건강 지원을 위한 보건, 의료, 생활체육서비스
사회복지 프로그램) 심리적 문제 극복을 위한 북한 이탈 주민 부모, 자녀 심리정서지원 프로그램
사회복지 프로그램) 어르신 치매 증상 경감과 예방을 위한 치매예방 프로그램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