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天南星
천남성
貝母
패모
栝樓仁
과루인
天花粉
천화분
夏枯草
하고초
천남성
貝母
패모
栝樓仁
과루인
天花粉
천화분
夏枯草
하고초
본문내용
자주 보지 않게 한다.
治熱狂時疾,胃熱疸黃,口燥唇乾,腫毒發背,乳癰瘡痔。
천화분은 열성 발광과 시행성 질병과 위열과 황달, 입이 건조하며 입술이 마르고 종독과 발배, 유옹과 치창을 치료한다.
脾胃虛寒者禁用。
비위가 허한한 환자는 천화분 사용을 금기한다.
蔞根,畏惡同。澄粉食,大宜虛熱人。
천화분은 과루근이며 상외, 상오가 과루인과 같다. 맑은 가루를 먹으면 크게 허열증 사람에게 좋다.
夏枯草
하고초
補陽,散結,消.
하고초는 양을 보하며 결체를 흩어지게 하며 영기를 소멸케 한다.
辛苦微寒,氣稟純陽。
하고초는 신미 고미로 약간 차며 기는 순양기를 품었다.
補肝血,緩肝火,解內熱,散結氣。
하고초는 간혈을 보하며, 간화를 완만하게 하며 내열을 풀고, 결체한 기를 흩어지게 한다.
治 濕,目珠夜痛.
하고초는 영력, 습비, 눈동자가 야간에 아픔을 치료한다.
(樓全善曰目珠連目本,目系也。)
누전선이 말하길 눈동자가 목본과 연계하니 곧 목계이다.
(夜痛及點苦寒藥更甚者,夜與寒皆陰也,夏枯氣稟純陽;)
야간에 아프며 고한약을 점안하니 더욱 심함은 야간과 한기는 모두 음이므로 하고초는 기가 순양을 품부하였다.
(補厥陰血脈,故治此如神,以陽和陰也。)
궐음 혈맥을 보하므로 이처럼 귀신처럼 치료하니 양으로 음을 조화함이다.
(按目白珠屬陽,故晝痛,點苦寒藥則效;黑珠屬陰,故夜痛,點苦寒藥反劇)。
눈의 백자위는 양에 속하므로 낮에 아프다, 고한약을 점안하면 효과가 있다. 검은 눈동자는 음에 속하므로 야간에 아프니 고한약을 점안하면 더욱 심해진다.
冬至生,夏至枯,故名,用莖葉。
동지에 생기며 하지에는 마르므로 하고초라고 이름하며 줄기와 잎을 사용한다.
治熱狂時疾,胃熱疸黃,口燥唇乾,腫毒發背,乳癰瘡痔。
천화분은 열성 발광과 시행성 질병과 위열과 황달, 입이 건조하며 입술이 마르고 종독과 발배, 유옹과 치창을 치료한다.
脾胃虛寒者禁用。
비위가 허한한 환자는 천화분 사용을 금기한다.
蔞根,畏惡同。澄粉食,大宜虛熱人。
천화분은 과루근이며 상외, 상오가 과루인과 같다. 맑은 가루를 먹으면 크게 허열증 사람에게 좋다.
夏枯草
하고초
補陽,散結,消.
하고초는 양을 보하며 결체를 흩어지게 하며 영기를 소멸케 한다.
辛苦微寒,氣稟純陽。
하고초는 신미 고미로 약간 차며 기는 순양기를 품었다.
補肝血,緩肝火,解內熱,散結氣。
하고초는 간혈을 보하며, 간화를 완만하게 하며 내열을 풀고, 결체한 기를 흩어지게 한다.
治 濕,目珠夜痛.
하고초는 영력, 습비, 눈동자가 야간에 아픔을 치료한다.
(樓全善曰目珠連目本,目系也。)
누전선이 말하길 눈동자가 목본과 연계하니 곧 목계이다.
(夜痛及點苦寒藥更甚者,夜與寒皆陰也,夏枯氣稟純陽;)
야간에 아프며 고한약을 점안하니 더욱 심함은 야간과 한기는 모두 음이므로 하고초는 기가 순양을 품부하였다.
(補厥陰血脈,故治此如神,以陽和陰也。)
궐음 혈맥을 보하므로 이처럼 귀신처럼 치료하니 양으로 음을 조화함이다.
(按目白珠屬陽,故晝痛,點苦寒藥則效;黑珠屬陰,故夜痛,點苦寒藥反劇)。
눈의 백자위는 양에 속하므로 낮에 아프다, 고한약을 점안하면 효과가 있다. 검은 눈동자는 음에 속하므로 야간에 아프니 고한약을 점안하면 더욱 심해진다.
冬至生,夏至枯,故名,用莖葉。
동지에 생기며 하지에는 마르므로 하고초라고 이름하며 줄기와 잎을 사용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