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정책] 미국정책에 대해서 과거부터 현재까지 간략하게 정리(미국의 전략)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미국정책] 미국정책에 대해서 과거부터 현재까지 간략하게 정리(미국의 전략)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0) 여는 글
(1) 먼로 독트린(1823)
(2) 케넌의 봉쇄이론(1947)
(3) 트루먼 독트린(1947)
(4) 쿠바 미사일 위기 이후 변화
(5) 닉슨 독트린(1970)
(6) 부시의 아태전략틀(1992)
(7) 클린턴
(8) 부시
(9) 오바마
(10) 오바마 행정부(새로운 현실주의와 국제협력)
(11) 오바마 행정부의 동북아 전략
(12) 미국의 세계 전략
(13) 한미동맹
(14) 미국의 중국견제
(15) 미국의 현실주의와 자유주의
(16) 맺음 글

본문내용

미국이 휘청하자 세계 경제가 휘청거렸다. 특히 우리나라와 같이 수출 위주의 나라는 더 크게 휘청거렸다. 그만큼 미국과 우리는 지리적으로는 멀지만 느껴지기로는 가깝게 느껴지는 것이다. 바로 지구촌화되어 가는 것이다.
미국의 먼로독트린을 통해 미국이 유럽의 간섭을 끊고 2차 대전 이후 미국은 고립주의에서 개입주의로 성향을 바꾸게 되었다. 케넌의 봉쇄이론을 통해서 소련과의 대립을 알 수 있다. 어쩌면 이런 케넌의 봉쇄이론은 미국이 세계무대로 나가기 위한 발판을 마련해주었다고 볼 수 있다. 명분이 필요했고 아마 그 명분으로 가장 적절하고 파워 있는 이유가 소련의 팽창저지가 아니었나 싶다.(사실 스탈린은 세계정복욕을 가진 사람으로 평가된다.) 트루먼 독트린을 통해 봉쇄의 세계화를 선언했다. 즉 미국을 공격하지 않더라도 미국의 우호국을 공격하면 미국이 참전하겠다는 것으로 어느 한 나라가 싸우더라도 세계 초강대국 미국이 개입할 수 있음을 공포했다. 그런 봉쇄정책에서 쿠바 미사일 위기를 겪었고 유연한 대응전략의 필요성을 알고 또 가능성을 보게 되었다.
아시아 지역에서는 닉슨독트린을 통해 중국 등을 염두에 두고 미국에게 중요한 나라를 지켜주겠다고 하였다. 이후 강경노선의 레이건 대통령에 의해 신냉전 시대가 오게 된다. 또 부시의 아태전략틀을 보면 미국이 탈냉전 후 유일 초강국을 유지하려는 움직임을 볼 수 있다. 하지만 이 방법에 있어서 혼자의 힘이 아닌 독일이나 일본도 끌어들임으로 좀 더 유연해졌다고 할 수 있다. 안보동맹과 보완적인 방위협력 등이 그 내용이다.(아시아 태평양 지역) 클린턴 정부가 되어서는 민주주의와 시장경제를 중시하고 국제주의적인 면모를 보였다. 그리고 대량살상무기 확산을 막으려는 움직임이 보였다. 그리고 민주주의를 확산시켰다.(미국식 민주주의) 21세기의 대통령 부시는 강경하고 일방주의적 성향을 보여줬으며 지금 오바마는 국제협력과 다자주의적 면모를 보일 것으로 해석된다. 또 중앙아시아를 중시할 것이고 중국을 견제하면서도 경제적으로 협력하며 중남미 국가들에 대해서는 좀 더 부드러운 태도를 보일 것으로 보여 진다.
오바마는 스마트 파워로 미국의 이미지 쇄신과 무역이익 증대, 소외된 사람을 돕고 세계적 문제에 관심을 보일 것으로 보인다. 동북아시아 전략에 있어서 일본을 파트너 삼아 중국의 팽창을 막을 것으로 보인다. 그 속에 우리나라는 한미동맹 관계를 유지하고 미일동맹 관계에 귀속되지 않도록 그 대책을 강구해야한다. 동북아 전략의 내용을 보면 평화와 안정, 경제와 자원, 지역패권국가 등장 방지가 포함되어 있다. 즉 지역패권국가란 중국을 칭하는 것이 아닐까 한다.
미국은 패권을 유지하고 싶어 한다. 그것은 해외주둔미군재배치 계획을 통해서도 여실히 드러난다. 다지기 전략과 관리 전략을 통해 미국과 동맹국을 늘리고 또 계속 관리하여 그 동맹이 이어지길 바란다. 미군의 배치를 통해서 말이다.
또 한미동맹에 있어서 한국군의 역할이 증대되고 있으며 대신 방위비가 증가하고 있다. 한국은 한미일 대화체계를 확보해야할 것이며 미국의 소프트파워에 의존해야할 것이다. 미국의 중국견제 안에서 한국은 현명하게 대처해야할 것이다. 왜냐하면 미일동맹과 중국 사이에 우리나라가 위치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 미국의 현실주의와 자유주의에 대해 알아보았고 국제주의와 고립주의를 대입시켜 어떤 성향을 가질지에 대해서 이야기해보았다. 오바마 정부에 대해서는 앞으로 지켜봐야하겠지만 아무래도 좀 더 유연하고 현명한 행보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이 글을 통해서 미국의 역사와 현재에 대해 그리고 미래는 어떨지 생각해 볼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되었길 바라면서 미국에 대한 글을 마치도록 한다.
  • 가격1,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9.06.03
  • 저작시기2009.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3914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