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가족에 대한 정의와 이해
2. 가족복지의 필요성
2.1 가족의 정의와 기능
2.2 가족의 기능약화
2.3 가족에 대한 개입의 관점 변화
2.4 다양한 가족형태의 등장과 욕구의 다양화
2.5 사회문제 해결단위로서 가족의 유용성
3. 가족복지의 대상
3.1 가족구조상의 특성에 따른 대상
3.2 가족기능상의 문제에 따른 대상
3.3 가족의 주기에 따라 발생하게 되는 다양한 욕구에 따른 대상
4. 가족복지의 기능과 방법
4.1 가족복지의 기능
4.2 거시적, 미시적인 가족복지 기능
4.3 가족복지의 방법
5. 가족대상 개입과정과 기술 및 프로그램
5.1 초기단계 - 얼굴 한번 봅시다
5.2 중기단계 : 개입에 관련된 기법 - 제 눈에 안경
(1) 가족구조 및 기능 파악하기
(2) 가족의식을 통한 친밀도와 격리 파악하기
(3) 가족과 가족 구성원의 강점 사정하기
(4) 의사소통 훈련
5.3 종결단계 - 이제 시작일 뿐
참고문헌
2. 가족복지의 필요성
2.1 가족의 정의와 기능
2.2 가족의 기능약화
2.3 가족에 대한 개입의 관점 변화
2.4 다양한 가족형태의 등장과 욕구의 다양화
2.5 사회문제 해결단위로서 가족의 유용성
3. 가족복지의 대상
3.1 가족구조상의 특성에 따른 대상
3.2 가족기능상의 문제에 따른 대상
3.3 가족의 주기에 따라 발생하게 되는 다양한 욕구에 따른 대상
4. 가족복지의 기능과 방법
4.1 가족복지의 기능
4.2 거시적, 미시적인 가족복지 기능
4.3 가족복지의 방법
5. 가족대상 개입과정과 기술 및 프로그램
5.1 초기단계 - 얼굴 한번 봅시다
5.2 중기단계 : 개입에 관련된 기법 - 제 눈에 안경
(1) 가족구조 및 기능 파악하기
(2) 가족의식을 통한 친밀도와 격리 파악하기
(3) 가족과 가족 구성원의 강점 사정하기
(4) 의사소통 훈련
5.3 종결단계 - 이제 시작일 뿐
참고문헌
본문내용
모방, 추적이 있다.
- 개인의 심리내적 요소보다는 가족 내에서의 상호작용에 초점을 맞추도록 한다.
5.2 중기단계 : 개입에 관련된 기법 - 제 눈에 안경
(1) 가족구조 및 기능 파악하기
- 가족에 관한 사실을 알아보고자 할 때 소꿉놀이를 통해 역할놀이를 해보면 가족 내에서 각자의 역할이 확연하게 드러나게 된다.
* 가족모빌
- 가족구성원 모두를 종이로 오려서 한 끈에 매달아 모빌을 만든다.
- 가족의 상호성과 순환성 전체성을 인식하는데 도움
* 가족초상화 그리기
- 아동, 성인 모두에게 적용될 수 있으며 가족구성원간에 서로 다른 인식의 차이를 비교
- 그림을 그리는 사람의 입장에서 본 가족구성원의 특성을 파악하는데 도움
* 동물가족화 그리기
- 가족의 또 다른 성격적 특성을 잘 드러내 준다.
* 가계도 그리기
- 가족에 대한 개입이나 가족치료에 가장 널리 사용
- 가족의 구조와 특성을 전체적으로 파악하는 가장 흔한 방법 중 하나
- 구조적 특성 파악뿐만 아니라 개입기법에 따라 더 많은 자료와 특성 파악할 수 있다.
* 빈의자 기법
- 가계도를 통해 드러나지 않는 가족의 다른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방법으로 활용
- 누가, 어떻게, 의자 배치하고 어떤 자세로 앉는가를 통해 가족들이 갖는 상호작용의 특성과 친밀도, 권력 관계 등을 파악할 수 있다.
* 역할 바꾸기
- 역할놀이나 역할극을 통해 상호간의 입장에 대한 이해를 넓힌는게 가족성장에 효과적
* 식사 함께하기
- 가족의 친밀감 형성과 많은 사실을 파악할 수 있는 좋은 기회
* 공간 이용법 파악하기
- 공간을 어떻게 이용하는가는 그 가족의 경계에 관한 개념과 규칙같은 많은 의미 전달
* 가족사진
- 가족에 대한 구체적 형상화를 통해 직면과 도전, 회고, 애도 등 다양한 개입
* 개인 애장품 소장하기
- 가족에 관한 이야기를 끌어낼 수 있는 좋은 실마리 제공
(2) 가족의식을 통한 친밀도와 격리 파악하기
* 가족의식
- 가족간의 친밀도, 소속감, 가족에 대한 자부심 기르기와 서로에 대한 이해와 존중이 높아직 된다.
* 사랑의 메모 남기기
- 시간적으로 함께 하기가 힘든 가족이나 관계가 서먹해졌을 때, 사랑의 마음을 전달해 보는 것은 관계형성에 도움이 된다.
* 선물교환하기
- 선물은 거창하고 비쌀 필요 없이 간단하고 마음을 전하는 것이면 된다.
* 함께 시간보내기
- 가족행사와 공동의 시간은 정서적 지지와 소소감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침
* 가족모임을 통한 미해결과제 찾기
- 가족들이 결속을 다지고 화합하기 위해서는 미해결문제를 드러내어 해결해 나가도록 서로 터놓고 이야기 해 볼 수 있는 자리마련
- 서로를 이해할 수 있는 계기 마련
(3) 가족과 가족 구성원의 강점 사정하기
* 가족의 강점 찾기
- 가족의 장점을 인식시켜 자긍심을 키워주고 자신감을 복돋워주는 것이 중요
* 사랑의 이불 덮어주기
- 스스로 장점파악하는 방법과 달리 다른 사람이 장점을 말해주는 방법
* 자랑거리 소개하기
- 자신의 자랑거리를 다른 가족구성원 앞에서 적극적으로 말로 표현하는 방법
(4) 의사소통 훈련
* 기쁘게 하는 날
- 대상 각각에게 하루에 한 가지씩 상대방을 기쁘게 하는 일을 하게한다.
- 직접적인 의사소통의 필요성을 실감
* 칭찬하기
- 상대방의 강점을 파악하고 더 긍정적인 시각을 갖게 한다.
* 팬터마임
- 감정표현이 사람마다 차이가 나는 것을 인식하여 서로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다.
5.3 종결단계 - 이제 시작일 뿐
- 개입의 목표가 달성 되었다고 판단되면 종결에 대한 논의
- 새롭게 만들어진 변화와 변화의 유지에 대해 논의하며 필요시 추수지도에 관한 계획수립
- 종결은 시작이다 새로운 태도와 관계로 다시 시작하며 시작할 준비가 되었다는 것이다.
참고문헌
가족복지실천론, Collins & Jordon & Colemon 지음, 나눔의 집
김성천, 윤혜미(2000). 가족복지 증진을 위한 정책 대안 연구. 보건복지부 연구보고서
성영혜, 송주미(1997). 가족복지에 관한 이론적 고찰. 한국가족복지학 제2권 1호
최경석, 김양희, 김성천, 김진희, 박정윤, 윤정향(2001). 한국가족복지의 이해. 인간과 복지
Goldenberg, I. & Goldenberg, H.(2000). Family Therapy an Overview. California: Pacific Grove, Brooks/Cole Press
- 개인의 심리내적 요소보다는 가족 내에서의 상호작용에 초점을 맞추도록 한다.
5.2 중기단계 : 개입에 관련된 기법 - 제 눈에 안경
(1) 가족구조 및 기능 파악하기
- 가족에 관한 사실을 알아보고자 할 때 소꿉놀이를 통해 역할놀이를 해보면 가족 내에서 각자의 역할이 확연하게 드러나게 된다.
* 가족모빌
- 가족구성원 모두를 종이로 오려서 한 끈에 매달아 모빌을 만든다.
- 가족의 상호성과 순환성 전체성을 인식하는데 도움
* 가족초상화 그리기
- 아동, 성인 모두에게 적용될 수 있으며 가족구성원간에 서로 다른 인식의 차이를 비교
- 그림을 그리는 사람의 입장에서 본 가족구성원의 특성을 파악하는데 도움
* 동물가족화 그리기
- 가족의 또 다른 성격적 특성을 잘 드러내 준다.
* 가계도 그리기
- 가족에 대한 개입이나 가족치료에 가장 널리 사용
- 가족의 구조와 특성을 전체적으로 파악하는 가장 흔한 방법 중 하나
- 구조적 특성 파악뿐만 아니라 개입기법에 따라 더 많은 자료와 특성 파악할 수 있다.
* 빈의자 기법
- 가계도를 통해 드러나지 않는 가족의 다른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방법으로 활용
- 누가, 어떻게, 의자 배치하고 어떤 자세로 앉는가를 통해 가족들이 갖는 상호작용의 특성과 친밀도, 권력 관계 등을 파악할 수 있다.
* 역할 바꾸기
- 역할놀이나 역할극을 통해 상호간의 입장에 대한 이해를 넓힌는게 가족성장에 효과적
* 식사 함께하기
- 가족의 친밀감 형성과 많은 사실을 파악할 수 있는 좋은 기회
* 공간 이용법 파악하기
- 공간을 어떻게 이용하는가는 그 가족의 경계에 관한 개념과 규칙같은 많은 의미 전달
* 가족사진
- 가족에 대한 구체적 형상화를 통해 직면과 도전, 회고, 애도 등 다양한 개입
* 개인 애장품 소장하기
- 가족에 관한 이야기를 끌어낼 수 있는 좋은 실마리 제공
(2) 가족의식을 통한 친밀도와 격리 파악하기
* 가족의식
- 가족간의 친밀도, 소속감, 가족에 대한 자부심 기르기와 서로에 대한 이해와 존중이 높아직 된다.
* 사랑의 메모 남기기
- 시간적으로 함께 하기가 힘든 가족이나 관계가 서먹해졌을 때, 사랑의 마음을 전달해 보는 것은 관계형성에 도움이 된다.
* 선물교환하기
- 선물은 거창하고 비쌀 필요 없이 간단하고 마음을 전하는 것이면 된다.
* 함께 시간보내기
- 가족행사와 공동의 시간은 정서적 지지와 소소감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침
* 가족모임을 통한 미해결과제 찾기
- 가족들이 결속을 다지고 화합하기 위해서는 미해결문제를 드러내어 해결해 나가도록 서로 터놓고 이야기 해 볼 수 있는 자리마련
- 서로를 이해할 수 있는 계기 마련
(3) 가족과 가족 구성원의 강점 사정하기
* 가족의 강점 찾기
- 가족의 장점을 인식시켜 자긍심을 키워주고 자신감을 복돋워주는 것이 중요
* 사랑의 이불 덮어주기
- 스스로 장점파악하는 방법과 달리 다른 사람이 장점을 말해주는 방법
* 자랑거리 소개하기
- 자신의 자랑거리를 다른 가족구성원 앞에서 적극적으로 말로 표현하는 방법
(4) 의사소통 훈련
* 기쁘게 하는 날
- 대상 각각에게 하루에 한 가지씩 상대방을 기쁘게 하는 일을 하게한다.
- 직접적인 의사소통의 필요성을 실감
* 칭찬하기
- 상대방의 강점을 파악하고 더 긍정적인 시각을 갖게 한다.
* 팬터마임
- 감정표현이 사람마다 차이가 나는 것을 인식하여 서로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다.
5.3 종결단계 - 이제 시작일 뿐
- 개입의 목표가 달성 되었다고 판단되면 종결에 대한 논의
- 새롭게 만들어진 변화와 변화의 유지에 대해 논의하며 필요시 추수지도에 관한 계획수립
- 종결은 시작이다 새로운 태도와 관계로 다시 시작하며 시작할 준비가 되었다는 것이다.
참고문헌
가족복지실천론, Collins & Jordon & Colemon 지음, 나눔의 집
김성천, 윤혜미(2000). 가족복지 증진을 위한 정책 대안 연구. 보건복지부 연구보고서
성영혜, 송주미(1997). 가족복지에 관한 이론적 고찰. 한국가족복지학 제2권 1호
최경석, 김양희, 김성천, 김진희, 박정윤, 윤정향(2001). 한국가족복지의 이해. 인간과 복지
Goldenberg, I. & Goldenberg, H.(2000). Family Therapy an Overview. California: Pacific Grove, Brooks/Cole Press
키워드
추천자료
[사회복지]취업모와 비취업모의 취업여성에 대한 태도와 가족기능수행
사회복지 프로그램 계획서 -기러기 아빠와 그가족을 위한 가족기능강화 프로그램 자료
[가족복지론] 알코올가족(알콜중독가족)의 서비스 현황 및 자녀의 역기능적 역할 수행, 강점관점
현대의 새로운 가족의 정의와 그에 따른 가족복지의 변화와 필요성에 관해 서술하시오
가족복지의 필요성과 가정폭력의 특성
가족복지의 필요성과 가정폭력의 특성
현대의 새로운 가족의 정의와 그에 따른 가족복지의 변화와 필요성
가족복지 분야와 지역사회의 연계 필요성에 관하여 생각해보고 실천적 측면에서의 자원으로서...
가족복지의 목표와 기능
가족복지적관점에서 심청가족의 어려움과 문제들이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심청이가...
가족기능강화 프로그램 결과보고서 <사회복지 공동모금회 실제 선정 자료>
이주여성가정의 사회적응을 위한 가족기능강화프로그램(이주여성프로그램, 이주여성가정프로...
사회복지개론_아동, 청소년, 장애인, 여성, 가족복지 중 택일하여 개념 및 필요성을 제시하고...
아동, 청소년, 장애인, 여성, 가족복지 중 택일하여 개념 및 필요성을 제시하고 그들을 위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