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성적계수(COPH)의 결정
● 전열 매체와 전달 온도의 범위에 대한 열펌프 성능 곡선의 작성
● 증기 압축 사이클의 압력-엔탈피(P-h diagram)를 그리고, 이상 사이클(Ideal cycle)과
● 기화 및 응축 온도가 변할 때의 R-12의 상태량들에 기초한 열펌프 성능곡선 작성
실험에서 구한 압력 값들에 101(대기압)을 더해서 절대 압력을 구한다.
● 성적계수(COPH) =
● 오차원인 분석 및 고찰
● 결론
● 전열 매체와 전달 온도의 범위에 대한 열펌프 성능 곡선의 작성
● 증기 압축 사이클의 압력-엔탈피(P-h diagram)를 그리고, 이상 사이클(Ideal cycle)과
● 기화 및 응축 온도가 변할 때의 R-12의 상태량들에 기초한 열펌프 성능곡선 작성
실험에서 구한 압력 값들에 101(대기압)을 더해서 절대 압력을 구한다.
● 성적계수(COPH) =
● 오차원인 분석 및 고찰
● 결론
본문내용
1)으로 갈 때 압력 강하가 발생하였고, (1)지점에서 (2)지점으로 갈 때 등엔트로피 압축이 아님을 P-h 선도에 작도된 cycle을 봄으로써 알 수 있다.그러므로 실험으로 구한 P-h선도와 이상 사이클 간의 오차는 물이 증발기를 지날 때 우리가 가정한 것과는 달리 압력강하가 일어나서 (P1≠ P4) 그리고 물이 Compressor 로부터 일을 받을 때 등 엔트로피 압축이 일어나지 않았기 때문에 (S1≠ S2) 이기 때문에 발생한 것이다.
결론
이번 실험을 통해서 가장 많이 배운 것은 열펌프를 지나는 유체의 각 지점에서 온도와 압력 값을 알면, 그 유체의 P-h 선도를 통해 Cycle을 그려 볼 수 있고 그를 통해 각 지점에서의 엔탈피를 쉽게 알 수 있다는 것이다.
즉, 그 유체의 열역학 data table을 찾아보면 더 정확한 엔탈피 값을 구할 수는 있지만 보간법을 통해서 특정 온도나 압력에 해당하는 엔탈피를 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하지만 이번에 연습해 본 P-h 선도로부터 엔탈피를 구하는 방법은 정확한 값을 구하는 대는 무리가 있지만, P-h 선도에 직접 열역학 사이클을 그려볼 수 있고 비교적 손쉽게 엔탈피를 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결론
이번 실험을 통해서 가장 많이 배운 것은 열펌프를 지나는 유체의 각 지점에서 온도와 압력 값을 알면, 그 유체의 P-h 선도를 통해 Cycle을 그려 볼 수 있고 그를 통해 각 지점에서의 엔탈피를 쉽게 알 수 있다는 것이다.
즉, 그 유체의 열역학 data table을 찾아보면 더 정확한 엔탈피 값을 구할 수는 있지만 보간법을 통해서 특정 온도나 압력에 해당하는 엔탈피를 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하지만 이번에 연습해 본 P-h 선도로부터 엔탈피를 구하는 방법은 정확한 값을 구하는 대는 무리가 있지만, P-h 선도에 직접 열역학 사이클을 그려볼 수 있고 비교적 손쉽게 엔탈피를 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