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초비요 자소紫蘇 박하 계소 목적 부평 창이자 천마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본초비요 자소紫蘇 박하 계소 목적 부평 창이자 천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자소

박하

계소

목적

부평

창이자

천마

본문내용

태운 연기는 모기를 물리친다.
紫背者良。
자배부평이 좋다.
蒼耳子
창이자
一名 菓耳,詩卷耳 輕,發汗,散風濕.
창이자는 일명 과이인데 시권이이다. 경제며 발한하며 풍습사를 발산한다.
甘苦性溫。
창이자는 감고미로 온성이다.
善發汗散風濕,上通腦頂,下行足膝,外達皮膚。
창이자는 잘 발한하며 풍습사를 발산하며 위로 두뇌와 정수리에 통하며 아래로 발과 무릎을 운행하며 밖으로 피부에 도달한다.
治頭痛目暗,齒痛鼻淵,肢攣痛,瘡疥.
창이자는 두통과 눈이 침침함과 치통과 비연과 사지 연축과 마비통증과 나력창개를 치료한다.
(采根葉熬,名萬應膏).
창이자는 뿌리와 잎을 채집하여 졸이면 만응고라고 이름한다.
遍身瘙.
창이자는 온 몸의 소양감을 치료한다.
(作浴湯佳)。
창이자를 목욕탕용으로 만들어도 좋다.
去刺,酒拌蒸。忌肉.
창이자 가시를 제거하고 술에 섞어서 찐다. 창이자는 돼지고기를 금기한다.
(《聖惠方》云葉搗汁,治後痢)。
성혜방에서 말하길 창이 잎을 찧은 즙으로 산후 이질을 치료한다고 했다.
天麻
천마
宣,祛風.
천마는 선제로 풍사를 제거한다.
辛溫,入肝經氣分。
천마는 신미 온기로 간경 기분에 들어간다.
益氣陰,通血脈,筋力,疏痰氣。
천마는 기를 더하며 음을 강하게 하며 혈맥을 소통케 하며, 근력을 강하게 하며 담기를 성글게 한다.
治諸風眩掉,頭旋眼黑,語言不遂,風濕*(音頑),小兒驚.
천마는 여러 풍으로 현기증과 흔들리며 머리가 돌고 눈이 캄캄하고 말을 제대로 못하며 풍습비와 소아의 경기와 간질을 치료한다.
(諸風掉眩,皆屬肝木。肝病不能榮筋,故見前症。天麻入厥陰而治諸疾,肝氣和平,諸疾自)。
여러 풍으로 흔들리고 현기증이 남은 모두 간목에 속한다. 간병은 근을 영양하지 못하므로 앞의 증상이 나타난다. 천마는 궐음에 들어가 여러 질병을 치료하니 간기가 화평하면 여러 질병이 스스로 낫는다.
血液衰少及類中風者忌用.
혈액이 쇠약하고 적은 유중풍에 천마의 사용을 금기한다.
(風藥能燥血故也。按風藥中須兼養血藥,制其燥也。養血藥或兼搜風藥,宣其滯也。古雲;治風先治血,血行風自滅)。
풍을 치료하는 약은 혈을 건조하게 하기 때문이다.
根類黃瓜,莖名赤箭,有風不動,無風反搖,一名定風草。
천마뿌리는 황과와 유사하며 줄기는 적전이라고 이름하니 바람이 있으면 움직이지 않고 바람이 없으면 반대로 흔들리니 일명 정풍초이다.
明亮堅實者佳,濕紙包熟,切片,酒浸一宿焙用。
밝고 단단하고 실한 천마가 좋고, 습지에 싸서 구워 익혀서 절편을 하며 술로 하룻밤 담가서 약한 불로 사용한다.

키워드

본초비요왕앙,   자소,   박하,   계소,   부평,   창이자,   천마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9.06.08
  • 저작시기2009.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018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