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순) 구리의 재결정 온도는 얼마인가?
Ⅱ. (순) 구리의 애칭액은 어떤 것이 있는가?
Ⅲ. (순) 구리의 미세조직을 조사하라.
Ⅱ. (순) 구리의 애칭액은 어떤 것이 있는가?
Ⅲ. (순) 구리의 미세조직을 조사하라.
본문내용
Report
학과 : 金屬材料科
과목 : 금속가공학실습
담당교수 : 강우승
학번 : 200607010
소속 : 2학년 A반
성명 : 김성철
목 차
Ⅰ. (순) 구리의 재결정 온도는 얼마인가?
Ⅱ. (순) 구리의 애칭액은 어떤 것이 있는가?
Ⅲ. (순) 구리의 미세조직을 조사하라.
Ⅰ. (순) 구리의 재결정 온도는 얼마인가?
※ 재결정온도(Recrystalization Temprature) 정의
소성 변형 된 금속이 가열되면서 재결정화가 되기 시작할 때의 온도.
다시 말해서 재결정이란 "Recrystalization" 이라고 합니다. 이는 재료를 가공하여 가공응력이 생기고 조직이 바뀝니다. 이를 일정온도로 재가열 해주고 유지하면 다시 핵이 생성되며 다시 결정립계가 형성 되는 것을 재결정 이라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순금속의 경우 재결정온도는 재료의 용융점과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용융점에 3.5를 나누면 대부분 재결정 온도가 되는데 용융점이 높으면 재결정 온도가 높아지고, 용융점이 낮으면 재결정온도 또한 낮아집니다.
C.F) 재결정온도(℃) = 용융점(℃) 3.5
※ 몇 가지 금속을 조사 했습니다.
철 : 350℃ ~ 450℃
텅스텐 : 1000℃
몰리브덴 : 900℃
니켈 : 530℃ ~ 660℃
백금 : 350℃ ~ 450℃
구리 : 200~300℃
은,금 : 200℃
알루미늄 : 150℃ ~ 240℃
마그네슘 : 150℃
아연 : 5℃ ~ 25℃
납 : 0℃ ~ 3℃
주석 : 7℃ ~ 25℃
Ⅱ. (순) 구리의 애칭액은 어떤 것이 있는가?
대상 재료
애칭액
애칭 조건
Copper and Alloy
Klemm’s I reagent :
50mL sat. aq. sodium thiosulfate 1g potassium metabsulfite
b -brass 3min
이상 침적
a -brass 60min
이상 침적
Klemm’s II reagent :
50mL sat. aq. sodium thiosulfate 5g potassium metabsulfite
a -brass 6-8min
이상 침적
Klemm’s III reagent :
50mL sat. aq. sodium thiosulfate 5g potassium metabsulfite
Bronze alloy
에 대해 305min 침적
※ 그 밖의 Cu 애칭액
① 염화제2철 (가장 많이 쓰인다.)
흡습성이 있는 황갈색 결정 또는 덩어리로 된 강화제이다. 화학식은 FeCl3·6H2O이다.
② 메탄올 98% - 질산 2%
③ 메탄올 90% - 질산 10% (가장 많이 쓰인다.)
Ⅲ. (순) 구리의 미세조직을 조사하라.
Nominal Composition:
Cu 99.99%
① 구리합금 조직사진 참고자료
② 구리합금 조직사진 참고자료
Description : Longitudinal section
③ 구리합금 조직사진 참고자료
Description : Transverse section
④ 구리합금 조직사진 참고자료
Description : Longitudinal section
⑤ 구리합금 조직사진 참고자료
Description : Transverse section
학과 : 金屬材料科
과목 : 금속가공학실습
담당교수 : 강우승
학번 : 200607010
소속 : 2학년 A반
성명 : 김성철
목 차
Ⅰ. (순) 구리의 재결정 온도는 얼마인가?
Ⅱ. (순) 구리의 애칭액은 어떤 것이 있는가?
Ⅲ. (순) 구리의 미세조직을 조사하라.
Ⅰ. (순) 구리의 재결정 온도는 얼마인가?
※ 재결정온도(Recrystalization Temprature) 정의
소성 변형 된 금속이 가열되면서 재결정화가 되기 시작할 때의 온도.
다시 말해서 재결정이란 "Recrystalization" 이라고 합니다. 이는 재료를 가공하여 가공응력이 생기고 조직이 바뀝니다. 이를 일정온도로 재가열 해주고 유지하면 다시 핵이 생성되며 다시 결정립계가 형성 되는 것을 재결정 이라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순금속의 경우 재결정온도는 재료의 용융점과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용융점에 3.5를 나누면 대부분 재결정 온도가 되는데 용융점이 높으면 재결정 온도가 높아지고, 용융점이 낮으면 재결정온도 또한 낮아집니다.
C.F) 재결정온도(℃) = 용융점(℃) 3.5
※ 몇 가지 금속을 조사 했습니다.
철 : 350℃ ~ 450℃
텅스텐 : 1000℃
몰리브덴 : 900℃
니켈 : 530℃ ~ 660℃
백금 : 350℃ ~ 450℃
구리 : 200~300℃
은,금 : 200℃
알루미늄 : 150℃ ~ 240℃
마그네슘 : 150℃
아연 : 5℃ ~ 25℃
납 : 0℃ ~ 3℃
주석 : 7℃ ~ 25℃
Ⅱ. (순) 구리의 애칭액은 어떤 것이 있는가?
대상 재료
애칭액
애칭 조건
Copper and Alloy
Klemm’s I reagent :
50mL sat. aq. sodium thiosulfate 1g potassium metabsulfite
b -brass 3min
이상 침적
a -brass 60min
이상 침적
Klemm’s II reagent :
50mL sat. aq. sodium thiosulfate 5g potassium metabsulfite
a -brass 6-8min
이상 침적
Klemm’s III reagent :
50mL sat. aq. sodium thiosulfate 5g potassium metabsulfite
Bronze alloy
에 대해 305min 침적
※ 그 밖의 Cu 애칭액
① 염화제2철 (가장 많이 쓰인다.)
흡습성이 있는 황갈색 결정 또는 덩어리로 된 강화제이다. 화학식은 FeCl3·6H2O이다.
② 메탄올 98% - 질산 2%
③ 메탄올 90% - 질산 10% (가장 많이 쓰인다.)
Ⅲ. (순) 구리의 미세조직을 조사하라.
Nominal Composition:
Cu 99.99%
① 구리합금 조직사진 참고자료
② 구리합금 조직사진 참고자료
Description : Longitudinal section
③ 구리합금 조직사진 참고자료
Description : Transverse section
④ 구리합금 조직사진 참고자료
Description : Longitudinal section
⑤ 구리합금 조직사진 참고자료
Description : Transverse section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