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활상담과 재활사회복지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재활상담이란?

♧ 재활사회복지사란?
1. 재활상담의 기초
2. 재활사회사업의 실천과정 : 포괄적 강화실천 수행 모델

본문내용

상쇄시킬 만한 접근방법 사이에서는 절충을 시
도해서는 안된다는 점이다(황응연 외, 1984). 또한 Thorne (1950)은 여러 가지
이론을 절충하여 하나의 통일된 이론 체계를 수립할 때 다음과 같은 구체적 단
계를 거치도록 권하고 있다(김충기, 1985 재인용).
ㄱ. 알려져 있는 모든 상담과 심리치료 이론을 수집하여 정리한다.
ㄴ. 각각의 상담방법이 실제로 어떻게 사용되고 이쓴지 조작적이고 행동적인
양식으로 기술한다.
ㄷ. 각각의 상당방법에 포함되어 있는 심리적 역동성을 분석한다.
ㄹ. 각 상담방법에 내표되어 있는 성격병리 또는 행동병리에 대한 실험 및 임
상연구를 통하여 타당성을 검토하여 하나의 종합적 행동병리 체계를 수립한다.
ㅁ. 각각의 상담방법이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문제와 적용해도 별다른
효과가 없는 문제를 명백하게 확인한다.
ㅂ. 논리적으로 타당하고 경험적으로 유용한 기준을 설정하여 상담효과를 측
정할 수 있도록 한다.
ㅅ. 상담이 실제에 적용되었을 경우 그 효과에 대한 검증과 실험 연구를 한다.
ㅇ. 진단과 상담방법의 적용이 이루어졌으면 상담의 최초 단계에서 최종 단계
까지 예측하고 통제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절충적 접근을 통해 부적응행동의 원인을 광범위하게 취급하고 하나의
이론에 관련된 독단과 과오를 극소화할 수 있다. 또한 문제유형에 따라 가장
효과적인 방법을 선택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상담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 참고문헌:
공석영(1984). 생활지도상담론. 서울: 학문사.
김계현(1990). 카운슬링의 실제. 서울: 성원사.
김충기(1985). 현대사회의 생활지도 교육. 서울: 학문사.
이장호·김정희(1992). 집단상담의 원리와 실제. 서울: 법문사.
이형득·김선남·김성회·신완수·이성태·이수룡(1984). 상담의 이론적 접근. 서울: 형설
출판사.
정원식·박성수(1978). 카운슬링의 원리. 서울: 교학사.
황응연·윤희준(1984). 현대생활지도이론. 서울: 교육출판사.
Colby, K.M.(1951). A Primer for Psychotherapists. New York: John Wiley & Sons.
(홍성화, 안향림 역(1987). 정신치료입문. 서울: 성원사.)
Corey, G.(Ed.).(1986). Theory and Practice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3rd
ed.). Monterey, California: Brooks/Cole Publishing Company.
(김충기, 김현옥 역(1991). 상담과 심리치료의 이론과 실제. 서울: 성원사.)
Corey, M.S., & Corey, G.(1992). Groups: Process and Practice(4th ed.). Mon
terey, California: Brooks/Cole Publishing Company.
Corsini, R.J.(Ed.).(1979). Current Psychotherapies(2nd ed.). Itasca, Illinois: F.E.
Peacokc Publischers.
(김정희, 이장호 역(1992). 현대심리치료.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Delaney, D.J., & Eisenberg, S.(1971). The Counseling Process. Chicago: Rand
McNally.
Egan, G.(1982). The Skilled Helper. California: Brooks/Cole Publishing Company.
George, R.L. & Cristiani, T.S.(1981). Theory, Methods, and Processes of Counse
ling and Psychotherapy.
(김충기, 이재창 역(1985). 상담과 심리치료 - 이론·방법·과정. 서울:교육과학사.)
Gilliland, B.E., James, R.K., Roberts, G.T., & Bowman, J.T.(1983). Theo
ries and Strategies in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New Jersey: Prentice-Hall.
(장혁표, 신경일 역(1993). 상담과 심리치료의 이론 및 실제. 서울: 교육과학사.)
Hansen, J.C., Warner, R.W., & Smith, E.J.(1976). Group Counseling: Theory and
Process. Chicago: Rand McNally.
(김현수 역(1989). 집단 카운슬링 - 이론과 과정. 서울: 민지사.)
Patterson, C.H.(1966). Theories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New York:
Harper & Row.
(이관용, 이장호 역(1982). 카운셀링과 심리치료의 이론과 실제. 서울: 대한교과서주
식회사.)
Rogers, C.R.(1942).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Boston: Houghton Mifflin.
(김기석 역(1972). 상담과 심리치료. 서울: 중앙적성연구소.)
Rogers, C.R.(1970). On Encounter Groups. New York: Harper & Row.
(한국인성개발연구회 역(1983). 엔카운터 그룹 - 인간신뢰의 원점을 찾아서. 서울:
인간연합.)
Shertzer, B., & Stone, S.C.(1976). Fundamentals of Guidance(3rd ed.). Boston:
Houghton Mifflin Company.
Ward, D.E.(1984). Termination of individual counseling: Concepts and strategies.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63, 21-25.
Yalom, I.D.(1985). The Theory and Practice of Group Psychotherapy(3rd ed.). New
York: Basic Books.
(최해림, 장성숙 역(1993). 집단정신치료의 이론과 실제. 서울: 하나의학사.)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28페이지
  • 등록일2009.06.10
  • 저작시기2007.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053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