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 1 장 천안의 지역특징과 역사 3
1. 천안의 역사 3
-. 천안시의 변천사 시대별 간략한 요약 3
2. 천안의 지역특징 4
-. 천안시의 위치 4
-. 천안시의 통계 4
-. 천안시의 지형과 지세 5
제 2 장 천안의 기후적 특징 6
-. 바람장미를 통한 풍향 간략한 분석
제 3 장 천안의 기후자료 분석 7
1. 천안의 10년 평균자료 분석 2
2. 천안의 30년 평균자료 분석 2
제 4 장 천안과 울진 기후자료 비교 16
제 5 장 느낀점 23
제 6 장 참고문헌 및 기타자료
1. 천안의 역사 3
-. 천안시의 변천사 시대별 간략한 요약 3
2. 천안의 지역특징 4
-. 천안시의 위치 4
-. 천안시의 통계 4
-. 천안시의 지형과 지세 5
제 2 장 천안의 기후적 특징 6
-. 바람장미를 통한 풍향 간략한 분석
제 3 장 천안의 기후자료 분석 7
1. 천안의 10년 평균자료 분석 2
2. 천안의 30년 평균자료 분석 2
제 4 장 천안과 울진 기후자료 비교 16
제 5 장 느낀점 23
제 6 장 참고문헌 및 기타자료
본문내용
진
1
1.9
6
11.9
16.1
19
22.9
23.8
19.8
14.9
9
3.6
연중 난류가 흐르는 지역인 울진은 해양의 영향을 받는 기후지역이라서 연중 평균기온이 영하로 내려가지 않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반면에 천안은 내륙지역이라서 일 년 중 세 달 가량이 영하의 기온을 보이고 있다.
여름에는 천안이 평균기온대가 높고, 울진은 여름을 제외한 다른 계절에서는 평균기온이 높은 것으로 보아 두 지역간의 이러한 결과는 수륙분포의 영향이라고 할 수 있지만 지형적인 요인도 큰 영향을 미친다. 태백산맥의 동쪽에 위치하는 울진은 겨울철 차가운 북서계절풍의 영향을 덜 받는다. 이러한 이유로 겨울에 서쪽에 위치한 천안보다 기온이 온화한 것을 알 수 있다.
◈. 30년 기후자료 : 최고 기온 비교
◈. 30년 기후자료 : 최저 기온 비교
◈. 30년 기후자료 : 평균 풍속 비교
평균풍속은 울진이 천안보다 매우 빠른 것을 알 수 있었다. 우리나라의 동해안지방은 해풍으로 인해 바람이 거칠게 부는 것이 특징인데 울진 역시 이러한 특성을 잘 반영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었다.
◈. 30년 기후자료 : 평균 강수량 비교
울진의 겨울철 강수량이 천안보다 많은 것은 겨울철에 천안보다 울진에 강설량이 더 많은 것으로 사려된다.
울진은 비교적 기복이 작은 연평균강수량을 형태를 보이는 반면, 천안은 여름철에 강수량이 많이 집중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우리나라는 편서풍대에 속해 있어 구름이 서쪽에서 동쪽으로 이동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울진은 태백산맥에 가로막혀 구름을 등지고 있는 형세이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평균강수량의 평균도 천안보다 낮음을 알 수 있다.
◈. 30년 기후자료 : 평균 습도 비교
위의 그래프를 보면 천안에 비해서 울진의 평균습도가 여름철을 제외하면 낮은 편임을 알 수 있다. 여름에는 천안보다 평균습도가 높게 올라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동해안에 위치한 울진이 겨울철 북서 계절풍의 영향을 아주 적게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는 지표이다.
◈. 30년 기후자료 : 평균 일조시간 비교
◈. 30년 기후자료 : 평균 운량 비교
평균 일조시간과 평균 운량은 비교적 변동이 심한 기후요소라서 분석하기가 어려웠다.
여름철에 평균 일조시간은 천안과 울진 모두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태풍과 장마의 영향을 받음으로써 강수량이 많은 여름철이기 때문에 태양고도가 높다고 하더라도 운량이 많기 때문에 일조시간이 감소할 수 밖에 없다. 평균운량은 역시 두 곳 모두 증가하는 모습을 알 수 있었다. 여름철의 평균일조시간과 평균운량은 천안과 울진 뿐만이 아니라 우리나라 모든 지역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다.
◈. 30년 기후자료 : 평균 안개지속시간 비교
평균안개지속시간
1
2
3
4
5
6
7
8
9
10
11
12
천안
12.5
5.5
7.9
5.9
8.6
8.7
9.4
9.7
17.1
16.7
17.8
9.3
울진
11.5
10.3
9.6
6.9
10.7
33
23
11.3
3.7
3.6
3.7
12.7
충주
11.9
9.9
9.6
10.9
11.5
15.8
15.6
18.6
47.8
67.1
55.6
28.6
천안은 비교적 안개지속시간이 평이한 것으로 드러났다. 울진은 비교적 타지역에 비해 해양의 영향을 많이 받을 뿐만 아니라, 여름철 온도 또한 다른 지역보다 낮기 때문에 안개지속시간이 긴 것으로 사려된다.
충주는 특이점이 있는 지역이라서 한번 같이 비교를 해보게 되었다. 댐이 지어져 있는 충주는 늦가을에 안개의 지속시간이 상당히 긴 것으로 분석이 되는데, 이는 충주호의 영향이 큰 것으로 알 수 있었다.
제 5 장 느낀점
사실 이번 기후학 과제를 처음 접하게 되었을 때, 생각해 두었던 지역이 있었다. 원래는 경상남도 진주시를 하고 싶었으나, 내가 해당되는 순서에는 과제선정지역이 충청도로 묶이면서 천안을 택하였다.
사실 과제를 진행하면서 우리나라의 기후 특성에 대해 숙지가 되지 않으면 분석 조차 할 수 없다는 것을 뼈저리게 느꼈다.
그래프나 그림자료, 통계자료를 보면서 아예 몰랐던 수준에서 조금씩 이해가 되는 수준으로 올라서는 듯한 나를 발견할 수 있어서 너무 뜻 깊은 과제였다고 총평하고 싶다.
우리나라의 전반적인 기후 특성과 더불어 내가 설정한 천안의 기후 특성을 파악하는데 많은 요인들을 생각해 볼 수 있는 시간을 가졌으며 기후인자가 기후에 미치는 영향, 기후인자로 인한 국지적인 기후 차이 등 많은 것을 생각하고 파악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내가 대충 이론적으로만 생각하여 예상하던 기후데이터가 아닌 경우도 많아 조금은 당황스러운 경우도 있었다. 예를 들자면 푄현상을 알 수 있을거라고 생각해서 충청도의 북부지역인 천안을 설정했었는데, 기온분포 데이터를 봐서는 제대로 알 수가 없었다. 일시적으로 잠깐 나타나는 현상이라서 그런지 월별로 나오는 평균통계자료로는 도저히 알 수 없었다. 이 점이 데이터를 분석하면서 가장 아쉬웠던 점이다.
하지만, 그럴수록 더 많은 요인들과 다른 영향 등 여러 가지 측면에서 생각해보게 되었고 그 결과 남는 것도 얻은 것도 많은 자료조사였다.
또한 쉽게만 생각했던 자료 정리가 만만치 않다는 것을 느꼈다. 그러나 어려웠던 만큼 참 많은 것을 얻었다고 생각한다. 이번 자료조사를 통해 수업시간에 배웠던 내용을 이해하는 많은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한다. 어느덧 한 학기가 한 달도 채 남지 않은 시점까지 왔다. 수업시간에 배운 내용을 모두 내 것으로 만들기 위해 남은 기간 동안에도 더 열심히 공부하고 노력 해야겠다.
제 6 장 참고도서, 참고사이트
◎ 참고 사이트
- 기상청 http://www.kma.go.kr
- http://www.w365.com/korea
- 대전지방기상청 http://daejeon.kma.go.kr/
- 천안시청 http://www.cheonan.go.kr
◎ 참고도서
- 권혁재, [한국지리], 법문사, (2003)
- 권혁재, [자연지리학]<제2판>, 법문사, (2006)
- 이승호, [기후학], 푸른길, (2007)
◎ 참고문헌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2003)
지형적 특징이 해풍시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pp.757-772
1
1.9
6
11.9
16.1
19
22.9
23.8
19.8
14.9
9
3.6
연중 난류가 흐르는 지역인 울진은 해양의 영향을 받는 기후지역이라서 연중 평균기온이 영하로 내려가지 않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반면에 천안은 내륙지역이라서 일 년 중 세 달 가량이 영하의 기온을 보이고 있다.
여름에는 천안이 평균기온대가 높고, 울진은 여름을 제외한 다른 계절에서는 평균기온이 높은 것으로 보아 두 지역간의 이러한 결과는 수륙분포의 영향이라고 할 수 있지만 지형적인 요인도 큰 영향을 미친다. 태백산맥의 동쪽에 위치하는 울진은 겨울철 차가운 북서계절풍의 영향을 덜 받는다. 이러한 이유로 겨울에 서쪽에 위치한 천안보다 기온이 온화한 것을 알 수 있다.
◈. 30년 기후자료 : 최고 기온 비교
◈. 30년 기후자료 : 최저 기온 비교
◈. 30년 기후자료 : 평균 풍속 비교
평균풍속은 울진이 천안보다 매우 빠른 것을 알 수 있었다. 우리나라의 동해안지방은 해풍으로 인해 바람이 거칠게 부는 것이 특징인데 울진 역시 이러한 특성을 잘 반영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었다.
◈. 30년 기후자료 : 평균 강수량 비교
울진의 겨울철 강수량이 천안보다 많은 것은 겨울철에 천안보다 울진에 강설량이 더 많은 것으로 사려된다.
울진은 비교적 기복이 작은 연평균강수량을 형태를 보이는 반면, 천안은 여름철에 강수량이 많이 집중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우리나라는 편서풍대에 속해 있어 구름이 서쪽에서 동쪽으로 이동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울진은 태백산맥에 가로막혀 구름을 등지고 있는 형세이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평균강수량의 평균도 천안보다 낮음을 알 수 있다.
◈. 30년 기후자료 : 평균 습도 비교
위의 그래프를 보면 천안에 비해서 울진의 평균습도가 여름철을 제외하면 낮은 편임을 알 수 있다. 여름에는 천안보다 평균습도가 높게 올라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동해안에 위치한 울진이 겨울철 북서 계절풍의 영향을 아주 적게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는 지표이다.
◈. 30년 기후자료 : 평균 일조시간 비교
◈. 30년 기후자료 : 평균 운량 비교
평균 일조시간과 평균 운량은 비교적 변동이 심한 기후요소라서 분석하기가 어려웠다.
여름철에 평균 일조시간은 천안과 울진 모두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태풍과 장마의 영향을 받음으로써 강수량이 많은 여름철이기 때문에 태양고도가 높다고 하더라도 운량이 많기 때문에 일조시간이 감소할 수 밖에 없다. 평균운량은 역시 두 곳 모두 증가하는 모습을 알 수 있었다. 여름철의 평균일조시간과 평균운량은 천안과 울진 뿐만이 아니라 우리나라 모든 지역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다.
◈. 30년 기후자료 : 평균 안개지속시간 비교
평균안개지속시간
1
2
3
4
5
6
7
8
9
10
11
12
천안
12.5
5.5
7.9
5.9
8.6
8.7
9.4
9.7
17.1
16.7
17.8
9.3
울진
11.5
10.3
9.6
6.9
10.7
33
23
11.3
3.7
3.6
3.7
12.7
충주
11.9
9.9
9.6
10.9
11.5
15.8
15.6
18.6
47.8
67.1
55.6
28.6
천안은 비교적 안개지속시간이 평이한 것으로 드러났다. 울진은 비교적 타지역에 비해 해양의 영향을 많이 받을 뿐만 아니라, 여름철 온도 또한 다른 지역보다 낮기 때문에 안개지속시간이 긴 것으로 사려된다.
충주는 특이점이 있는 지역이라서 한번 같이 비교를 해보게 되었다. 댐이 지어져 있는 충주는 늦가을에 안개의 지속시간이 상당히 긴 것으로 분석이 되는데, 이는 충주호의 영향이 큰 것으로 알 수 있었다.
제 5 장 느낀점
사실 이번 기후학 과제를 처음 접하게 되었을 때, 생각해 두었던 지역이 있었다. 원래는 경상남도 진주시를 하고 싶었으나, 내가 해당되는 순서에는 과제선정지역이 충청도로 묶이면서 천안을 택하였다.
사실 과제를 진행하면서 우리나라의 기후 특성에 대해 숙지가 되지 않으면 분석 조차 할 수 없다는 것을 뼈저리게 느꼈다.
그래프나 그림자료, 통계자료를 보면서 아예 몰랐던 수준에서 조금씩 이해가 되는 수준으로 올라서는 듯한 나를 발견할 수 있어서 너무 뜻 깊은 과제였다고 총평하고 싶다.
우리나라의 전반적인 기후 특성과 더불어 내가 설정한 천안의 기후 특성을 파악하는데 많은 요인들을 생각해 볼 수 있는 시간을 가졌으며 기후인자가 기후에 미치는 영향, 기후인자로 인한 국지적인 기후 차이 등 많은 것을 생각하고 파악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내가 대충 이론적으로만 생각하여 예상하던 기후데이터가 아닌 경우도 많아 조금은 당황스러운 경우도 있었다. 예를 들자면 푄현상을 알 수 있을거라고 생각해서 충청도의 북부지역인 천안을 설정했었는데, 기온분포 데이터를 봐서는 제대로 알 수가 없었다. 일시적으로 잠깐 나타나는 현상이라서 그런지 월별로 나오는 평균통계자료로는 도저히 알 수 없었다. 이 점이 데이터를 분석하면서 가장 아쉬웠던 점이다.
하지만, 그럴수록 더 많은 요인들과 다른 영향 등 여러 가지 측면에서 생각해보게 되었고 그 결과 남는 것도 얻은 것도 많은 자료조사였다.
또한 쉽게만 생각했던 자료 정리가 만만치 않다는 것을 느꼈다. 그러나 어려웠던 만큼 참 많은 것을 얻었다고 생각한다. 이번 자료조사를 통해 수업시간에 배웠던 내용을 이해하는 많은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한다. 어느덧 한 학기가 한 달도 채 남지 않은 시점까지 왔다. 수업시간에 배운 내용을 모두 내 것으로 만들기 위해 남은 기간 동안에도 더 열심히 공부하고 노력 해야겠다.
제 6 장 참고도서, 참고사이트
◎ 참고 사이트
- 기상청 http://www.kma.go.kr
- http://www.w365.com/korea
- 대전지방기상청 http://daejeon.kma.go.kr/
- 천안시청 http://www.cheonan.go.kr
◎ 참고도서
- 권혁재, [한국지리], 법문사, (2003)
- 권혁재, [자연지리학]<제2판>, 법문사, (2006)
- 이승호, [기후학], 푸른길, (2007)
◎ 참고문헌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2003)
지형적 특징이 해풍시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pp.757-7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