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은 의사소통 문제가 가장 비중이 컸으며 그 다음으로는 가치관의 차이, 생활방식의 차이, 상호간의 이해 부족, 편애, 지나친 간섭, 등의 순으로 갈등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남명숙(1999)은 손자녀를 양육하면서 속상함이나 답답함을 느낄 때 조부모들이 참고 넘어가든지 자녀나 손자녀에게 화를 내는 경우가 많고, 이에 대해서 전문가와 상담하는 경우는 부모세대 결손가족의 손자녀 양육조부모가 많아 상대적으로 더 절박한 상황에 있다고 하였다.
7) 사회적 지지
사회적 지지란 타인과의 의미 있는 상호작용의 결과로 얻게 되는 긍정적인 모든 자원을 말하는 것으로 개인의 심리적 적응을 돕고, 좌절을 극복하게 해주며, 문제해결의 도전을 받아들이는 능력을 강화하고, 심리적 스트레스 해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개인의 발달을 증진시키고 발달단계에 따른 과업을 성취하도록 도울 뿐만 아니라 정신적 증상을 예측할 수 있으며 정신질환에 대한 노출에서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허재경&김유숙, 2005).
조손가정 조부모들은 손자녀를 양육함으로써 사회적 고립을 경험한다. 사회적 지지 부족은 조부모에게 이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조부모들이 슬픔과 상실의 문제를 해결하려고 할 때 사회적으로 고립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Schwartz, 1994), 적응문제로 위험에 자주 노출되는 손자녀에게 지지를 제공해야 하는 상황에서 스트레스를 받기 때문이다(Burton, 1992; Minkler et al., 1992). 사회적 지지망이 큰 노인은 작은 노인들보다 생활상의 어려움이 직면했을 때에 주위에서 도와줄 수 있는 사람들이 많기 때문에 전반적인 정신 상태와 생활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Chi &Chou, 2001). 실제 정란(2002)의 연구에 따르면, 조부모들은 비슷한 처지에 있는 사람들과 만나 이야기를 하고자 하는 조부모가 65%로 나타나 조부모들이 같은 문제로 이야기를 나눌 대상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사회환경적 요인은 손자녀에게도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 선행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아동과 청소년기에 경험한 사회적 지지는 스트레스로부터 아동과 청소년을 보호하는 기능을 하여 생애 스트레스의 부정적 영향을 완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Cauver et all., 1989). 조손가정에 지지프로그램을 제공한 이후에 아동의 학교생활 적응과 학업성취도가 향상되었다(Edward, 1998)는 연구 결과가 있다.
■참 고 문 헌■
1. 김미혜, 김혜선(2004), “조손가족 손자녀의 정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조부모 관련 요인 연구”, 한국노년학회 추계학술대회, 196-217.
2. 김미혜, 김혜선(2004), “저소득층 조손가족 조부모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한국노년학』24(3), 153-170.
김혜선, “조손가족 조부모의 양육태도와 양육스트레스가 손자녀 적응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아동복지학』, 18, 85-117.
3. 성지혜(2001), “빈곤한 조부모손자녀세대 아동의 우울 및 불안에 관한 연구-지역사회복지관 서비스 대상자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이경은, 주소희(2005), “이혼 후 자녀양육에 있어서 부모보호와 조부모 보호아동간의 심리행동적응요인비교 연구”, 『한국아동복지학』, 20, 35-65.
4. 이화영(2006), “조손가족의 가족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노인복지연구』(2006 여름호, 통권 32호), 한국노인복지학회
5. 정란(2002), “손자·녀 양육 조부모의 자아 존중감 및 의사소통 향상을 위한 부모교육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카돌릭대 사회복지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6. 최혜지(2006), “저소득층 조손가족의 조부모-손·자녀 관계 결정모형에 관한 연구”, 한국학술진흥재단
7. 허재경, 김유숙(2005), “부모애착안정성과 사회적 지지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483-495.
8. 지연경(1991), 내외통제성 및 은퇴로 인한 스트레스 지각과 생활만족도, 대한가정학회
9. Neugarten, B. L., Havighurst, R. J. and Tobin, S. S. (1968), Personality and Patterns of aging, In B. L. Neugarten (Ed.), Middle Age and Aging, Chicago :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0. 국가인권위원회 33호, 일찍 어른이 된 아이들
남명숙(1999)은 손자녀를 양육하면서 속상함이나 답답함을 느낄 때 조부모들이 참고 넘어가든지 자녀나 손자녀에게 화를 내는 경우가 많고, 이에 대해서 전문가와 상담하는 경우는 부모세대 결손가족의 손자녀 양육조부모가 많아 상대적으로 더 절박한 상황에 있다고 하였다.
7) 사회적 지지
사회적 지지란 타인과의 의미 있는 상호작용의 결과로 얻게 되는 긍정적인 모든 자원을 말하는 것으로 개인의 심리적 적응을 돕고, 좌절을 극복하게 해주며, 문제해결의 도전을 받아들이는 능력을 강화하고, 심리적 스트레스 해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개인의 발달을 증진시키고 발달단계에 따른 과업을 성취하도록 도울 뿐만 아니라 정신적 증상을 예측할 수 있으며 정신질환에 대한 노출에서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허재경&김유숙, 2005).
조손가정 조부모들은 손자녀를 양육함으로써 사회적 고립을 경험한다. 사회적 지지 부족은 조부모에게 이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조부모들이 슬픔과 상실의 문제를 해결하려고 할 때 사회적으로 고립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Schwartz, 1994), 적응문제로 위험에 자주 노출되는 손자녀에게 지지를 제공해야 하는 상황에서 스트레스를 받기 때문이다(Burton, 1992; Minkler et al., 1992). 사회적 지지망이 큰 노인은 작은 노인들보다 생활상의 어려움이 직면했을 때에 주위에서 도와줄 수 있는 사람들이 많기 때문에 전반적인 정신 상태와 생활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Chi &Chou, 2001). 실제 정란(2002)의 연구에 따르면, 조부모들은 비슷한 처지에 있는 사람들과 만나 이야기를 하고자 하는 조부모가 65%로 나타나 조부모들이 같은 문제로 이야기를 나눌 대상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사회환경적 요인은 손자녀에게도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 선행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아동과 청소년기에 경험한 사회적 지지는 스트레스로부터 아동과 청소년을 보호하는 기능을 하여 생애 스트레스의 부정적 영향을 완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Cauver et all., 1989). 조손가정에 지지프로그램을 제공한 이후에 아동의 학교생활 적응과 학업성취도가 향상되었다(Edward, 1998)는 연구 결과가 있다.
■참 고 문 헌■
1. 김미혜, 김혜선(2004), “조손가족 손자녀의 정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조부모 관련 요인 연구”, 한국노년학회 추계학술대회, 196-217.
2. 김미혜, 김혜선(2004), “저소득층 조손가족 조부모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한국노년학』24(3), 153-170.
김혜선, “조손가족 조부모의 양육태도와 양육스트레스가 손자녀 적응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아동복지학』, 18, 85-117.
3. 성지혜(2001), “빈곤한 조부모손자녀세대 아동의 우울 및 불안에 관한 연구-지역사회복지관 서비스 대상자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이경은, 주소희(2005), “이혼 후 자녀양육에 있어서 부모보호와 조부모 보호아동간의 심리행동적응요인비교 연구”, 『한국아동복지학』, 20, 35-65.
4. 이화영(2006), “조손가족의 가족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노인복지연구』(2006 여름호, 통권 32호), 한국노인복지학회
5. 정란(2002), “손자·녀 양육 조부모의 자아 존중감 및 의사소통 향상을 위한 부모교육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카돌릭대 사회복지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6. 최혜지(2006), “저소득층 조손가족의 조부모-손·자녀 관계 결정모형에 관한 연구”, 한국학술진흥재단
7. 허재경, 김유숙(2005), “부모애착안정성과 사회적 지지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483-495.
8. 지연경(1991), 내외통제성 및 은퇴로 인한 스트레스 지각과 생활만족도, 대한가정학회
9. Neugarten, B. L., Havighurst, R. J. and Tobin, S. S. (1968), Personality and Patterns of aging, In B. L. Neugarten (Ed.), Middle Age and Aging, Chicago :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0. 국가인권위원회 33호, 일찍 어른이 된 아이들
추천자료
[시스템사고와 창의적사고] 시스템 사고의 이론적 배경 및 원형과 확장, 시스템 사고 언어와 ...
e-learning(이러닝) 현황(이론적 배경, 시장규모, 역사와 발전과정, 시장동향 및 전망 등)
혼합연령 프로그램 - 혼합연령 프로그램의 역사 및 이론적 배경, 혼합연령 프로그램의 특성과...
[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실천모델 - 심리사회적 모델의 이론적 배경과 주요개념 및 사회복...
(사회복지실천기술) 위기개입모델 요약 보고서 (이론적 배경, 개입과정)
사회복지학 - 고용보험제도에 관해서 (고용보험제도의 이론적 배경, 고용보험제도의 체계, 재...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위기개입모델 이론요약 보고서 (이론적 배경, 개입과정)
[사회복지실천론] 인지행동 모델의 개요와 이론적 배경, 실천과정과 적용분야 및 한계점
[범죄와 형벌] 국민참여 재판 {이론적 배경, 절차와 과정, 외국의 사례와 논의점, 법과 정치 ...
[관광문화론 觀光文化論] 인조놀이터 문화의 이론적 배경(대량관광, 종속관계) 및 인조놀이터...
[아동복지론 兒童福祉論] 놀이치료 - 이론적 배경(놀이의 기능, 놀이치료 접근방법과 대상아...
아동발달 특성과 안전관리에 대한 전반적인 이론적 배경과 설명, 실제적인 안전관리 사례를 2...
최근에 이슈가 되는 사회문제 중에 하나를 선택하여 이론적 배경에 맞춰 인과관계를 설명하고...
[생활 속의 경제] 최저임금제의 이론적 배경, 긍정적.부정적 효과, 연혁, 시급 1만원 인상시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