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레시피
밀가루의 종류와발효
이스트,발효와부패의차이
표준스트레이트법,비상스트레이트법
제조과정 (사진포함)
밀가루의 종류와발효
이스트,발효와부패의차이
표준스트레이트법,비상스트레이트법
제조과정 (사진포함)
본문내용
. 탄산가스(이산화탄소)
반죽을 부풀게 하는 데에 이산화탄소가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반죽 내에서 탄산가스를 발생시키는 물질은 생물적 팽창제와 화학적 팽창제가 있습니다.
(1) 이스트
이스트는 반죽 중의 당을 분해하여 이산화탄소와 알콜을 만들어 냅니다.
빵 반죽에 적당한 양의 설탕을 넣어 주면 발효 시간이 빨라지고 , 설탕을 넣지 않을 경우 분해과정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시간이 더 걸립니다.
이스트가 발효하는 데 가장 좋은 온도는 27℃~29℃입니다. 온도가 이보다 높아지면 잡균이 번식을 하여 빵의 질을 떨어뜨립니다. 그렇지만 다른 세균에 의해서도 약간의 가스가 생성되어 팽창을 돕기도 함.
빵을 만드는 데 주로 사용하는 것은 Sacchromyces cerevisiae라는 효모입니다
▶ 제조방법(공정)
▲ 강력분, 생이스트, 반죽계랑기, 설탕, 마가린, 분유, 소금, 물(따뜻한)을 준비한다.
▲ 믹서에 강력분, 생이스트, 반죽계랑기, 설탕, 분유, 소금을 넣고 저속1분 중속2분 섞고 마가린투입. 저속2분 중속15분~17분 믹싱한다. (글루텐 발전120%) 반죽온도 30℃
▲ 손으로 집어서 찢어지지 않을 정도로 늘린다.
▲ 다 된 반죽을 1차 발효시킨다.
▲ 발효시간:15분~30분 발효실온도:30℃ 습도:75~80%
▲ 발효가 된 상태에서 분할한다.
▲ 분할: 170g 총 12개가 나온다.
▲ 둥글리기 : 반죽표면이 매끄럽고 균일하게 한다.
중간발효 : 10분~15분, 표피가 건조되지 않도록 비닐로 덮어준다.
▲ 정형: 반죽을 밀대로 두께가 일정하도록 밀어펴면서 가스제거 양면을 가운데로 접어 3겹 접기를 한다.
∴ 과도한 덧가루를 사용하지 않는다.
한쪽면부터 단단하게 말아 둥글게 봉상형으로 만든후 마지막 이음매를 잘 봉한다.
▲ 팬닝: 팬에 기름칠을 적당히 하고 이음매가 바닥으로 오도록 3덩이씩 넣는다. 밑면이 평평하게 잘 나오도록 하기위해 반죽을 가볍게 눌러준다.
▲ 2차 발효
발효시간: 35분~40분
발효실습도: 85%
발효실온도: 38~40℃
발효정도: 팬위에 0.5cm~1cm정도 올라오도록 한다.
▲ 굽기
오븐온도: 윗불 180℃ 밑불 210℃
굽는시간: 30분~35분
▲ ∴충분히 구워 주저앉지 않게하며 밑면,옆면에도 구운색이 나오도록 한다.
식빵완성
◎Reference(참고사항 및 참고문헌)
- 수업 중 제빵에 대한 이론
- 발효와 빵의 역사 이스트의 작용
표준스트레이트법과 비상스트레이트법 참고
- 수업 중 찍은 사진
◎ 토의
제빵 첫 번째 시간에 식빵을 만들었다. 19일 만든 식빵의 이름은 표준식빵(토스트용)이라고 한다. 식빵 종류도 다양하다. 우유식빵부터 풀먼식빵, 곡류가 들어가는 옥수수식빵, 호밀, 보리 등.. 몸에 좋은 빵들이 등장하게 되었다.
저번시간의 이론을 듣게 되면서 알게 된 것이 글루텐이라는 성분이었다. 처음엔 글루텐이 뭐지? 하고 몰랐었다. 교수님께서 글루텐은 흔히 볼 수 있는 낚시하는 사람들이 주로 떡밥으로 사용한다고 했다. 이것을 물에 묻히면 고무처럼 늘어나고 탱탱해진다.
글루텐이 들어가는 것은 (곡류) 옥수수식빵과 건포도식빵, 밤식빵에 쓴다. 실습 후 식빵 만드는 과정을 만들어보면서 절차가 복잡했다.
손도 많이 가는 빵이었다. 제일 중요하게 여긴 것은 발효하는 것이었다. 1차 발효 중간발효 2차 발효 오븐에 굽는 방식. 믹싱할 때는 마가린 투입 시킬 때 반죽의 형태가 나올 때 까지 돌리고 처음에는 반죽의 형태가 고르지 못했다. 두 번, 세 번 정도 돌리고 나서 어느 정도 고르게 잡힌 후 발효시켰다. 분할시킬 때도 170g씩 한 다음 12개가 나오는 것 까진 어렵진 않았다. 동글리기에서 엉성해졌지만 침착하게 다시 동글해지게 만든 후 중간발효 한 다음 밀대로 가스제거 후 봉산형을 만들었다. 그리고 팬에다 3개를 가지런히 놓고 2차 발효 시킨 후 약50분간 기다리며 교수님의 설명을 듣고 시간이 다 되어서 2차 발효한 부분을 보았다.
반죽이 부풀어져서 팬 위로 0.5~1cm정도 올라와 있었다. 그리고 오븐에 불 조절한 후 넣은 다음 25분간 구웠다. 식빵이 완성된 거 보면서 모든 빵을 만들 때는 정성이 필요하다는 느낌을 받았다. 손으로 많은걸 만들고 익히면서 차근차근 지식도 쌓을 수 있고 어렵긴 하지만 제빵을 만들면 만들수록 재밌어졌다. 아직은 초보이고 초반이라 익숙하지는 않지만 완성된 작품이 나오는걸 보면 뿌듯해진다.
다음에 만드는 것도 실패 없이 잘 나오도록 수업시간에 열심히 해야겠다.
『Note』
우리가 한 식빵 : 표준식빵 ⇒ Toast
Soft → 우유
설탕↑ ⇔ Tenderizing Agent (여화 작용제)
계란↑
유지(버터, 마가린)↑
上: 180℃
下: 210℃
굽기 3가지 : Roaste : 아랫불
Broil : 윗불
Baking : 위, 아래
▷평가◁
≪식빵≫
결점
외부특성
만 점
채 점
이 유
1
2
너무 크다
너무 작다
부 피
15
14
부피가 적당하다.
1
2~3
4~5
6~7
불균형
여리다. 얼룩이있다
어두운색, 설탕환
흐린색, 지방환
표 피 색
5
5
표피색이 적당하였다.
1~2
3~4
5~6
7
중앙이 높다. 중앙이 뾰족하다.
중앙이 낮다. 불균형하다.
옆면이 높다. 터졌다.
옆면이 낮다.
외형균형
10
9
터진 곳이 없었고 모양도 깔끔했다.
1
2
3~4
5~6
두꺼운 수포
질기다
고물질같다 - 습기가 많다.
조각이 생긴다. 건조하다.
표피특성
5
5
표피특성은 적당하였다.
내부특성
1
2
3
4
열려있다. - 거칠다.
불균형하다.
기공벽이 두껍다.
큰기공
기 공
15
13
기공은 아주 작았다.
1~2
3~4
5
6
회색 - 불균형
어둡다 - 밝다
수신이 있다.
흐린색
속 색
10
10
속색은 적당하였다.
1~2
3
4
5
너무 강하다 - 불쾌한 냄새
향이 약하다.
곰팡이 냄새가 난다.
자극성 냄새가 난다.
향
10
8
약간 밋밋했다.
1~2
3
4
5
심심하다 - 불쾌한 맛
소금맛 - 소다맛
신맛
불쾌한 뒷맛
맛
20
17
약간 뻑뻑했다.
1~2
3~4
5
6
거칠다 - 건조하다
덩어리 - 너무 조밀하다
너무 느슨하다
부스러진다
속 결
10
10
속결은 적당하였다.
합 계
100
91
반죽을 부풀게 하는 데에 이산화탄소가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반죽 내에서 탄산가스를 발생시키는 물질은 생물적 팽창제와 화학적 팽창제가 있습니다.
(1) 이스트
이스트는 반죽 중의 당을 분해하여 이산화탄소와 알콜을 만들어 냅니다.
빵 반죽에 적당한 양의 설탕을 넣어 주면 발효 시간이 빨라지고 , 설탕을 넣지 않을 경우 분해과정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시간이 더 걸립니다.
이스트가 발효하는 데 가장 좋은 온도는 27℃~29℃입니다. 온도가 이보다 높아지면 잡균이 번식을 하여 빵의 질을 떨어뜨립니다. 그렇지만 다른 세균에 의해서도 약간의 가스가 생성되어 팽창을 돕기도 함.
빵을 만드는 데 주로 사용하는 것은 Sacchromyces cerevisiae라는 효모입니다
▶ 제조방법(공정)
▲ 강력분, 생이스트, 반죽계랑기, 설탕, 마가린, 분유, 소금, 물(따뜻한)을 준비한다.
▲ 믹서에 강력분, 생이스트, 반죽계랑기, 설탕, 분유, 소금을 넣고 저속1분 중속2분 섞고 마가린투입. 저속2분 중속15분~17분 믹싱한다. (글루텐 발전120%) 반죽온도 30℃
▲ 손으로 집어서 찢어지지 않을 정도로 늘린다.
▲ 다 된 반죽을 1차 발효시킨다.
▲ 발효시간:15분~30분 발효실온도:30℃ 습도:75~80%
▲ 발효가 된 상태에서 분할한다.
▲ 분할: 170g 총 12개가 나온다.
▲ 둥글리기 : 반죽표면이 매끄럽고 균일하게 한다.
중간발효 : 10분~15분, 표피가 건조되지 않도록 비닐로 덮어준다.
▲ 정형: 반죽을 밀대로 두께가 일정하도록 밀어펴면서 가스제거 양면을 가운데로 접어 3겹 접기를 한다.
∴ 과도한 덧가루를 사용하지 않는다.
한쪽면부터 단단하게 말아 둥글게 봉상형으로 만든후 마지막 이음매를 잘 봉한다.
▲ 팬닝: 팬에 기름칠을 적당히 하고 이음매가 바닥으로 오도록 3덩이씩 넣는다. 밑면이 평평하게 잘 나오도록 하기위해 반죽을 가볍게 눌러준다.
▲ 2차 발효
발효시간: 35분~40분
발효실습도: 85%
발효실온도: 38~40℃
발효정도: 팬위에 0.5cm~1cm정도 올라오도록 한다.
▲ 굽기
오븐온도: 윗불 180℃ 밑불 210℃
굽는시간: 30분~35분
▲ ∴충분히 구워 주저앉지 않게하며 밑면,옆면에도 구운색이 나오도록 한다.
식빵완성
◎Reference(참고사항 및 참고문헌)
- 수업 중 제빵에 대한 이론
- 발효와 빵의 역사 이스트의 작용
표준스트레이트법과 비상스트레이트법 참고
- 수업 중 찍은 사진
◎ 토의
제빵 첫 번째 시간에 식빵을 만들었다. 19일 만든 식빵의 이름은 표준식빵(토스트용)이라고 한다. 식빵 종류도 다양하다. 우유식빵부터 풀먼식빵, 곡류가 들어가는 옥수수식빵, 호밀, 보리 등.. 몸에 좋은 빵들이 등장하게 되었다.
저번시간의 이론을 듣게 되면서 알게 된 것이 글루텐이라는 성분이었다. 처음엔 글루텐이 뭐지? 하고 몰랐었다. 교수님께서 글루텐은 흔히 볼 수 있는 낚시하는 사람들이 주로 떡밥으로 사용한다고 했다. 이것을 물에 묻히면 고무처럼 늘어나고 탱탱해진다.
글루텐이 들어가는 것은 (곡류) 옥수수식빵과 건포도식빵, 밤식빵에 쓴다. 실습 후 식빵 만드는 과정을 만들어보면서 절차가 복잡했다.
손도 많이 가는 빵이었다. 제일 중요하게 여긴 것은 발효하는 것이었다. 1차 발효 중간발효 2차 발효 오븐에 굽는 방식. 믹싱할 때는 마가린 투입 시킬 때 반죽의 형태가 나올 때 까지 돌리고 처음에는 반죽의 형태가 고르지 못했다. 두 번, 세 번 정도 돌리고 나서 어느 정도 고르게 잡힌 후 발효시켰다. 분할시킬 때도 170g씩 한 다음 12개가 나오는 것 까진 어렵진 않았다. 동글리기에서 엉성해졌지만 침착하게 다시 동글해지게 만든 후 중간발효 한 다음 밀대로 가스제거 후 봉산형을 만들었다. 그리고 팬에다 3개를 가지런히 놓고 2차 발효 시킨 후 약50분간 기다리며 교수님의 설명을 듣고 시간이 다 되어서 2차 발효한 부분을 보았다.
반죽이 부풀어져서 팬 위로 0.5~1cm정도 올라와 있었다. 그리고 오븐에 불 조절한 후 넣은 다음 25분간 구웠다. 식빵이 완성된 거 보면서 모든 빵을 만들 때는 정성이 필요하다는 느낌을 받았다. 손으로 많은걸 만들고 익히면서 차근차근 지식도 쌓을 수 있고 어렵긴 하지만 제빵을 만들면 만들수록 재밌어졌다. 아직은 초보이고 초반이라 익숙하지는 않지만 완성된 작품이 나오는걸 보면 뿌듯해진다.
다음에 만드는 것도 실패 없이 잘 나오도록 수업시간에 열심히 해야겠다.
『Note』
우리가 한 식빵 : 표준식빵 ⇒ Toast
Soft → 우유
설탕↑ ⇔ Tenderizing Agent (여화 작용제)
계란↑
유지(버터, 마가린)↑
上: 180℃
下: 210℃
굽기 3가지 : Roaste : 아랫불
Broil : 윗불
Baking : 위, 아래
▷평가◁
≪식빵≫
결점
외부특성
만 점
채 점
이 유
1
2
너무 크다
너무 작다
부 피
15
14
부피가 적당하다.
1
2~3
4~5
6~7
불균형
여리다. 얼룩이있다
어두운색, 설탕환
흐린색, 지방환
표 피 색
5
5
표피색이 적당하였다.
1~2
3~4
5~6
7
중앙이 높다. 중앙이 뾰족하다.
중앙이 낮다. 불균형하다.
옆면이 높다. 터졌다.
옆면이 낮다.
외형균형
10
9
터진 곳이 없었고 모양도 깔끔했다.
1
2
3~4
5~6
두꺼운 수포
질기다
고물질같다 - 습기가 많다.
조각이 생긴다. 건조하다.
표피특성
5
5
표피특성은 적당하였다.
내부특성
1
2
3
4
열려있다. - 거칠다.
불균형하다.
기공벽이 두껍다.
큰기공
기 공
15
13
기공은 아주 작았다.
1~2
3~4
5
6
회색 - 불균형
어둡다 - 밝다
수신이 있다.
흐린색
속 색
10
10
속색은 적당하였다.
1~2
3
4
5
너무 강하다 - 불쾌한 냄새
향이 약하다.
곰팡이 냄새가 난다.
자극성 냄새가 난다.
향
10
8
약간 밋밋했다.
1~2
3
4
5
심심하다 - 불쾌한 맛
소금맛 - 소다맛
신맛
불쾌한 뒷맛
맛
20
17
약간 뻑뻑했다.
1~2
3~4
5
6
거칠다 - 건조하다
덩어리 - 너무 조밀하다
너무 느슨하다
부스러진다
속 결
10
10
속결은 적당하였다.
합 계
100
91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