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生地黃
생지황
乾地黃
건지황
熟地黃
숙지황
何首烏
하수오
생지황
乾地黃
건지황
熟地黃
숙지황
何首烏
하수오
본문내용
甑(시루 증; -총17획; zeng)은 원문에는 甄(질그릇 견; -총14획; zhen)으로 되어 있다.
,入砂鍋,九蒸九用。
적하수오와 백하수오를 각자 반을 쌀뜨물에 담그며 대나무칼로 껍질을 벗겨서 절편하며 흑두와 수오를 사용하여 각자 고르게 섞어서 버들나무그릇을 깔고 모래냄비에 넣고 9번찌고 9번 햇볕에 말려 사용한다.
茯爲使。
복령은 하수오와 상사가 된다.
忌諸血、無鱗魚、萊、蔥、蒜、鐵器.
여러 피, 비늘 없는 생선, 무, 파, 달래, 철그릇을 꺼린다.
(唐時有何首烏者,祖名能嗣,父名延秀。能嗣五十八,無妻子,服此藥七日,而思人道,娶妻連生數子。延秀服之,壽百六十歲。首烏又服之,壽百三十歲,髮猶烏黑,李 (날 고; -총16획; ao)는 원문에는 翔(빙빙 돌아 날 상; -총12획; xiang)으로 되어 있다.
爲立何首烏傳。然流傳雖久,服者少。)
당나라 시대에 하수오가 있어서 조부 이름은 사이며, 아버지 이름은 연수였다. 58명을 대를 이었으나 처자가 없어서 이 약을 7일동안 복용하며 인도를 생각하여 장가를 들어서 몇 아들을 연달아 낳았다. 연수가 복용하니 160세까지 장수하였다. 수오가 또한 복용하니 130세까지 장수하며 모발이 까마귀처럼 검으니 이상은 하수오전을 세웠다. 유행하여 전함이 비록 오래되어도 하수오를 복용하는 사람이 적었다.
(明嘉靖初,方士邵應節進七寶美丹 丹은 원문에는 連(잇닿을 연{련}; -총11획; lian)으로 되어 있다.
,世宗服之,連生皇子,遂盛行於世。)
명나라 가정초기에 방사 소응절이 칠보미염단을 진상하여 세종이 복용하여 연달아 황자를 낳으니 세상에 성행하게 되었다.
(方用赤、何首烏各一斤,黑豆拌,九蒸。茯半斤,乳拌。當歸、枸杞、絲各半斤,俱酒浸。牛膝半斤,酒浸。同首烏第七次蒸至第九次。破故紙四兩,黑芝麻炒,蜜丸。)
칠보미염단 처방은 흑두에 섞어서 9차례 찌고 햇볕에 말린 하수오 각 600g, 젖에 섞은 복령 300g, 당귀, 구기자, 토사자 각 300g, (모두 술에 담근다) 술에 담근 우슬 300g. 하수오와 함께 7차례를 찌고 9차례까지 이른다. 파고지 160g, 볶은 흑지마를 꿀로 환을 만든다.
(忌鐵器。)
모두 철그릇을 꺼린다.
(按地黃、何首烏皆君藥也,故六味丸以地黃爲君,七寶丹以何首烏爲君,各有配合,未可同類而共施也。)
왕앙이 살펴보니 지황, 하수오는 모두 군약이 되므로 육미환은 숙지황이 군약이 되며, 칠보단은 하수오가 군약이 되니, 각자 배합이 있으나 동류로 같이 시행하지 못한다.
(有加減,當各依本方隨病而施損益。)
가감이 있으니 각자 본 처방을 의지하고 병을 따라서 덜고 더함을 시행한다.
(今人多以何首烏加入地黃丸中,合兩方而爲一方,是一藥 一藥은 원문에는 方(모 방; -총4획; fang)으로 되어 있다.
二君,安所適從乎?失制方之本義也)。
지금 사람들이 많이 하수오를 지황환 중에 더해 넣으니, 두 처방을 합하여 한처방을 만들고 한 약에 두 군약이 있으니 어찌 따르겠는가? 처방을 만든 본래 뜻을 잃음이다.
(地黃功重補腎, 首烏功兼滋肝 故以治風濕.)
지황은 공능이 거듭 신을 보하며, 하수오는 공로가 간을 자양하므로 함께 풍습사를 치료할 수 있다.
,入砂鍋,九蒸九用。
적하수오와 백하수오를 각자 반을 쌀뜨물에 담그며 대나무칼로 껍질을 벗겨서 절편하며 흑두와 수오를 사용하여 각자 고르게 섞어서 버들나무그릇을 깔고 모래냄비에 넣고 9번찌고 9번 햇볕에 말려 사용한다.
茯爲使。
복령은 하수오와 상사가 된다.
忌諸血、無鱗魚、萊、蔥、蒜、鐵器.
여러 피, 비늘 없는 생선, 무, 파, 달래, 철그릇을 꺼린다.
(唐時有何首烏者,祖名能嗣,父名延秀。能嗣五十八,無妻子,服此藥七日,而思人道,娶妻連生數子。延秀服之,壽百六十歲。首烏又服之,壽百三十歲,髮猶烏黑,李 (날 고; -총16획; ao)는 원문에는 翔(빙빙 돌아 날 상; -총12획; xiang)으로 되어 있다.
爲立何首烏傳。然流傳雖久,服者少。)
당나라 시대에 하수오가 있어서 조부 이름은 사이며, 아버지 이름은 연수였다. 58명을 대를 이었으나 처자가 없어서 이 약을 7일동안 복용하며 인도를 생각하여 장가를 들어서 몇 아들을 연달아 낳았다. 연수가 복용하니 160세까지 장수하였다. 수오가 또한 복용하니 130세까지 장수하며 모발이 까마귀처럼 검으니 이상은 하수오전을 세웠다. 유행하여 전함이 비록 오래되어도 하수오를 복용하는 사람이 적었다.
(明嘉靖初,方士邵應節進七寶美丹 丹은 원문에는 連(잇닿을 연{련}; -총11획; lian)으로 되어 있다.
,世宗服之,連生皇子,遂盛行於世。)
명나라 가정초기에 방사 소응절이 칠보미염단을 진상하여 세종이 복용하여 연달아 황자를 낳으니 세상에 성행하게 되었다.
(方用赤、何首烏各一斤,黑豆拌,九蒸。茯半斤,乳拌。當歸、枸杞、絲各半斤,俱酒浸。牛膝半斤,酒浸。同首烏第七次蒸至第九次。破故紙四兩,黑芝麻炒,蜜丸。)
칠보미염단 처방은 흑두에 섞어서 9차례 찌고 햇볕에 말린 하수오 각 600g, 젖에 섞은 복령 300g, 당귀, 구기자, 토사자 각 300g, (모두 술에 담근다) 술에 담근 우슬 300g. 하수오와 함께 7차례를 찌고 9차례까지 이른다. 파고지 160g, 볶은 흑지마를 꿀로 환을 만든다.
(忌鐵器。)
모두 철그릇을 꺼린다.
(按地黃、何首烏皆君藥也,故六味丸以地黃爲君,七寶丹以何首烏爲君,各有配合,未可同類而共施也。)
왕앙이 살펴보니 지황, 하수오는 모두 군약이 되므로 육미환은 숙지황이 군약이 되며, 칠보단은 하수오가 군약이 되니, 각자 배합이 있으나 동류로 같이 시행하지 못한다.
(有加減,當各依本方隨病而施損益。)
가감이 있으니 각자 본 처방을 의지하고 병을 따라서 덜고 더함을 시행한다.
(今人多以何首烏加入地黃丸中,合兩方而爲一方,是一藥 一藥은 원문에는 方(모 방; -총4획; fang)으로 되어 있다.
二君,安所適從乎?失制方之本義也)。
지금 사람들이 많이 하수오를 지황환 중에 더해 넣으니, 두 처방을 합하여 한처방을 만들고 한 약에 두 군약이 있으니 어찌 따르겠는가? 처방을 만든 본래 뜻을 잃음이다.
(地黃功重補腎, 首烏功兼滋肝 故以治風濕.)
지황은 공능이 거듭 신을 보하며, 하수오는 공로가 간을 자양하므로 함께 풍습사를 치료할 수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