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뇨기계와 남성생식기계 구조와 기능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비뇨기계와 남성생식기계 구조와 기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비뇨기계 구조와 기능
1) 비뇨기계의 기능
2) 비뇨기계의 구성
3) 신장
4)네프론, 신원(nephron)
5) 요로
6) 배뇨 기전
7) 배뇨를 원활하게 하기 위한 조건
2. 남성생식기계의 구조 및 기능
1) 음경(penis)
2) 음낭(scrotum)
3) 정삭(spermatic cord)
4) 고환(testis)
5) 부고환(epididymis)
6) 정관(ductus deferens)
7) 정낭(seminal vesicle)
8) 사정관(ejaculatory duct)
9) 전립선(prostate)
10) 요도구선(bulbourethral gland)
11) 요도 개구부
12) 정액(semen)
3. 의학용어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
2. 남성생식기계의 구조 및 기능
정자 생산
성 호르몬 생산분비
구성 : 음경, 음낭, 고환, 부고환, 전립선, 정관, 정낭, 사정관
1) 음경(penis)
2개의 음경해면체와 1개의 요도해면체 존재 (탄력성 강함)
귀두 : 음경의 끝
귀두관 : 음경귀두와 음경체의 접경부위로 가장 돌출된 부위
음경체 : 나머지 부분, 인대에 의해 치골결합에 고정, 털, 한선, 피하지방이 없고, 다른 피부에 비해 melanin식소가 많아 색깔이 진함,
요도관 : 음경귀두 끝 중앙에 위치, 요와 사정액 배출.
구해면체근 : 요도 해면체를 덮고 있는데, 수축하여 요와 정액배출을 도움.
좌골해면체근 : 음경의 정맥으로부터 혈액이 되돌아가는 것을 차단하여 음경을 발기시키는 작용.
2) 음낭(scrotum)
복벽의 일부가 돌출되어 형성되는데, 피부와 근막으로 구성됨 (신축성이 강한 주머니)
육양근에 의해지지
피하지방이 없으며, 중격을 중심으로 양쪽에 각각 1개의 고환, 부고환, 정삭을 보호.
음낭 : 온도변화에 따라 민감하게 육양근이 수축이완됨.
육양근: 수축하여 고환을 회음부 가까이 위치하게 하고, 체온을 흡수하게 함.
3) 정삭(spermatic cord)
정관, 혈관, 신경 및 이를 둘러싸는 근막을 모두 합친 것.
4) 고환(testis)
약 3cm 달걀 모양의 성선, 좌우에 1쌍, 무게:10~14g.
양쪽 고환의 크기는 거의 비슷하며 좌측 고환이 우측보다 낮게 위치.
백막으로 싸여있고 그 안에는 약 250만개의 소엽이 있음.
정세관 : 소엽속에 있고, 약 230m, 정자 생성하여 부고환으로 보냄.
고환망 : 정세관의 총 길이가 합쳐져 이루어짐.
5) 부고환(epididymis)
고환에서 나온 몇 개의 가느다란 관이 합쳐져서 만들어진 1개의 부고환이 꼬불꼬불하게 뭉쳐져 섬유낭으로 둘러싸인 것.
정세관이 몇 개의 수출세관으로 분리된 후 다시 합쳐져서 부고환을 이룸.
정자의 영양과 성숙에 관여.
정자를 정관에 보내기까지 3~6주 동안 저장.
6) 정관(ductus deferens)
부고환 하단에서 시작되어 세헤관을 지나 정낭관과 합쳐지는 가는 관.
길이 : 약 45cm, 직경 : 2~4mm.
정자가 사정관까지 가는 통로.
7) 정낭(seminal vesicle)
방광에 인접해 있는 2개의 작은 주머니 모양의 분비선.
과당이 풍부한 노란색 액체를 분비.
정낭액 : 정자에 에너지를 공급.
8) 사정관(ejaculatory duct)
정낭관과 정관이 합쳐져서 만들어진 좌우 2개의 짧은 관.
전립선에 있는 요도 개구부를 향해 열려있음.
정자와 정낭액을 함께 요도로 방출시키는 역할.
9) 전립선(prostate)
방광 밑에 위치, 요도를 둘러싸고 있는 밤알 만한 크기의 선.
약 알카리성 유백색 액체를 요도로 분비.
유백색 액체 : 요도와 질의 산성을 중화시켜 정자 소멸을 방지, 정자운동성 촉진.
10) 요도구선(bulbourethral gland)
콩알만한 크기의 1쌍의 선.
성적 자극이 있을 때 투명한 알카리 점액성 액체를 요도로 분비 (요도의 산성을 중화시켜 정자보호)
음경이 여성의 질 속을 삽입될 때 윤활제 역할.
11) 요도 개구부
음경귀두의 중아에 위치
전명, 후명에 취치하기도 함(요도 상열, 요도 하열)
12) 정액(semen)
사정으로 나오는 액체
정액은 정자 , 정낭, 전립선, 요도구선에서 분비되는 분비물로 구성.
산도(pH): 7.12~8.00
정세관의 sertoli세포에서 사춘기부터 생성되기 시작.
고환의 간질세포에서 testosterone과 estradiol이 생성.
3. 의학용어
kidneys 신장
cortex 피질
hilum 신문
medulla 수질
calices(calyces) 신배
nephron 신원
glomerulus 사구체
bowman's capsule 보우만씨 주머니
renal tubule 신 세뇨관
ureter 요관
renal pelvis 신우
ureteropelvic junction 요관-신우경계
urinary bladder 방광
urethra 요도
urethral meatus 요도구
urine 소변
albuminuria 알부민뇨
proteinuria 단백뇨
anuria 무뇨
anuresis 요폐
bacteriuria 세균뇨
dysuria 배뇨곤란, 배뇨통
enuresis 유뇨증
nocturnal enuresis 야행성 유뇨증
incontinence 뇨실금
glomerulonephritis 사구체신염
nephrectomy 신장절제술
hemodialysis 혈액투석
renal transplantation 신장이식
bladder calculi 방광결설
wedge resection 쐐기형절제
popanicolaou smear 자궁경부암검사
circumcision 포경수술
BPH(benign prostatic hypertrophy) 전립선비대증
herpes genitalis 성기 헤르페스
prostectomy 전립선 절제술
Ⅲ. 결론
지금까지 비뇨기계의 구조와 기능에 대해 알아보았다. 신장은 매우 복잡하면서도 정교한 구조로 이루어져있으며 손상이 심하게 나타난 후에야 증상이 나타나므로 주의하고 관리를 필요로 해야하는 장기이다. 예방을 하여 질환의 발생을 줄이고, 건강을 관리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최정신외 공저(2005). 성인내외과 간호학Ⅱ. 형설출판사. 262~299. 502~505.
이향련외(2007). 성인간호학Ⅱ. 수문사. 1379.
유해영외(2005). 성인간호학 하. 현문사. 122~132.
한국해부생리학 교수협의회(2007). 인체해부학. 현문사. 333.
이명숙 외(2004), 핵심간호용어, 군자출판사. 33-34, 77-78, 184-191.
http://www.hallym.ac.kr/~molee/lecture/renal-aa.htm
http://www.krta.or.kr/member/pds/gumsa/smc/html/pathology/lecture/uri_11.html
http://www.khmc.or.kr/%7Eyoungkmc/secret/ch1.htm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9.06.16
  • 저작시기2009.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156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