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공사개요
1.1 공사개요
1.1.1 공사명
1.1.2 공사기간
1.1.3 주요물량
1.1.4 공사범위
1.1.5 공사위치
1.1.6 공사목적
1.2 공사수행 조직도
1.2.1 제작공장
1.2.2 설치현장
1.3 주요사용 재료 및 규격 (철골공사)
2. 공사계획
2.1 철골제작계획
2.1.1 업무 FLOW CHART
2.1.2 사용재료
2.1.3 제작도 및 현도
2.1.4 원자재 투입
2.1.5 마킹 (금긋기)
2.1.6 절단
2.1.7 개선가공
2.1.8 구멍뚫기 (HOLE 가공)
2.1.9 마찰면 처리 (고장력 볼트 체결부)
2.1.10 취부작업
2.1.11 교정
2.1.12 용접작업
2.1.13 부적합 사항 처리
2.1.13 도장
2.1.14 운송 (발송)
2.2 철골설치계획
2.2.1 자재입고
2.2.2 설치
2.2.3 검사
2.2.4 현 장 도 장
2.2.5 검사
2.2.6 철골 Erection시 검사
2.2.7 자재 야적관리 및 손상 방지 관리
2.3 인원 및 장비동원계획
2.3.1 제작
2.3.2 설치
2.3.3 설치 장비동원계획
2.4 월별생산 및 설치계획
2.4.1 제작
2.4.2 설치
3. 공정관리계획
3.1 제작 및 설치 SCHEDULE
4. 품질, 안전 및 환경관리계획
4.1 품질관리계획
4.1.1 중점 추진항목
4.1.2 공종별 주요 관리항목
4.1.3 품질관리 준수사항
4.2 안전보건관리 계획
4.2.1 5C 운동의 정착화
4.2.2 사업장내 안전보건 교육
5. 기타
5.1 민원처리계획
1.1 공사개요
1.1.1 공사명
1.1.2 공사기간
1.1.3 주요물량
1.1.4 공사범위
1.1.5 공사위치
1.1.6 공사목적
1.2 공사수행 조직도
1.2.1 제작공장
1.2.2 설치현장
1.3 주요사용 재료 및 규격 (철골공사)
2. 공사계획
2.1 철골제작계획
2.1.1 업무 FLOW CHART
2.1.2 사용재료
2.1.3 제작도 및 현도
2.1.4 원자재 투입
2.1.5 마킹 (금긋기)
2.1.6 절단
2.1.7 개선가공
2.1.8 구멍뚫기 (HOLE 가공)
2.1.9 마찰면 처리 (고장력 볼트 체결부)
2.1.10 취부작업
2.1.11 교정
2.1.12 용접작업
2.1.13 부적합 사항 처리
2.1.13 도장
2.1.14 운송 (발송)
2.2 철골설치계획
2.2.1 자재입고
2.2.2 설치
2.2.3 검사
2.2.4 현 장 도 장
2.2.5 검사
2.2.6 철골 Erection시 검사
2.2.7 자재 야적관리 및 손상 방지 관리
2.3 인원 및 장비동원계획
2.3.1 제작
2.3.2 설치
2.3.3 설치 장비동원계획
2.4 월별생산 및 설치계획
2.4.1 제작
2.4.2 설치
3. 공정관리계획
3.1 제작 및 설치 SCHEDULE
4. 품질, 안전 및 환경관리계획
4.1 품질관리계획
4.1.1 중점 추진항목
4.1.2 공종별 주요 관리항목
4.1.3 품질관리 준수사항
4.2 안전보건관리 계획
4.2.1 5C 운동의 정착화
4.2.2 사업장내 안전보건 교육
5. 기타
5.1 민원처리계획
본문내용
거 Column Level Check로 길이 조정을 해야하
며 허용치는 ±3㎜로 한다.
(2) Column설치시 기울기가 1:500을 넘지 않아야 한다.
(3) 철골 조립시 수평도 및 휨이 정확해야 하며 허용기준치는 다음과 같다.
(4) Torque Shear형 고장력 볼트의 체결검사
(4.1) 수입검사
- 현장수입검사는 축력계로 한다. 현장에 납품된 TS Bolt중에서 축력계로 검사 할 수 있는
한 1Size당 3 ~ 5개를 샘플링하여 체결 축력 시험을 한다. (단, 현장에 납품된 TS Bolt는 현
장보관이 양호한 상태로 기간이 짧을때는 볼트 제조회사가 발행한 검사성적서를 확인하고
수입검사를 대신 할 수 있다.)
(4.2) 현장 체결순서
- 현장체결은 가조립 볼트로 체결되어 있는 접합부에 TS Bolt를 전부 끼우고 1차조임을 한
다. 전 볼트를 1차조임 ⇒ 마킹 ⇒ 본체결 ⇒ 육안검사의 순으로 한다.
- 본체결은 마킹이 끝난후 TS Bolt용 전용 전동렌치로 그날중으로 끝낼것.
- 비나 눈이 올때에는 볼트조립이나 체결을 하여서는 않되며 특히 접합면이 결빙할 때에는
작업을 하여서는 않된다.
(4.3) 체결이 끝난 TS Bolt는 육안으로 검사하며 다음의 사항을 검사한다.
- 볼트 팁의 노치부 파단되어 있는 상태
- 볼트나 워셔가 따라 회전한 것이 없고 너트의 회전량이 같은지?
- 볼트의 끝이 너트보다 나와 있는지?
2.2.6 철골 Erection시 검사
(1) 철골 Erection 작업에 대하여 다음 사항을 검사 한다.
- Column Beam의 수직도 및 수평도는 허용기준치를 초과해서는 않된다.
- Bracing의 설치 상태
- Bolt 및 Nut의 조임상태는 Tight하게 조여졌는가
- Grouting, Platform 및 Ladder의 설치 상태는 양호한가
- 조립설치시 세우기 순서 계획 및 공정을 검토 한다.
2.2.7 자재 야적관리 및 손상 방지 관리
(1) 상. 하차시 SLING BELT 사용하여 도장부위의 손상을 방지한다.
(2) 야적시 받침목을 지상 20 Cm 이상 고인다.
(3) 항상 정리 정돈하여 선별, 이동이 용이 하도록 한다.
(4) 장기간 적치되는 부재에 대하여는 포장하여 보관한다.
(5) 도장의 일부 손상의 발생시 감독에게 보고한 후 도장사양에 맞게 현장 보수 조치한다.
(6) BOLT 등 소부재 관리는 BOX 또는 깔판 등을 이용하여 분실방지 및 관리가 용이하도
록 한다.
2.3 인원 및 장비동원계획
2.3.1 제작
2.3.2 설치
2.3.3 설치 장비동원계획
2.4 월별생산 및 설치계획
2.4.1 제작
2.4.2 설치
3. 공정관리계획
3.1 제작 및 설치 SCHEDULE
4. 품질, 안전 및 환경관리계획
4.1 품질관리계획
4.1.1 중점 추진항목
(1) 부재관리, 용접, 시공정밀도
4.1.2 공종별 주요 관리항목
(1) 부재관리
- 강재관리 규정 준수
- 부재의 정밀도 유지
- 제작 PROCEDURE 준수
- 작업 공정별 검사 강화
- 자주검사제도 확립
(2) 용접
- W.P.S (Welding Procedure Specification) 확립
- Welder Test 강화
- NDE (Non-Destructive Examination) 실시
- 용접 실명제 실시
- 용접재료관리 철저
(3) 시공정밀도
- Bolt 시험(Torqure Test) 강화
- 규정공구 및 장비사용
(4) 수직도 검사
- 수직도 측정방법을 사전에 갑에게 제시하여 승인을 받고 갑의 입회하에 실시한다.
- 수직도를 사전에 CHECK하여 갑에게 제시한다.
- 수직도 검사후 성과표를 갑에게 제출한다.
(5) 일반사항 및 기타
- 모든사용 자재는 설계도면 및 사양서에 따르며, 시험성적서를 제출하여 승인된 자재에 한
해 사용한다.
- 모든 사용공구와 시험기기는 검교정 유효기간을 확인할 수 있는 것 이어야 하며 유효기
간 경과전 검교정을 실시한다.
- REPAIR 발생시 현장담당자의 승인을 득한 후 실시한다.
- 용접재료 건조로(DRY OVEN) 및 휴대용 OVEN을 보유하며, 용접재료 관리절차에 따라
관리한다.
- 기상조건에 의한 용접작업 제한조건 준수로 용접품질저하 및 용접결함 방지한다.
- H-BEAM 모양 및 치수허용오차는 특별시방서 기준 및 KS규격을 적용하여 검사한다.
- 기타 모든 품질관리는 시공 및 품질관리 절차서를 준수한다.
4.1.3 품질관리 준수사항
4.1.3.1 도면 및 시방서 준수
- 품질 SYSTEM(ISO9002)에 해당하는 품질표준지침을 준수한다.
- 도면 및 시방서에 따라 SHOP DRAWING 작성하여 승인 득한 후 제작 실시한다.
- 사용자재에 대한 공급원 승인 득한 후 사용 및 필요시 품질시험 실시한다.
- 품질관리기준에 따라 각 공정별 부재검사 실시한다.
- 각종 가설시설물 및 안전시설등은 SHOP DRAWING에 반영한다.
4.1.3.2 BOLT 체결 및 용접
- 모든 BOLT는 T.S BOLT를 사용하며, 사전에 갑의 입회하에 축력 TEST를 실시하여 합
격된 제품을 사용한다.
- 기시공된 BOLT에 대하여 품질규정에 의하여 샘플링하여 축력 TEST를 실시한다.
- BOLT HOLE이 맞지 않을 때에는 갑의 입회하에 수정작업을 하며, GAS절단은 금한다.
- 공정제작 용접작업 실시계획 및 실시결과를 갑에 제출하여 승인 받는다.
4.1.3.3 불합격된 부재의 처리
- 공장에서 불합격된 부재는 현장에 반입하지 않는다.
- 현장에서 검수 결과가 불합격된 부재는 즉시 반출하며, 보수 후 재반입시 재검사를 받는
다.
- 현장용접에 대한 검사결과 불량으로 판정된 부위는 즉시 보수하여 재검사를 받는다.
4.2 안전보건관리 계획
4.2.1 5C 운동의 정착화
(1) 복장단정 (CORRECTNESS)
(2) 정리정돈 (CLEARANCE)
(3) 청소청결 (CLEARING)
(4) 점검확인 (CHECKING)
(5) 전심·전력 (CONCENTRATION)
4.2.2 사업장내 안전보건 교육
(1) 점검확인 (CHECKING)
(2) 작업별 안전관리 사항
5. 기타
5.1 민원처리계획
며 허용치는 ±3㎜로 한다.
(2) Column설치시 기울기가 1:500을 넘지 않아야 한다.
(3) 철골 조립시 수평도 및 휨이 정확해야 하며 허용기준치는 다음과 같다.
(4) Torque Shear형 고장력 볼트의 체결검사
(4.1) 수입검사
- 현장수입검사는 축력계로 한다. 현장에 납품된 TS Bolt중에서 축력계로 검사 할 수 있는
한 1Size당 3 ~ 5개를 샘플링하여 체결 축력 시험을 한다. (단, 현장에 납품된 TS Bolt는 현
장보관이 양호한 상태로 기간이 짧을때는 볼트 제조회사가 발행한 검사성적서를 확인하고
수입검사를 대신 할 수 있다.)
(4.2) 현장 체결순서
- 현장체결은 가조립 볼트로 체결되어 있는 접합부에 TS Bolt를 전부 끼우고 1차조임을 한
다. 전 볼트를 1차조임 ⇒ 마킹 ⇒ 본체결 ⇒ 육안검사의 순으로 한다.
- 본체결은 마킹이 끝난후 TS Bolt용 전용 전동렌치로 그날중으로 끝낼것.
- 비나 눈이 올때에는 볼트조립이나 체결을 하여서는 않되며 특히 접합면이 결빙할 때에는
작업을 하여서는 않된다.
(4.3) 체결이 끝난 TS Bolt는 육안으로 검사하며 다음의 사항을 검사한다.
- 볼트 팁의 노치부 파단되어 있는 상태
- 볼트나 워셔가 따라 회전한 것이 없고 너트의 회전량이 같은지?
- 볼트의 끝이 너트보다 나와 있는지?
2.2.6 철골 Erection시 검사
(1) 철골 Erection 작업에 대하여 다음 사항을 검사 한다.
- Column Beam의 수직도 및 수평도는 허용기준치를 초과해서는 않된다.
- Bracing의 설치 상태
- Bolt 및 Nut의 조임상태는 Tight하게 조여졌는가
- Grouting, Platform 및 Ladder의 설치 상태는 양호한가
- 조립설치시 세우기 순서 계획 및 공정을 검토 한다.
2.2.7 자재 야적관리 및 손상 방지 관리
(1) 상. 하차시 SLING BELT 사용하여 도장부위의 손상을 방지한다.
(2) 야적시 받침목을 지상 20 Cm 이상 고인다.
(3) 항상 정리 정돈하여 선별, 이동이 용이 하도록 한다.
(4) 장기간 적치되는 부재에 대하여는 포장하여 보관한다.
(5) 도장의 일부 손상의 발생시 감독에게 보고한 후 도장사양에 맞게 현장 보수 조치한다.
(6) BOLT 등 소부재 관리는 BOX 또는 깔판 등을 이용하여 분실방지 및 관리가 용이하도
록 한다.
2.3 인원 및 장비동원계획
2.3.1 제작
2.3.2 설치
2.3.3 설치 장비동원계획
2.4 월별생산 및 설치계획
2.4.1 제작
2.4.2 설치
3. 공정관리계획
3.1 제작 및 설치 SCHEDULE
4. 품질, 안전 및 환경관리계획
4.1 품질관리계획
4.1.1 중점 추진항목
(1) 부재관리, 용접, 시공정밀도
4.1.2 공종별 주요 관리항목
(1) 부재관리
- 강재관리 규정 준수
- 부재의 정밀도 유지
- 제작 PROCEDURE 준수
- 작업 공정별 검사 강화
- 자주검사제도 확립
(2) 용접
- W.P.S (Welding Procedure Specification) 확립
- Welder Test 강화
- NDE (Non-Destructive Examination) 실시
- 용접 실명제 실시
- 용접재료관리 철저
(3) 시공정밀도
- Bolt 시험(Torqure Test) 강화
- 규정공구 및 장비사용
(4) 수직도 검사
- 수직도 측정방법을 사전에 갑에게 제시하여 승인을 받고 갑의 입회하에 실시한다.
- 수직도를 사전에 CHECK하여 갑에게 제시한다.
- 수직도 검사후 성과표를 갑에게 제출한다.
(5) 일반사항 및 기타
- 모든사용 자재는 설계도면 및 사양서에 따르며, 시험성적서를 제출하여 승인된 자재에 한
해 사용한다.
- 모든 사용공구와 시험기기는 검교정 유효기간을 확인할 수 있는 것 이어야 하며 유효기
간 경과전 검교정을 실시한다.
- REPAIR 발생시 현장담당자의 승인을 득한 후 실시한다.
- 용접재료 건조로(DRY OVEN) 및 휴대용 OVEN을 보유하며, 용접재료 관리절차에 따라
관리한다.
- 기상조건에 의한 용접작업 제한조건 준수로 용접품질저하 및 용접결함 방지한다.
- H-BEAM 모양 및 치수허용오차는 특별시방서 기준 및 KS규격을 적용하여 검사한다.
- 기타 모든 품질관리는 시공 및 품질관리 절차서를 준수한다.
4.1.3 품질관리 준수사항
4.1.3.1 도면 및 시방서 준수
- 품질 SYSTEM(ISO9002)에 해당하는 품질표준지침을 준수한다.
- 도면 및 시방서에 따라 SHOP DRAWING 작성하여 승인 득한 후 제작 실시한다.
- 사용자재에 대한 공급원 승인 득한 후 사용 및 필요시 품질시험 실시한다.
- 품질관리기준에 따라 각 공정별 부재검사 실시한다.
- 각종 가설시설물 및 안전시설등은 SHOP DRAWING에 반영한다.
4.1.3.2 BOLT 체결 및 용접
- 모든 BOLT는 T.S BOLT를 사용하며, 사전에 갑의 입회하에 축력 TEST를 실시하여 합
격된 제품을 사용한다.
- 기시공된 BOLT에 대하여 품질규정에 의하여 샘플링하여 축력 TEST를 실시한다.
- BOLT HOLE이 맞지 않을 때에는 갑의 입회하에 수정작업을 하며, GAS절단은 금한다.
- 공정제작 용접작업 실시계획 및 실시결과를 갑에 제출하여 승인 받는다.
4.1.3.3 불합격된 부재의 처리
- 공장에서 불합격된 부재는 현장에 반입하지 않는다.
- 현장에서 검수 결과가 불합격된 부재는 즉시 반출하며, 보수 후 재반입시 재검사를 받는
다.
- 현장용접에 대한 검사결과 불량으로 판정된 부위는 즉시 보수하여 재검사를 받는다.
4.2 안전보건관리 계획
4.2.1 5C 운동의 정착화
(1) 복장단정 (CORRECTNESS)
(2) 정리정돈 (CLEARANCE)
(3) 청소청결 (CLEARING)
(4) 점검확인 (CHECKING)
(5) 전심·전력 (CONCENTRATION)
4.2.2 사업장내 안전보건 교육
(1) 점검확인 (CHECKING)
(2) 작업별 안전관리 사항
5. 기타
5.1 민원처리계획
소개글